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속의 주요 4개 아속인 철쭉아속 즉 Subgeus Pentanthera는 원래 수술이 5개라는 뜻인데 가끔 우리나라 철쭉과 같이 수술이 10개인 종도 철쭉아속에 포함되어 있다. 이번에 파악할 캐나다와 미국 북동부가 원산지인 캐나다철쭉 또한 수술이 10개이지만 이 속으로 분류된다. 그래서 수술이 5개인 수종들을 묶어서 분류하는 section Pentanthera과는 다르게 section Rhodora으로 분류하는데 우리 철쭉과는 또 다른 조(組)로서 이 조(section)로 분류되는 종은 이 캐나다철쭉 외에도 다음에 탐구할 북미 원산 핑크쉘철쭉 한 종이 더 있다. 이 조를 Rhodora라고 부르는 이유는 당초에는 린네가 이질감 있는 이 수종을 진달래속(Rhododendron)이 아닌 별도의 독립된 Rhodora라는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현재 진달래속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Rhodora는 장미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캐나다 이주민들이 1730년대부터 이 수종을 현지에서 부르던 이름이다. 현재의 학명 Rhododendron canadense (L.) Torr.는 1841는 미국 진달래속 전문 식물학자인 John Torrey (1796~1873)가 린네가 명명한 학명에서 속을 변경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키가 05~1.2m인 이 캐나다철쭉은 자색을 띤 핑크색 지름 2~3cm의 꽃이 가지 끝에 잎이 나오기 전에 2~6송이씩 모여서 피는데 꽃잎 5장 중 위 3장이 붙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꽃이 진 다음에야 나오는 잎은 길이 2~6cm에 너비 1~2cm이다. 꽃도 잎도 없을 때에는 이 수종은 길이 1.2cm의 특이한 황갈색 열매로서 식별을 할 수도 있다. 계곡가나 늪지 주변 또는 숲 가장자리 습한 지역 산성 토양을 좋아하는 이 수종은 캐나다 원산답게 내한성은 거의 극한에 가까운 영하 45도라고 하니 추위는 따질 것이 없지만 겨울에도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에서는 정상적인 성장은 어려울 듯하다.
이 캐나다철쭉은 오랫동안 미국 뉴잉글랜드주의 상징 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실제로 뉴잉글랜드주 식물협회에서는 이 꽃을 로고로 삼고 발간하는 잡지의 이름 또한 로도라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수종은 무엇보다도 미국의 19세기 대표적인 사상가이자 시인인 Ralph Waldo Emerson(1803~1882)이 쓴 시 "The Rhodora: On Being Asked Whence Is the Flower" 즉 '로도라 너는 어디서 왔는가?'라는 시 때문에 널리 알려진 이름의 수종이다. 우리 국명은 초기에는 황당하게도 카나덴세철쭉이라고 부르다가 최근에 캐나다철쭉으로 바로잡은 것으로 보인다.
등록명 : 캐나다철쭉
과거명 : 카나덴세철쭉
일반명 : 로도라철쭉
학 명 : Rhododendron canadense (L.) Torr.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낙엽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철쭉아속
원산지 : 캐나다 미국 동북부
영어명 : Rhodora, Canada Rosebay
중국명 : 가나대두견(加拿大杜鵑)
수 고 : 0.5~1.2m
잎크기 : 6 x 2cm
꽃특징 : 자분홍, 자적색, 지름 2~3cm, 2~6송이, 꽃잎 3
수 술 : 10개
개화기 : 4~6월
특 기 : 사람과 동물에 해로운 독성이 있음
내한성 : 영하 45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철쭉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45 흰철쭉과 흰산철쭉 그리고 흰진달래와 흰영산홍 (0) | 2021.02.18 |
---|---|
1344 핑크쉘철쭉 - 우리 연달래를 닮은 미국 동남부 원산 아름다운 철쭉 (0) | 2021.02.18 |
1342 미국서부철쭉 - 수많은 원예종들의 부모종 (0) | 2021.02.17 |
1341 불꽃철쭉 -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철쭉 (0) | 2021.02.16 |
1340 습지철쭉 - 미국 동부원산 비스코숨철쭉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