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철쭉아속

1344 핑크쉘철쭉 - 우리 연달래를 닮은 미국 동남부 원산 아름다운 철쭉

낙은재 2021. 2. 18. 13:12

핑크쉘철쭉
핑크쉘철쭉
핑크쉘철쭉

학명 Rhododendron vaseyi A. Gray로 표기되는 핑크쉘철쭉은 미국 애팔래치아산맥 중 노스캐롤라이나주 지역 고원지대에서만 자생하는 키 5m의 낙엽성 관목이다. 4월에 잎이 나기 전에 지름 4~6cm의 핑크색 꽃이 4~8송이씩 모여서 가지 끝에 매우 아름답게 피는 이 수종을 1878년 영국 태생 미국 식물학자 George S. Vasey (1822~1893)의 아들이 최초 발견하였기에 미국 식물학자 Asa Gray (1810~1888)가 이를 1879년 그들 부자의 이름을 종소명으로 하여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그 후에 다른 학자에 의하여 아잘레아속으로 편입되기도 하였으나 아잘레아속이 없어지면서 더 이상의 논란은 없게 되었다.

 

꽃 색상이 백색에 가까운 경우도 있지만 주로 핑크색이라서 현지에서 Pinkshell Azalea로 부르므로 우리나라 이름도 핑크쉘철쭉을 붙인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른 봄에 피는 가장 아름다운 철쭉 중 하나로 꼽는 이 수종은 영국의 RHS로부터 대상급인 AGM를 수상한 바도 있고 미국에서도 올해의 철쭉으로 선정된 바도 있는 인기 수종인데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일반인들의 마구잡이 훼손 등으로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꽃이 기본적으로 종모양이기는 하지만 꽃잎이 활짝 열려 펴지며 수술이 예외적으로 5~6개인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7개라는 것이 특징이다. 잎은 양쪽 끝이 쐐기형인 장타원형으로서 길이 7.5~15cm에 너비 2.5~7.5cm이며 가을에는 진한 버건디 색상으로 단풍이 든다.

 

왼쪽은 핑크쉘 조개이며 오른쪽은 조개 모양을 한 핑크쉘 양초이다.

 

진달래속 중에서 철쭉아속으로 분류되며 또 다시 앞 캐나다철쭉과 마찬가지로 section Rhodora 즉 로도라조(組)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서로 이질감이 있다는 주장이 많다. 실제로 최근 유전자 감식에서도 근연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이 핑크쉘철쭉은 학명이 Rhododendron albrechtii인 저 멀리 떨어진 일본 고유종인 무라사키야시오쯔쯔지(ムラサキヤシオツツジ) 즉 자팔석철쭉(紫八汐躑躅)과 가깝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후자와 같은 조로 분류되며 수술도 동일하게 10개인 우리나라 연달래 철쭉과도 결국 가까운 관계가 되는 셈이다. 실제로 이들 셋이 그림상으로는 조금 비슷해 보이기는 한다.

 

일본의 무라사키야시오쯔쯔지(좌)와 우리나라 연달래 철쭉(우)

 

등록명 : 핑크쉘철쭉

과거명 : 바세이철쭉

학  명 : Rhododendron vaseyi A. Gray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낙엽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철쭉아속

원산지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애팔래치아산맥 고원

영어명 : Pinkshell Azalea

중국명 : 노스캐롤라이나철쭉(北卡罗莱纳杜鵑)

수  고 : 3~5m

잎크기 : 16 x 7.5cm

꽃특징 : 핑크색, 백색, 지름 4~6cm, 4~8송이, 꽃잎 4~5

수   술 : 7개 (드물게 5~6)

개화기 : 4월

특   기 : 사람과 동물에 해로운 독성이 있음

내한성 : 영하 26도

 

 

핑크쉘철쭉 - 수술이 5~7개이다.
핑크쉘철쭉
핑크쉘철쭉
핑크쉘철쭉
핑크쉘철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