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Michelia lanuginosa Wall.인 목련과 수종이 국명 솜털초령목으로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에서부터 동남아를 거쳐 인도에까지 널리 분포하는 수종이다. 종소명 lanuginosa가 융모 즉 솜털이라는 뜻이므로 우리 이름을 솜털이라고한 것 같은데 뒤의 초령목은 일본 신사에서 유래된 이름이므로 일본과 무관한 식물에다가까지 갖다 붙이는 것은 정말 마땅치 않다. 어차피 Michelia속의 우리 이름이 없다면 차라리 중국의 아름다운 이름 함소(含笑)를 따르는 것이 훨씬 바람직해 보인다. 중국 이름도 학명과 같은 맥락으로 잎에 융모(絨毛) 즉 솜털이 밀생한다고 융엽함소(绒叶含笑)라 한다.
그런데 이 솜털함소화의 학명이 헷갈린다. 우선 우리나라에 등록된 Michelia lanuginosa Wall.는 1824년 덴마크 식물학자인 Nathaniel Wallich(1786~1854)가 네팔에서 1821년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명명한 것으로 통합론자들은 나중인 2004년에 명명된 Magnolia lanuginosa (Wall.) Figlar & Noot.을 쓰기도 한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 왈리치가 명명한 것이 아닌 1824년 스위스 식물학자 깡돌이 명명한 학명 Michelia velutina DC.으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종소명 velutina 는 영어 velvet 즉 비로드라는 뜻으로 촘촘하게 짠 비단을 뜻하므로 견모(絹毛)라는 뜻으로 lanuginosa와 비슷한 의미이다. 이 학명 또한 통합론자들에 의하여 2000년에 목련속으로 Magnolia velutina (DC.) Figlar라고 재명명된다. 그런데 이들 둘이 같은 종임이 밝혀져 통합이 되었는데 공교롭게 Michelia lanuginosa 와 Michelia velutina는 같은 해인 1824년에 발표되었다. 그래서 1월에 발표된 Michelia velutina가 6월에 발표된 Michelia lanuginosa보다 앞서기에 미켈리아속에서는 전자를 정명으로 삼아 중국에서는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Michelia속을 따로 분리하는 이상 그렇게 학명이 수정되어야 될 듯하다.
하지만 통합론자들에 의하여 이들을 모두 목련속 즉 Magnolia에 통합시키는 과정에서 보니 이미 1896년에 다른 수종을 대상으로 발표된 Magnolia velutina P.Parm라는 학명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와 종복되어 2000년에 발표한 Magnolia velutina (DC.) Figlar라는 학명은 인정받을 수가 없는 학명이 되고 만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Magnolia lanuginosa (Wall.) Figlar & Noot.가 솜털초령목의 정명이 된 것이다. 다시 정리하자면 분리론자들의 미켈리아속에서는 발표시기가 빠른 Michelia lanuginosa를 정명으로 삼는 반면에 통합론자들의 마그놀리아속에서는 Magnolia velutina는 후순위 중복된 학명으로 비합법명이 되어 그 대신에 Magnolia lanuginosa가 정명이 된다는 것이다.
등록명 : 솜털초령목
학 명 : Michelia lanuginosa Wall. (수정 요함)
수정명 : Michelia velutina DC.
이 명 : Magnolia lanuginosa (Wall.) Figlar & Noot.
이 명 : Magnolia velutina (DC.) Figlar(비합법명)
분 류 : 목련과 Michelia(함소)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중, 네팔,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명 : 융엽함소(绒叶含笑)
수 고 : 15~20m
잎크기 : 11.5~18.5 x 4~6cm
화피편 : 10~12편, 담황색, 협도피침형, 4~6.5 x 1~1.8cm
개화기 : 5~6월
결실기 : 8~9월
내한성 : 영하 12도
'목련과 > Michelia(함소)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2 단초령목 '실버 클라우드' - 왜성 조기 개화 품종 (0) | 2020.09.20 |
---|---|
1061 단초령목 = 남아함소(南亚含笑) (0) | 2020.09.20 |
1059 모드초령목 = 중국 원산 심산함소(深山含笑) (0) | 2020.09.20 |
1058 금협초령목 = 금엽함소(金叶含笑) = 풀겐스초령목 (0) | 2020.09.19 |
1057 초령목(招靈木) = 대만함소(台湾含笑), 국내서도 자생지가 발견된 상록 목련의 일종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