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꽃받침은 남자색이고 꽃잎은 백색 또는 담황색이다.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키가 2m 정도로 자라는 관목이다.
전세계 Sophora속 즉 고삼속은 좁게 봐도 40여 개 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삼 외에 두 개의 종이 더 등록되어 있다. 하나는 중국 원산의 데이비드회화나무이고 또 다른 하나는 소엽회화나무인데 뉴질랜드 원산이다. 우리나라는 회화나무속은 Styphnolobium라고 따로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 Sophora속 두 종을 회화나무라고 하는 이유는 국제적으로 회화나무도 Sophora속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으며 특히 원산지인 중국에서 그렇게 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회화나무 즉 괴(槐)가 속하는 회화나무속 뿐만 아니라 콩과 회화나무족(tribe)으로 분류되는 식물 대부분을 괴(槐)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유달회화나무속이라는 속명도 있고 고삼속을 xx회화나무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다릅나무를 중국에서는 조선회화나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개회화나무라고 부른다. 따라서 고삼속을 xx회화나무라고 하는 것은 딱히 소나무속이 아니더라도 미송이니 솔송이니 낙엽송이니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므로 얼마든지 수긍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중국 원산 데이비드회화나무와 뉴질랜드 원산 소엽회화나무의 원산지가 뒤바뀐 것이 아닌가 생각할 것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중국 원산의 회화나무에다가 엉뚱하게 서양사람 이름을 붙이고 영어권인 뉴질랜드 원산의 나무에다가 소엽(小葉)회화나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이건 중국 원산 낙엽 침엽수를 메타세쿼이아로 부르고 비슷한 미국 원산 침엽수를 낙우송이라고 부르는 사례와 매우 흡사하다. 식물을 하나하나 공부해 가면서 이렇게 상식에 벗어나게 명명한 국명들을 볼 때마다 중국 사람을 엉클 톰이라고 부르고 미국에서 온 사람을 왕서방이라고 부르는 격이라고 비유하면서 누차 불평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모두 2011년 같은 시기에 한꺼번에 명명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때 조금만 생각을 더 깊게 했었으면 이런 황당한 명명은 없었을 터인데 이제와서 아쉬워 한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할런지 걱정이 된다.
데이비드는 워낙 서양에서는 흔한 이름이어서 우리나라에 등록된 식물명과 관련된 데이비드가 많지만 여기서는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면서 식물을 채집하여 유럽으로 보낸 프랑스 선교사 Armand David(1826~1900)를 말한다. 그가 채집하여 보낸 표본을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1834~1900)가 분류하여 주로 채집가인 데이비드신부의 이름으로 명명하였다. 그 중에는 이 데이비드회화나무 외에도 데이비드사피단풍과 데이비드삼지구엽초가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모두 중국에서 데이비드신부가 채집하여 보낸 표본을 대상으로 프랑스에서 프랑쉐가 명명한 것이다. 그리고 중국 원산의 세계적인 희귀종 손수건나무도 데이비드신부가 서방세계에 처음 알렸기 때문에 속명이 아예 Davidia로 되어 있다. 하지만 장미나 수국명에 등장하는 데이비드는 이 프랑스 신부와는 무관한 다른 사람을 말한다.
손수건나무 - 학명 : Davidia involucrata
속명 Davidia는 데이비드신부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데이비드회화나무를 우리나라는 Sophora davidii Kom. ex Pavol.라고 학명 표기하지만 원산지 중국을 비롯하여 많은 학자들은 Sophora davidii (Franch.) Skeels로 표기하고 있다. 이런 혼선이 있는 이유는 나름대로 다소 복잡한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데이비드 신부의 이름으로 이를 Sophora moorcroftiana var. davidii Franch.로 중국에서 사생괴(砂生槐) 또는 낭아자(狼牙刺)로 불리는 Sophora moorcroftiana의 변종으로 프랑스 식물학자 프랑쉐가 1883년 명명하였던 것이다. 그후 1913년 미국 식물학자 Homer Collar Skeels (1873–1934)에 의하여 독립된 종으로 승격되어 재명명된 Sophora davidii (Franch.) Skeels를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학명 Sophora davidii Kom. ex Pavol.는 1908년에 명명된 것이지만 종소명 davidii가 이미 1883년에 변종명으로 사용된 것이므로 무효학명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독립종으로 승격하여 명명한 것은 이탈리아 식물학자 Angiolo Ferdinando Pavolini (1880~1965)가 먼저이므로 이를 Sophora davidii (Franch.) Pavol.로 수정하여 적명(嫡名)으로 인정하는 학자들도 있다.
서양 학자들이 학명을 두고서 왈가왈부하는 것만큼이나 중국명도 복잡하다. 중국 정명이 백자화(白刺花)인 이 수종의 모식 표본은 호북성 의창에서 채집되었지만 중국 중남부 거의 전지역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중국 이름이 매우 다양하다. 호북성에서는 철마호소(铁马胡烧)라고 불렀고 섬서성에서는 낭아괴(狼牙槐)로 하남성에서는 백각침(白刻针)으로 불렀다. 그 외에도 낭아자(狼牙刺)와 마제침(马蹄针) 마편채(马鞭采) 등의 별명이 있다. 자(刺)와 침(针)이라는 이름이 많은 이유는 이 회화나무는 가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그 이름에서 흰 꽃이 피며 줄기에 가시가 있음을 알 수 있겠다. 중국에는 회화나무속 즉 괴속(槐属)으로 모두 21종의 식물이 자생하는데 그 중에서 대부분은 xx槐로 불리는데 고삼과 이 백자화(白刺花) 그리고 고두자(苦豆子)만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미 백화괴(白花槐)라는 이름을 쓰는 다른 수종이 있고 백자괴(白刺槐)로 하자니 이 또한 서양에서 도입된 아카시나무를 칭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마땅한 이름이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키가 1~2m에 불과한 관목이고 줄기에 가시가 있어 처음부터 회화나무로 인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든다.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줄기에 가시가 보인다.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가시가 분지하는 경우도 있다.
등록명 : 데이비드회화나무
학 명 : Sophora davidii (Franch.) Skeels
이 명 : Sophora davidii (Franch.) Pavol.
등록명 : Sophora davidii Kom. ex Pavol.
분 류 : 콩과 고삼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백자화(白刺花)
수 고 : 1~2m (최대 4m)
가 지 : 다전개, 소지 초피모, 곧 탈락, 불육지말단 가시, 간혹 분지
엽 서 : 우상복엽, 소엽 11~21, 1~1.5cm 길이, 형태 다양
탁 엽 : 첩상(钻状), 부분 가시로 변함, 단유모, 숙존
화 서 : 총상화서 소지 정생, 화소, 15mm 화악 종상, 남자색, 악치 5 부등대
화 관 : 백색 혹 담황색, 간혹 기판 홍자색
자 방 : 화사 대비 김, 황갈색유모, 화주 변곡, 무모, 배주 다수
협 과 : 비전형 염주상, 약간 압편, 6~8cm, 봉선을 따라 불규칙하게 찢어져 2렬
종 자 : 3~5립, 난구형
화 기 : 3~8월
과 기 : 6~10월
용 도 : 근엽화과 모두 약용
내 한 : 영하 23도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열매가 숙성하면 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과판 양면에 불규칙하게 찢어진 틈이 2개씩 생겨 결국 2조각으로 갈라진다.
이런 열매를 시렬과(撕裂果)라고 하는데 이 데이비드회화나무의 특징 중 하나이다.
꽃받침 뿐만아니라 꽃잎도 남자색인 변종도 있다.
중국명 천서백자화 = Sophora davidii var. chuansiensis
'콩과 > -회화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6 개느삼 - 우리나라 특산 콩과 관목 (0) | 2020.03.24 |
---|---|
945 소엽회화나무 - 뉴질랜드 원산 (0) | 2020.03.23 |
943 고삼(苦蔘) = 너삼 (0) | 2020.03.21 |
942 처진회화나무 - 수양회화나무 (0) | 2020.03.16 |
941 회화나무 '콜룸나리스' - 원주형으로 직립하는 회화나무 원예품종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