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만병초아속

1394 무병만병초 - 잎자루가 짧은 중국 원산 무병두견(无柄杜鹃)

낙은재 2021. 4. 10. 17:35

무병만병초 - 잎은 길지만 잎자루는 거의 없다. 

진달래속 만병초아속은 모두 하나의 조인 Section Ponticum으로 분류되고 이 조에서 다시 25개의 아조로 세분되는데 잎이 크다고 subsection Grandia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아조가 있다. 중국에서는 대엽(大叶)두견아조라고 부르는 이 아조에는 모두 12종이 속하지만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 두 개 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앞 게시글의 은회만병초이고 또 다른 하나가 바로 이 무병만병초이다. 무병만병초는 중국 사천성과 감숙성이 원산지인데 중국명은 잎자루 즉 엽병(葉柄)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고 무병두견(无柄杜鹃)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무병만병초가 된 것이다. 실제로는 잎자루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고 같은 아조 여타 종에 비하여 매우 짧기는 하지만 그래도 잎자루가 5~10mm는 된다. 에서 본 은회만병초만 하여도 잎자루가 15~25mm나 되므로 두세 배나 길다. 그런데 무병만병초는 그 짧은 잎자루 양측에 날개가 있어 마치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기는 한다. 

 

이 수종은 1904년 20세기 최고의 식물 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이 중국 사천성 어느 지역의 해발 3,000~3,800m 고지대에서 발견하여 1910년 영국 왕실 정원인 큐에서 일하던 식물학자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와 공동명의로 Rhododendron watsonii라는 학명으로 부여한 것인데 여기서 종소명은 영국의 식물학자 겸 의사이자 린네의 식물분류학의 영국 도입에 기여를 한 William Watson(1715~1787)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리고 어네스트 윌슨은 그 해 5월과 10월 두 번이나 그 장소에 가서 채집을 했는데도 정확하게 그 지역이 어디인지를 아직 중국에서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어를 전혀 모르던 윌슨이라서 정확한 기록을 남길 수가 없었던 것 같다.

 

등록명 : 무병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watsonii Hemsl. & E.H.Wilso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소교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중국 감숙성, 사천성

중국명 : 무병두견(无柄杜鹃)

수   고 : 1.5~6m

잎특징 : 10~23 x 4~10cm, 혁질, 하면 은백색 담갈색 모

잎자루 : 5~10mm, 양측 날개, 무모

꽃차례 : 전생 총상 산형화서, 12~15송이, 총축 1cm

꽃특징 : 화악소, 화관 관종형, 3.5~4cm 길이, 백색, 연분홍색, 7렬

수   술 : 14개, 부등장

개화기 : 5~6월

내한성 : 영하 12~15도

 

무병만병초
무병만병초
무병만병초
무병만병초
무병만병초
무병만병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