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만병초아속

1398 톰슨만병초 - 히말라야 원산 중국명 반원엽두견(半圆叶杜鹃)

낙은재 2021. 4. 13. 18:55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는 학명이 Rhododendron thomsonii Hook. f.로 표기되는데 이는 영국 귀족 출신으로서 식물지리학을 창설한 학자로서 진화론을 창설한 찰스 다윈의 절친이면서  탐험가인 Joseph Dalton Hooker(1817~1911)경이 1947부터 1951년까지 3년 넘게 진행된 그의 유명한 히말라야 식물탐사 과정에서 현재는 인도로 편입된 시킴지역 해발 3,900m에서 발견하여 1851년에 그의 친구인 외과의사이자 식물학자이며 나중에 동인도회사 캘커타식물원의 원장을 역임하게 되는 Thomas Thomson(1817~1878)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후커일행이 발견한 신종은 두 사람의 공동 명의인 Hook.f. & Thomson로 발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우리나라에도 그들이 공동으로 명명한 학명이 13종이나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히말라야 원정 때 발견한 아름답기로 유명한 캠밸목련도 그들의 공동 명의로 또 다른 협력자 캠밸박사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후커경과 톰슨박사

대개 히말라야 원산 식물이 그렇지만 이 수종도 인도 시킴 외에도 부탄과 네팔 중국 티벳 등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에서는 이를 잎 모양이 둥글다고 반원엽두견(半圆叶杜鹃)이라고 부른다. 이름에 걸맞게 이 수종은 잎이 거의 원형에 가깝고 꽃받침이 크고 꽃의 색상이 심홍색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유럽에 건너가서는 인기도 높고 여러 원예종의 부모종으로 활용이 되었지만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재배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등록명 : 톰슨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thomsonii Hook. f.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인도 시킴, 부탄, 네팔, 중국 티벳

중국명 : 반원엽두견(半圆叶杜鹃)

수   고 : 2~4m

잎특징 : 3~5매 지정 밀생, 혁질, 근원형, 4~7 x 3~6cm, 상면 무모 하면 백분

꽃받침 : 배상, 5~12mm, 하부 녹색 상부 홍색, 5렬, 부등장

꽃부리 : 종상 관상, 4~5cm 길이, 지름 4.5cm, 심홍색, 5렬

수   술 : 10개, 12~3cm, 부등장

개화기 : 6월

내한성 : 영하 15도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 1849~1851에 그려진 세밀화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톰슨만병초 - 꽃받침이 크며 잎이 거의 원형에 가깝다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