흰얼레지
얼레지는 자주색 꽃이 피지만 극히 일부가 흰꽃을 피우는 변이종이 있다. 꽃잎만 흰색이 아니라 수술의 꽃밥도 흰색이고 얼레지의 특징인 꽃잎 가운데 꿀샘을 표시한다는 W자 무늬도 흰색이거나 아주 옅은 자색이다. 그리고 잎의 얼룩 무늬마저 색이 연하거나 거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런 변종은 몇 만 포기당 하나 심지어는 30만 포기 당 하나 발견되는 희귀 변종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 얼레지가 자생되는 지역에서는 어디서든 보이는데 일본학자 야마모토와 쓰카모토가 1932년 변종으로 발표한 것을 나중에 1955년 오쿠야마가 품종으로 변경하여 명명한 Erythronium japonicum f. leucanthum것을 일본에서는 인정하고 시로하나카타쿠리(シロバナカタクリ) 즉 백화편율(白花片栗)이라고 한다. 품종명 leucanthum는 흰꽃이 핀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서도 발견되어 이창복박사가 품종으로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라고 발표를 시도한 것 같으나 불발된 것으로 보인다. 한 마디로 족보에 오르지도 못한 비합법명이라는 것이다. 중국에서도 방문배(方文培)박사가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모두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그냥 얼레지에 통합되어 버렸다. 따라서 흰얼레지는 우리와 일본에서는 따로 품종으로 분류하지만 국제적으로는 그냥 얼레지의 개체변이 중 하나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등록명 : 흰얼레지
학 명 : Erythronium japonicum
이 명 :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
이 명 : Erythronium japonicum f. leucanthum
원산지 : 한중일
특 징 : 꽃의 색상이 희고 전반적으로 흰색이 많다.
내한성 : 영하 37도
흰얼레지
흰얼레지
잎에 얼룩 무늬가 거의 없다.
흰얼레지
이렇게 일반 얼레지들 가운데서 변이종이 나온다.
흰얼레지
흰얼레지
색상이 연한 보라색을 띠어 중간 형태를 보인다.
흰얼레지
=====================
다음은 우리 토종은 아니지만 국표식에 올려진 북미에서 도입된 얼레지들의 면면을 보고 가자. 우리 얼레지도 아름답지만 세상에 아름다운 것이 우리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캘리포니아얼레지 '화이트 뷰티'
Erythronium californicum 'white beauty'
캘리포니아얼레지 '화이트 뷰티'
북 캘리포니아 원산
레볼루툼얼레지
Erythronium revolutum
레볼루툼얼레지
캐나다, 오래곤, 와싱톤, 캘로포니아 원산
몬타눔얼레지
Erythronium montanum
몬타눔얼레지
캐나다, 와싱톤, 오레곤 원산
노랑꽃얼레지
Erythronium umbilicatum
노랑꽃얼레지
미국 남동부 플로리다 켄터키 등 원산
헨더슨얼레지
Erythronium hendersonii
헨더슨얼레지
오레곤, 북 캘리포니아 원산
큰꽃얼레지
Erythronium grandiflorum
큰꽃얼레지
서부 캐나다. 미국 서부 원산
'기타 과 식물 > 토종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2 애기복수초와 새로 발견된 변종인 털복수초 (0) | 2020.02.09 |
---|---|
921 복수초(福壽草) = 얼음새꽃 그 특성과 이름의 유래 (2) | 2020.02.07 |
919 얼레지 - 3월에 피는 봄꽃의 여왕, 특징과 어원 (3) | 2020.02.03 |
836 앵초 = 프리뮬라, 세계적으로 아름다운 우리 토종 야생화 (0) | 2019.11.05 |
834 노루귀와 섬노루귀 (0) | 201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