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능소화과

997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와 원예종인 '탄제린 뷰티'

낙은재 2020. 7. 8. 18:10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우리 동양 3국에서는 능소화와 개오동 그리고 화염목이나 다양한 트럼펫트리 등이 속한 과인 Bignoniaceae를 능소화과라고 하지만 실제 식물분류학상 과명은 능소화속인 Campsis가 아닌 Bignonia 즉 비그노니아속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정확하게 학명 그대로 말하자면 비그노니아과라고 해야 옳다. 하지만 미국 남부와 중남미가 원산지인 비그노니아가 동양에는 자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능소화과라고 한중일 공통으로 부르고 있다. 다만 중국에서는 자위과(紫葳科) 능소속(凌霄属)이라고 하는데 자위(紫葳)가 비그노니아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자위가 바로 능소화의 또 다른 이름이다. 비그노니아속은 모두 30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널리 보급된 종은 서너 종에 불과하며 그 중에서 모식종인 미국 원산의 Bignonia capreolata와 그 원예종 하나가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그동안 능소화과 수목들을 탐구하면서 수 많은 수종들이 처음에는 비그노니아속으로 분류되었다가 나중에 신설된 속으로 분리되어 나가는 것을 봐 왔다. 아마 초창기에는 트럼펫 모양이 꽃이 피는 종은 웬만하면 모두 비그노니아속으로 분류하였던 것 같다. 그만큼 비그노니아속이 유럽 사람들에게 일찍 알려졌다는 뜻일 것이다.

 

비그노니아의 속명 Bignonia는 프랑스 루이 14세 시절 저명한 성직자 장-폴 비뇽(Jean-Paul Bignon : 1662~1743)의 이름을 따서 그의 제자인 프랑스 식물학자인 Joseph Pitton de Tournefort (1656~1708)가 1694년에 명명한 것을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때 린네가 그대로 따라서 한 것이다. 그러니까 식물분류학이 생기기도 전에 이미 유럽에 알려져 이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속의 모식종인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의 종소명 capreolata는 덩굴손(tendril)이 있다는 뜻이다. 이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는 다른 식물이나 지지 대상을 줄기로 휘감지는 않고 두 개의 잎자루가 갈라지는 지점에서 나오는 덩굴손으로 지지 대상을 감아서 줄기를 지탱하는 덩굴식물인 것이다. 영어 일반명은 Cross vine인데 이는 십자 덩굴이라는 뜻이다. 그냥 외양에서는 그런 모습이 안보이지만 줄기를 자르면 그 단면에 십자 문양이 나타난다. 이는 줄기의 체관부(phloem)가 목질의 물관부(xylem)에 4개의 방사형으로 쐐기를 박아 넣기 때문에 생겨난 특이한 모습이라고 한다.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덩굴손과 줄기 단면

중국에서는 이 비그노니아를 호각등(号角藤)이라고 한다. 호각은 원래 전장에서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 또는 관악기인데 주로 동물의 뿔로 만들었기에 호각(号角)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일종의 나팔이라고 보면 되므로 호각등은 나팔모양의 꽃이 피는 덩굴식물이라는 뜻이 된다. 일본에서는 이를 쯔리가네카즈라(ツリガネカズラ)라고 하며 한자로는 조종갈(釣鐘葛)이라고 쓴다. 조종과 같이 생긴 꽃이 피는 덩굴식물이라는 뜻이다. 일본에서 조종(釣鐘)은 매달린(釣) 종을 말하는데 사찰에 걸려 있는 범종(梵鐘)과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보다 작은 반종(半鐘)도 포함한다. 일본의 반종이란 과거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에 있던 매 교시를 알리던 땡땡땡 종과 같은 작은 종을 말한다. 결국 조종갈(釣鐘葛)은 종과 같이 생긴 꽃이 피는 덩굴식물이라는 뜻이다.

 

중국의 호각과 일본의 조종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는 모카향이 나는 아름다운 꽃을 많이 피우며 덩굴손에 흡반이 붙어 있어 지지대가 없는 벽면도 잘 타오르기 때문에 벽면녹화에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내한성이 영하 26이므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도 충분히 노지월동이 가능하다. 원예종들이 다수 있는데 그 중에 우니라라에도 등록된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탄제린 뷰티'는 꽃 색상이 탄제린 즉 오랜지색이며 길이가 좀 짧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등록명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Bignonia capreolata L.

  : 능소화과 상록 목본성 덩굴식물

원산지 : 미국

영어명 : Cross vine

중국명 : 호각등(角藤)

일본명 : 조종갈(釣鐘葛)

  : 15m

잎모양 : 2출복엽, 가운데 갈라지는 덩굴손

꽃특징 : 5cm 길이, 모카향, 외부 적갈색 내부 노란색

  : 17.5cm 길이, 날개 있는 종자

개화기 : 봄부터 여름

결실기 : 늦여름부터 가을

내한성 : 영하 23

특  징 : 능소화과의 모식속 모식종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열매와 덩굴손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등록명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탄제린 뷰티'

학   명 : Bignonia capreolata 'Tangerine Beauty'

특  징 : 꽃 색상이 탄제린(오랜지) 색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탄제린 뷰티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탄제린 뷰티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탄제린 뷰티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탄제린 뷰티 '
비그노니아 카프레올라타  ' 탄제린 뷰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