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잎싸리는 원래 중국 상해 이남에서 자생하는 큰싸리아속으로 분류되는 키가 3m까지도 자라는 직립관목인데 우리나라에 저절로 흘러 들어 자라고 있던 것이 2007년 강원도 오봉산 부근 도로변에서 강원대 한준수씨에 의하여 발견된 것이다. 이를 동정하는 과정에서 인하대의 한정은 최병희교수 팀이 국내 미기록종임을 확인하고 이 내용을 2008년 식물분류학회지에 논문으로 게재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2011년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한 것으로 보인다. 인하대 한정은 최병희교수 팀은 이 큰싸리 외에도 자주비수리와 분홍싸리도 발견하여 귀화식물로 등록되게 한 분들이다.
큰잎싸리라는 이름은 원산지 중국 이름 대엽호지자(大叶胡枝子)를 따른 것인데 실제로 잎의 길이가 10cm가 넘고 최장 13cm까지 되므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신설된 도로의 법면(경사면)의 토사유실 방지를 위하여 중국에서 도입된 종자에 섞여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이 되며 일본도 비슷한 상황으로 일본에서는 1999년에 야마구치현의 한 도로변에서 처음 발견되어 귀화식물로 편입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서리가 내릴 때까지 꽃을 피우는 싸리라고 오쿠시모하기(オクシモハギ)라고 하며 한자로는 치상추(置霜萩)라고 쓴다. 잎이 온통 털로 덮여 두툼하게 보여 일견 개싸리와 느낌은 비슷하나 우선 잎 크기에서 차이가 나며 또한 꽃의 색상이 홍자색이라서 황백색인 개싸리와 구분이 되고 특히 개싸리는 비수리들과 함께 싸리아속으로 분류되지만 큰잎싸리는 싸리나 조록싸리와 마찬가지로 폐쇄화가 없는 큰싸리아속으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학명 Lespedeza davidii는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1884년 명명한 것이며 종소명 davidii는 프랑스 선교사 Armand David(1826~1900)신부를 기려서 붙인 것인데 아마 그가 중국 강서성(江西省)에서 이 큰잎싸리의 표본을 채집한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드신부는 중국에서 선교활동 중에 엄청난 량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여 유럽으로 보내서 신종으로 명명되게 한 동식물학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 원산 식물 중에 그의 이름이 들어간 종이 매우 많다. 손수건나무는 아예 속명이 Davidia이며 그 외에도 데이비드사피단풍이나 데이비드회화나무 데이비드삼지구엽초 등 우리나라에 등록된 식물도 여러 개이다.
여기서 하나 특이한 사항은 원래 싸리속 식물들은 내한성이 강하지만 이 큰잎싸리는 중국에서 온난한 중부 강소성과 안휘성 하남성이나 그 이남의 아열대 기후인 복건성 광동성 사천성 등지에서 자생하던 식물이며 일본에서도 남쪽 야마구치현에서 발견된 것이라서 싸리속 중에서는 내한성이 약한 것으로 판단되어 왔다. 따라서 영하 10도가 한계온도일 것으로 알려졌으나 우리나라에서 강원도 화천군에서 발견되었다니 내한성이 특별히 약한 것은 아닌 것임을 입증하고 있다. 식물에서 이런 경우가 더러 있다. 예를 들면 칠자화의 경우 원래 중국 비교적 온난한 지방에서 자라던 수종인데 미국으로 건너가 영하 30도 지역에서도 잘 적응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등록명 : 큰잎싸리
학 명 : Lespedeza davidii Franch.
분 류 : 콩과 싸리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우리나라와 일본 귀화식물
중국명 : 대엽호지자(大叶胡枝子)
별 명 : 대엽오초(大叶乌梢) 대엽마료초(大叶马料梢) 활혈단(活血丹)
일본명 : 오쿠시모하기(置霜萩)
수 형 : 직립
수 고 : 1~3m
줄 기 : 비교적 튼튼, 약간 휘어짐, 뚜렷한 능, 유모
탁 엽 : 2, 난상피침형, 5mm
엽 병 : 1~4cm, 단경모
소 엽 : 관란원형, 관도란형, 선단원혹미요, 기부원형혹관설형, 전연, 양면 황백색견모
크 기 : 3.5~7(13) x 2.5~5(8)cm
화 서 : 총상화서 액생 혹 정생 원추화서, 화 초밀집, 엽보다 김
총화경 : 4~7cm, 장유모
소포편 : 난상피침형, 2mm, 외면유모
꽃받침 : 활종형, 5심렬, 6mm, 열편피침형, 장유모
꽃색상 : 홍자색
기 판 : 도란상장원형, 10~11 x 5mm, 정단원혹미요, 기부 귀와 단병
익 판 : 협장원형, 기판과 용골판 대비 단, 7mm, 기부 만구형귀와 세장판병
용골판 : 만도형, 기판 대비 근등장., 기부 명현적 귀와 병
자 방 : 밀피모
협 과 : 난형, 8~10mm, 초왜사, 선단단첨, 기부원, 표면 망문과 견모초밀생
화 기 : 7~9월
과 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28도(?) 우리나라 강원도에서 노지 월동
특 징 : 가뭄에 강하여 사방용으로 식재
'콩과 > --싸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1 풀싸리 - 중국풀싸리로 수정되어야 할 외래종 그리고 참풀싸리와의 관계 (0) | 2020.05.16 |
---|---|
970 참풀싸리 - 풀싸리로 불려야할 우리 자생종이자 일본에서 인기 높은 아름다운 정원수 (0) | 2020.05.13 |
969 검나무싸리 - 암적자색 꽃이 피는 우리 자생종 (0) | 2020.05.09 |
968 조록싸리 - 국내서 가장 흔한 싸리 중 하나 (0) | 2020.05.07 |
967 참싸리 - 광주리 엮기에 적합한 우리 자생종 직립 관목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