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토종야생화

928 흰처녀치마 - 적합한 학명을 붙여줘야 할 우리 자생종

낙은재 2020. 2. 19. 09:35


흰처녀치마


흰처녀치마 표본

최근 식물애호가들이 발견하여 올린 실물 사진들이 많이 보이는데도 

국립수목원 도감에는 사진 한장 없고 이 표본이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1977년 채취한 표본이라는데 일본 이름 シロバナショウジョウバカマ(시로바나쇼우죠우바카마)가 영어로 쓰여있다.


흰처녀치마는 앞 처녀치마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초에는 처녀치마라는 우리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학명은 일본의 흰꽃이 피는 처녀치마와 동일한 종으로 판단하고 Heloniopsis japonica로 표기하여 왔다. 그러다가 1996년 이영노박사의 한국식물도감에 의하여 흰처녀치마라는 제대로 된 이름이 붙여지고 과거에 쓰던 처녀치마라는 이름은 학명 Heloniopsis orientalis로 표기되는 적자색 꽃이 피는 종에 넘겨준 것으로 보인다. Heloniopsis japonica라는 학명을 쓰던 우리 흰처녀치마는 일본학자 나카이가 Heloniopsis japonica 중에서 붉은 색조가 없는 순백색이거나 오렌지색 꽃이 피는 종을 별도로 Heloniopsis japonica var. flavida라는 변종으로 1933년에 분리 명명하자 그 학명을 따른다. flavida는 황색을 띠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다가 이 변종이 우여곡절 끝에 1953년 일본 학자 Ohwi Jisaburo(大井 次三郎 : 1905~1977)에 의하여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로 속이 변경되어 재명명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 학명으로 국표식에 등록하고 있다. 그렇게 되고 보니 과거에는 처녀치마와 흰처녀치마의 관계가 다음과 같이 원종과 변종 관계에 있었으므로 아주 자연스럽게 보였다.


2004년 이전 우리 자생종 처녀치마의 학명

처녀치마 : 적자색 꽃 Heloniopsis orientalis

흰처녀치마 : 백색 꽃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하지만 그 사이에 변화가 일어난다. 우선 국내 자생하는 처녀치마는 앞 게시글에서 본 바와 같이 처녀치마 즉 Heloniopsis koreana와 숙은처녀치마 즉 Heloniopsis tubiflora로 양분되어 각각 신종으로 독립된다. 그렇게 되고 보니 국내에 자생하는 흰처녀치마는 학명을 기준으로 볼 때는 일본에 자생하는 처녀치마의 변종이 되어 버린 것이다. 누가 봐도 이건 아니다. 새로운 처녀치마의 백화 변종이거나 숙은처녀치마의 백화 변종으로 아니면 어느 한 쪽의 변종으로 학명이 변경되어야 할 시점인데도 아직 그렇게 명명하였다는 이야기는 없다. 이대 이남숙박사팀이 과거 처녀치마를 두 개의 신종으로 나누어 명명한지도 6년이 되었건만 아직 후속 연구가 없어 정리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아래와 같이 원종과 변종의 학명이 다르다.


2004년 이후 우리 자생종 처녀치마의 학명

처녀치마 : 적자색 꽃 Heloniopsis koreana

숙은처녀치마 : 보라색 꽃 Heloniopsis tubiflora

흰처녀치마 : 백색 꽃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게다가 흰처녀치마의 현재 학명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는 일본에서도 그리고 국제적으로도 더 이상 쓰지 않는 학명이라는 것이다. 일본에서 흰꽃이 피는 처녀치마가 적자색 일본 처녀치마와 다른 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이제는 Heloniopsis orientalis의 변종이 아닌 Heloniopsis breviscapa의 변종이라고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로 학명을 변경하고 기존 학명은 이명처리하고 있다. 그 차이점은 일본 흰처녀치마의 잎에 미세한 파상 거치가 있고 화피편의 기부가 팽창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국내 자생 흰처녀치마는 잎 모양은 거치가 있어 일본 흰처녀치마와 비슷한데 거의 대부분 화피편 기부가 부풀어 올라 있어 기부가 팽창하지 않는 일본의 흰처녀치마 즉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와는 분명하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 처녀치마 Heloniopsis orientalis : 잎에 거치가 없음, 화피편 기부 팽창

일본 흰처녀치마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 : 잎에 미세한 파상 거치, 화피편 기부 팽창 없음

국내 흰처녀치마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 잎에 미세한 파상 거치, 화피편 기부 팽창


우리 흰처녀치마

세치가 있는 주걱형 잎에 기부가 팽창한 화피편


일본 흰처녀치마

세치가 있는 주걱형 잎은 마찬가지이지만 화피편은 거의 팽창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그렇게 되고 보니 우리나라는 이제 일본에서는 현재 쓰지 않는 기존의 학명을 그대로 계속 쓸 것인지 아니면 일본에서 새로이 쓰는 학명을 따라 갈 것인지 그것도 아니면 신종으로 발표된 우리 처녀치마나 숙은처녀치마의 변종으로 따로 명명을 하던지 뭔가는 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그러자면 먼저 이들 3종의 특성 차이점을 파악한 다음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흰처녀치마의 특성이 어디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 그리고 일본 처녀치마와의 비교표

구  분

처녀치마

숙은처녀치마

일본 처녀치마

학  명

Heloniopsis koreana

Heloniopsis tubiflora

Heloniopsis orientalis

 주분포지

우리나라 전역, 주로 중부지방

우리나라 전역, 남부 고산지대

 일본 전역과 남사할린

꽃색상

적자색

청보라, 보라, 개화후 백색

담홍색, 홍자색

잎모양

주걱형

도피침형

도피침형

잎거치

파상 세거치 

거치 없음

거치 없음 

 꽃차례

옆 또는 아래로 향함

아래로 향함

 옆 또는 아래로 향함

 회피편 기부

팽창하지 않거나 약하게 팽창

 팽창, 관모양

팽창

개화시기

3~4월

4~5월

3~4월


아직 우리나라 국립수목원 도감에는 흰처녀치마에 대하여 상세하게 묘사한 내용이 없어서 손쉽게 비교할 수가 없다. 그래서 국내 야생화애호가들이 올린 여기저기 흰처녀치마의 실물 사진들을 얼핏 살펴보면 잎이 넓어 주걱형이고 거치가 있다. 그렇다면 잎 모양에서 도피침형이며 톱니가 없이 미끈한 일본 처녀치마와는 거리가 있다. 화피편 기부의 팽창 정도가 심하고 약하고의 차이는 있지만 그래도 우리 처녀치마에 가장 가까워 보였다. 만약 국내 자생 신종들에 가깝다면 이 것은 Heloniopsis koreana var albiflora나 Heloniopsis tubiflora var. flavida 등 변종으로 새로이 명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사전에 충분한 조사와 검토가 이뤄져야 할 것이지만 왜 2004년 당시 이남숙박사팀이 이 것까지 함께 연구하여 깔끔하게 정리하지 않았는지 아쉽다.


등록명 : 흰처녀치마

학  명 :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Nakai) Ohwi

신학명 :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 (Nakai) H.Hara

구학명 : Heloniopsis japonica (Thunb.) Maxim.

이  명 : Heloniopsis japonica var. flavida Nakai

분  류 : 멜란티움과 처녀치마속 상록 다년생 초본

구분류 : 백합과 처녀치마속 상록 다년생 초본

원산지 : 우리나라, 일본(?)

일본명 : シロバナショウジョウバカマ(白花猩々袴)

크  기 : 20~50cm

색  상 : 백색 또는 연보라색

특  징 : 주걱형 잎에 세거치가 있고 화피편 기부가 팽창 


자생 흰처녀치마인데 처녀치마와 나란히 있는 이 모습만 봐도 우리 처녀치마의 변종이라고 해야 자연스럽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국내는 없는 일본 처녀치마의 변종이라는 학명을 쓰고 있다.

출처 : 네이버 파워맨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werkjh56/221519172056


흰처녀치마

눈을 뚫고 나오지만 잎이 주걱형이며 거치가 분명하게 보인다.

출처 : 네이버 요한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jeno9777/220332683352


흰처녀치마

주걱형 잎의 거치와 팽창한 화피편 기부가 잘 보인다.

출처 : 네이버 태산의산꽃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sanggu52/10166225985


다음은 일본 흰처녀치마를 소개한다. 왜냐하면 분명 모습이 다른데도 현재 우리와 같은 학명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본 흰처녀치마는 붉은 색조를 띤 원종과 순백색인 변종 둘로 나뉘어 지는데 백색 변종이 우리와 같은 학명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로 표기하다가 최근에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로 변경한 것이다. 일본 원종과 변종 둘 다 주걱형 잎에 거치가 있으나 화피편 기부의 팽창이 없어 우리 자생종과는 쉽게 구분이 된다. 원종의 일본명은 ツクシショウジョウバカマ(쯔쿠시쇼우죠우바카마)인데 여기서 쯔쿠시(筑紫)는 이 종이 많이 자생하는 큐슈(九州)의 옛 지명이므로 결국 큐슈 처녀치마라는 뜻이다. 백색 변종의 일본명은 シロバナショウジョウバカマ(시로바나쇼우죠우바카마)인데 시로(白) 하나(花)는 백화 즉 흰꽃 처녀치마라는 뜻이다. 일본의 흰처녀치마의 학명은 현재 거의 대부분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로 표기하지만 그 이전에는 현재 우리나라 흰처녀치마와 같은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로 표기했었다.


일본 흰꽃처녀치마

シロバナショウジョウバカマ

신학명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 

구학명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일본 흰꽃처녀치마

화피편 기부가 밋밋한 것이 확연하게 보인다.


일본 흰꽃처녀치마


일본 쯔쿠시처녀치마

ツクシショウジョウバカマ

신학명 : Helonias breviscapa var. breviscapa

구학명 : Helonias orientalis var. breviscapa


일본 쯔쿠시처녀치마

화피편 기부에 붉은 색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쯔쿠시처녀치마


학명 Heloniopsis orientalis인 일본 처녀치마인데 잎이 도피침형이며 거치가 없다. 


우리 자생 처녀치마 Heloniopsis koreana

흰처녀치마는 잎의 모양이나 거치가 비슷한 위 우리 처녀치마의 변종으로 명명되어야 마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