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스만병초의 학명 Rhododendron williamsianum은 미국 하버드대 부설 아놀드수목원에서 일한 독일계 미국인 식물학자 Alfred Rehder (1863~1949) 교수와 처음에는 영국을 위하여 나중에는 미국 아놀드수목원을 위하여 일한 20세기 최고의 식물 채집가로 알려진 Ernest Henry Wilson(1876~1930)의 공동 명의로 1913년 명명된 것이다. 이 수종은 아놀드에서 파견된 어네스트 윌슨이 1908년 중국 사천성 형경현(荥经县) 와산(瓦山) 해발 2,800m의 절벽에서 자라는 것을 발견하여 채집한 것이라고 한다. 이 표본을 대상으로 하버드대 식물학교수인 알프레드 리더와 함께 새로운 종으로 분류하고 williamsianum이라는 종소명을 붙여서 명명한 것을 아놀드수목원의 초대 원장이던 Charles Sprague Sargent (1841 ~ 1927) 박사가 1913년에 발표한 것이다. 사전트교수는 중국을 다섯 번이나 방문한 어네스트 윌슨이 1899년 생애 최초로 중국을 방문하기 전에 미국에 들렀을 때 5일 동안 식물 채집 방법과 장기간 운송하기 위한 표본 포장방법 등을 교육한 사제의 인연이 있는 관계로서 그 당시 세계적으로 저명한 식물학자이었다.
여기서 종소명 williamsianum은 오늘날 세계적인 목련 수목원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의 유명한 캐헤이스성 수목원을 조성한 John Charles Williams (1861~1939)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는 영국 명문 캠브리지대를 졸업하고 잠시 국회의원으로 정치를 하다가 그만 두고 정원 조성과 식물 채집 및 육종에 관심이 많았는데 어네스트 윌슨과 동시대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중국 운남성을 7번이나 탐사하여 무려 31,000점의 표본을 채집한 영국의 또 다른 유명한 식물 헌터인 George Forrest(1873~1931)를 직접 후원한 사람이다. 영국 출신인 어네스트 윌슨이 나중에 미국으로 건너가기 전에 캐헤이스성이 아닌 영국의 원예 명문인 비치가문에서 중국에 파견한 것이지만 캐헤이스성과 비치가문이 매우 우호적인 협력관계에 있었으며 미국의 하버드를 위하여 일한 다음에도 윌슨이 채집한 식물들이 캐헤이스성 수목원으로도 보내진 것이기에 관계가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지 포레스트는 식물 표본의 채집이 주목적이었다면 어네스트 윌슨은 종자 채취 등에 의한 실제 식물의 반입이 주목적이었던 것 같다. 맨 처음 비치가문에 의하여 그가 중국에 파견된 주임무가 오직 손수건나무의 종자를 채집해 오는 것이었으며 그 다음은 양귀비이었고 나중에 미국 아놀드에서 파견할 때의 주임무는 미국 정원에 심을 만한 수목들을 채집하는 것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동안 수많은 아름다운 동양 수종들이 그에 의하여 서양에 처음 도입되었다는 기록을 앞에서 많이 보아왔던 것이다.
우리나라에 만병초아속으로 등록된 원종 27종 중 마지막으로 탐구하게 되는 윌리엄스만병초는 키가 1~2m까지만 자라는 왜성 관목인데 중국 사천성 남부 아미산 부근과 귀주성 서부 그리고 운남성 동북부와 서장성 동남부의 해발 1,900 ~ 2,800m 고지대의 암석지대에서 자생하는 희귀종으로서 혁질 잎이 거의 원형에 가까워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를 원엽두견(圆叶杜鹃)이라고 부른다. 분홍색 꽃은 5~6갈래로 갈라지며 수술은 10~12이지만 간혹 14개인 경우도 있다. 원형의 잎은 전면은 심록색이고 후면은 회백색이며 잎맥은 양면으로 약간 볼록하며 망상맥이라는 것 특징이다. 그리고 잎자루와 암술대 자방 및 열매에 선체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내한성은 약하다고 언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영하 21도라고 하므로 장소에 따라서 대책을 잘 세우면 노지월동을 시도해 볼 만하다. 매력적인 분홍색 꽃 색상과 처음 구리색으로 나오는 동그란 잎의 아름다움으로 중국 만병초들 중에서 최고라고 칭송하는 사람도 있는 이 수종은 영국 RHS로부터 대상인 AGM을 수상한 바도 있으며 많은 원예품종 개발에 부모종으로 활용된다고 한다.
등록명 : 윌리엄스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williamsianum Rehder & E.H.Wilso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원엽두견(圆叶杜鹃)
수 고 : 1~2m
잎특징 : 혁질 근원형, 2.5~5 x 2~4cm, 전면 무도 심록색 후면 유두돌기, 회백색
잎면맥 : 양면 중맥과 측맥 돌출, 망상맥
잎자루 : 1~1.5cm, 가끔 유선체
꽃차례 : 2~6송이 총상 산형화서 총축 선체 5~8mm
꽃받침 : 6렬, 반상, 유병선체
꽃부리 : 관종상, 3.5~4cm 길이, 지름 4~4.5cm, 분홍색, 무색점, 5~6렬
수 술 : 10~12(14), 부등장
자 방 : 난원형, 선체, 선체
열 매 : 삭과 원주형 선체
개화기 : 4~5월
내한성 : 영하 15~23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만병초아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98 톰슨만병초 - 히말라야 원산 중국명 반원엽두견(半圆叶杜鹃) (0) | 2021.04.13 |
---|---|
1397 대만고산만병초 - 대만산지두견(台湾山地杜鹃) (0) | 2021.04.13 |
1396 아리산만병초 - 대만 원산 옥산(玉山)두견, 아리산(阿里山)두견 (0) | 2021.04.12 |
1395 노주만병초 - 중국 원산 노주두견(露珠杜鹃) (0) | 2021.04.11 |
1394 무병만병초 - 잎자루가 짧은 중국 원산 무병두견(无柄杜鹃)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