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우리나라 함경남도 북청군 어느 산기슭에서 정태현박사와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박사가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골담초나 고삼을 닮은 새로운 종의 관목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나카이는 이 신종을 고삼속으로 분류하여 1919년 Sophora koreensis Nakai로 명명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므로 종소명을 koreensis라고 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느삼 즉 너삼을 닮았다고 개느삼 또는 개너삼으로 붙인 것이다. 정작 느삼의 우리 정명은 고삼이 되었는데 이 고삼을 닮은 관목에는 개고삼이 아닌 개느삼이 정명이 되어 둘이 마치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이 나무에 관심이 많았던 나카이는 일본에 가져가 동경의 고이시카와식물원에 심었는데 그는 1952년 사망하였지만 이 나무는 아직도 그 식물원에서 자라고 있다. 일본에서는 개골담초라는 뜻으로 이누무레스즈메(イヌムレスズメ) 한자로는 犬群雀(견군작)이라고 쓰며 별명으로 개고삼 즉 이누쿠라라(イヌクララ)라고 하고 한자로는 狗苦参(구고삼)이라고 쓴다. 우리나라 국명은 나카이가 정한 일본명 이누쿠라라(イヌクララ) 즉 狗苦参(구고삼)를 따라했다는데 그냥 개고삼이라고 하지 굳이 개느삼이라고 하여 헷갈리게 할 이유가 뭐란 말인가? 하여튼 고삼이던 느삼이던 하나로 통일하여야 되는 것이 아닌가?
일본 학자 나카이는 4년 후 이 개느삼을 고삼속이 아닌 별도의 속으로 판단하고 1923년 Echinosophora라는 새로운 속을 신설하여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라고 재명명하게 된다. 속명 Echinosophora는 가시가 있는 고삼속 즉 sophora라는 뜻인데 줄기가 매끄럽지 못하고 가시 비슷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개느삼은 개느삼속 즉 Echinosophora의 유일한 종이 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는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개느삼을 1속 1종 한국 특산식물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대부분 이 새로운 속을 인정하지 않고서 당초 나카이가 고삼속으로 분류하였던 Sophora koreensis를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함경도와 평안도 등 주로 추운 북한지역에서 자생하지만 강원도 양구에서도 자생지가 발견되어 1992년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그 설명이 좀 이상하다. 추운지방에서 자라는 개느삼이 자랄 수 있는 남쪽한계선이 양구라고 한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중부지방에서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말인지 알 수가 없다. 그럼 홍릉에서 채취한 표본은 뭐란 말인가? 그리고 더 온난한 거제도나 일본 동경에서도 자라고 있다는 것으로 봐서는 중부지방에서도 재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다만 온난한 지역에서는 결실이 어렵다는 설명은 있다. 한때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해제되었으며 요즘 시중에서 판매하는 곳도 많다.
등록명 : 개느삼
이 명 : 개너삼, 개능함, 개미풀, 느삼나무
학 명 :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이 명 : Sophora koreensis Nakai
이 명 : Keyserlingia koreensis (Nakai) Yakovlev
분 류 : 콩과 개느삼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우리나라 고유종
수 고 : 1m
줄 기 : 직립, 털, 암갈색, 동아는 털로 덮여 있어 보이지 않고 엽흔 돌출하여 양쪽에 침상의 포
수 피 : 암갈색, 가지는 털
엽 서 : 기수우상복엽, 길이는 4~6cm, 소엽은 13~27개
소 엽 : 타원형 끝 작은 오목형, 원저 길이 8~10mm, 뒷면 흰색모 잎자루와 꽃대축에 털
화 서 : 총상꽃차례, 길이 3 ~ 5cm, 신지정생, 5~6개 길이 15mm 노란색 꽃, 털이 있고, 작은포 피침형, 검은빛, 털
화 악 : 5열 뒤쪽의 2개가 약간 작고 꽃받침통에 털
열 매 : 협과 길이 7cm 겉에 돌기
뿌 리 : 땅속줄기로 번식
화 기 : 5월
과 기 : 7월
내 한 : 영하 34도
'콩과 > -회화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5 소엽회화나무 - 뉴질랜드 원산 (0) | 2020.03.23 |
---|---|
944 데이비드회화나무 = 중국 백자화(白刺花) (0) | 2020.03.22 |
943 고삼(苦蔘) = 너삼 (0) | 2020.03.21 |
942 처진회화나무 - 수양회화나무 (0) | 2020.03.16 |
941 회화나무 '콜룸나리스' - 원주형으로 직립하는 회화나무 원예품종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