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Magnolia x loebneri 'Merrill'표기되는 큰별목련 '메릴'은 미국 하버드대학 부설 아놀드수목원에서 제4대 원장을 지낸 Karl Sax(1892~1973)박사의 학생들 중 한 명이 1939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토종 목련과 별목련의 교잡 원예품종이다. 우선 우리나라 정명이 목련인 우리나라와 일본 원산의 Magnolia kobus를 목련속 수종들 전체를 통칭하는 광의의 목련과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토종 목련이라고 칭한다. 큰별목련 '메릴'은 지름이 15cm나 되어 부모종인 토종 목련이나 별목련 어느 쪽보다도 큰 백색 꽃을 매우 풍성하게 피우는 것이 특징이다. 속성수로 키가 7.5m까지 자라서 부모종의 중간 형태를 취하며 어린 나이에 꽃이 피는 장점이 있으며 내한성이 강하다. 대개 15장 이상의 화피편으로 구성되어 있어 토종 목련의 6장보다는 훨씬 많지만 별목련보다는 적거나 같다. 그리고 개개 화피편이 별목련보다는 더 넓어 토종 목련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이 품종은 아놀드수목원에서 제3대 원장을 지낸 Elmer Drew Merrill의 이름을 기려서 'Merrill'이라는 품종명을 붙여서 1952년 아놀드수목원 소식지인 Arnoldia에 아놀드수목원 수석 원예사인 Donald Wyman(1904~1993)이 소개함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이다. 나중에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 즉 AGM로 선정된 바도 있는 이 큰별목련 '메릴'은 어린 나이에 꽃이 피는데다가 그 꽃이 매우 크고 풍성하며 나무의 사이즈가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크지만 미국 정원에는 매우 적합한 6~9m이며 내한성이 강하여 이른 봄에 개화하지만 늦서리 피해를 적게 입는다는 장점도 있어 매우 인기가 높다.
그리고 이 품종에는 하버드대학부설 아놀드수목원에서 근무하였던 식물학계에서는 매우 유명한 인사가 무려 세 사람이나 등장하고 있다. 그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품종명의 장본인 Elmer Drew Merrill (1876~1956)은 식물분류학 전공 식물학자로서 1902~1924 필리핀에서 22년간 근무하면서 필리핀은 물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식물을 조사하여 무려 250,000점의 표본을 채집하게 된다. 귀국 후 버클리대학과 콜럼비아대학 교수를 거쳐 1935년 하버드대 교수로 옮겨 1937년부터 아놀드수목원의 원장으로 1946년까지 재직하면서 포본 확충사업을 벌려 아놀드수목원이 무려 220,000점의 표본을 가지게 만든다. 그는 은퇴 후에도 계속 식물 탐사활동을 이어갔는데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속명이 7개나 되며 종명은 무려 200종이 넘는다고 한다.
이 품종의 개발자이자 메릴에 이어 제4대 아놀드수목원 원장으로 재직한 바 있는 Karl Sax(1892~1973)는 유전학 전공 식물학자로서 세포유전학과 방사선이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1922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28년부터 하버드대에서 일을 하였으며 1938년 'X선에 의해 유도된 염색체 이상'이란 논문을 발표하여 방사선이 염색체 변환이나 염색체에 비정상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주요한 유전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래서 방사선 세포학이 태동하는 계기가 되었기에 그를 방사선 세포학의 아버지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는 육종에 관심이 많아서 사과나무와 꽃사과 그리고 벚나무와 목련, 개나리 등의 육종에 힘을 썼다. 이 큰별목련 '메릴' 또한 그가 제자들과 함께 개발한 품종 중 하나인 것이다. 그는 1946년부터 1954년까지 아놀드수목원장으로 재직하였으며 은퇴 후에도 식물 육종 작업을 계속하였다고 한다.
Donald Wyman(1904~1993)은 코넬대학에서 원예학박사 학위를 받고 1935년부터 1970년까지 아놀드수목원의 식물들을 실제 관리하는 원예사로 일하면서 나중에 수석 원예사로 퇴직한 원예학자인데 그 동안 원예에 관한 수많은 저서들을 남겼다. 그리고 그는 미국원예학회를 조직하여 회장도 역임한 바 있으며 미국원예학회와 영국 왕립원예학회 미국정원협회 등 수많은 학회와 단체로부터 공로 메달을 받기도 했다. 꽃사과 'Donald Wyman'은 1970년 그의 은퇴기념으로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원예품종이다.
등록명 : 큰별목련 '메릴'
학 명 : Magnolia x loebneri 'Merrill'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토종 목련과 일본 원산 별목련의 교잡종
육종가 :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의 Karl Sax(1892~1973)교수와 제자, 1952년 발표
수 고 : 7.5m
특 징 : 크고 흰 꽃이 풍성하게 핌, 내한성이 강하고 조기 성숙 및 조기 개화
내한성 : 영하 28도
특 기 : RHS AGM 수상
'목련과 교잡종 > 큰별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42 큰별목련 '파우더 퍼프' (0) | 2020.11.02 |
---|---|
1141 큰별목련 '닐 맥이칸' - 이탈리아 Villa Taranto Botanical Gardens에서 유래된 품종 (0) | 2020.11.01 |
1139 큰별목련 ‘메그스 피루엣’ - 인기 왜성 신품종 (0) | 2020.10.30 |
1138 큰별목련 ‘그린 미스트’ (0) | 2020.10.30 |
1137 큰별목련 '앙코르' (0) | 202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