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별목련 '라즈베리 펀'은 정말 보기 드물게 우리나라에서 선종 개발되어 세계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원예품종이다. 이제까지 1134건의 게시글을 올리면서 우리나라 식물학자에 의하여 명명된 수종을 올린 기억이 겨우 몇 건에 지나지 않아 정말 세계 10대 경제 부국이며 비록 국토는 좁지만 다양한 기후대에 걸쳐 있어 식물 분포가 비교적 다양하며 전국 방방곡곡이 기름진 땅이라서 어느 곳 하나 빈틈없이 수목으로 가득차 그야말로 금수강산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맞나 싶을 정도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4천 백여 종이나 되어 중국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일본의 자생종 약 5.500종에 비하면 그다지 적은 것도 아닌데 어떻게 우리나라 식물학자들에 의하여 명명된 식물의 학명이 이토록 없는 것인지 참으로 실망스럽고 안타깝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이렇다할 식물학자가 없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창복박사와 정태현박사가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정태현박사가 명명한 학명은 불과 8건에 불과하고 이창복박사도 겨우 48종에 그치고 있으며 그나마 대부분 초본이라서 목본은 거의 없다시피 한다. 이러던 차에 원예종들 특히 목련의 원예종에서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에서 개발하여 명명한 품종을 더러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반갑지 않을 수 없다. 큰별목련 '라즈베리 펀'이 그 중 하나인데 이 품종은 1987년 천리포수목원의 설립자인 민병갈(1921~2002)박사가 선종 개발하여 1994년 그의 영어명 Carl Ferris Miller로 발표하여 세상에 알려진 것이다.
당초에 큰별목련 '레너드 메셀'의 종자를 구해다가 1978년에 심었는데 그 중에서 하나가 특이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 발견되어 1987년에 선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피편이 12장인 '레너드 메셀'과는 다르게 보다 더 넓은 16~18장의 화피편으로 꽃이 구성되어 있는데다가 2~3장씩 모여서 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꽃망울은 모종인 별목련 '로세아'에 비하여 보다 더 검은색에 가깝고 화피편 안쪽도 핑크색에 짙어 안쪽이 거의 백색에 가까운 '레너드 메셀'과 차이점을 보였다. 게다가 성장이 보다 빠르며 가지가 무성하게 지그재그로 나오는 특성도 보였다. 그리고 개화시기는 '레너드 메셀'과 동일한 것으로 관찰되었다고 한다. 품종명 Raspberry Fun의 라즈베리는 산딸기속 즉 Rubus속 일부 관목들을 통칭하는 말인데 우리나라에 아예 라즈베리라는 국명으로 등록된 Rubus idaeus의 미국 자생 변종인 Rubus idaeus subsp. strigosus를 염두에 두었거나 아니면 우리나라에 서양복분자로 등록된 Rubus occidentalis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후자는 미국에서 자생하며 black raspberry로 불리기 때문이다. 이 '라즈베리 펀' 품종의 특징이 바로 '레너드 메셀'에 비하여 꽃망울의 색상이 검다는 것에서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끝에 왜 fun이 추가되었을까 궁금하였는데 이 나무 옆에 민병갈선생께서 고국의 어머님이 그리워 이런 팻말을 붙였다는 것을 보니 알 수도 있을 듯하다. 어릴적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엄마가 따주던 라즈베리가 무척 맛있어 마냥 즐거워했던 추억을 떠올리며 만리 타국에서 어머니를 그리워했던 민박사의 심정이 눈에 선하다. 나무 아래 이런 팻말이 붙었다고 나무 자체가 어머니와의 추억이 있는 것이 아니고 품종의 라즈베리에 추억이 담긴 것이다.
등록명 : 큰별목련 '라즈베리 펀'
학 명 : Magnolia x loebneri 'Raspberry Fun'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관목
원산지 : 토종 목련과 일본 원산 별목련의 교잡종
육종가 : 천리포수목원의 고 민병갈원장
수 고 : 2~5m
특 징 : 화피편이 16~18, 안쪽 핑크색, 속성수, 꽃망울 암적색
내한성 : 영하 28도
'목련과 교잡종 > 큰별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36 큰별목련 '도나' - 꽃이 가장 큰 품종 (0) | 2020.10.30 |
---|---|
1135 큰별목련 '빅 버사' - 천리포수목원에서 선종한 또 하나의 품종 (0) | 2020.10.30 |
1133 큰별목련 '레너드 메셀' (0) | 2020.10.29 |
1131 큰별목련 '발레리나' (0) | 2020.10.29 |
1130 큰별목련 = 토종 목련과 별목련의 교잡종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