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잘레아 ‘아모이눔 코키네움’ 또한 일본 원산의 기리시마쯔쯔지 즉 무도철쭉의 원예품종이다. 에도시대 천보(天保) 연간(1831~1845)에 무도철쭉을 원산지인 규슈의 구루메지역에서 판본원장(坂本元蔵, 1785~1854)이라는 걸출한 육종가가 주축이 되어 개량하여 인근 사무라이들 정원에서 재배한 품종인 이른바 구루메쯔쯔지(久留米ツツジ) 중 하나의 품종인 코쵸노마이(コチョウノマイ) 즉 호접무(胡蝶の舞)에서 출발한다. 호접(胡蝶)이란 나비를 말하는데 이 꽃이 마치 나비가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이라고 호접의 무(舞)란 이름이 붙은 것이다. 이 품종이 일찍이 상해로 넘어갔는데 거기서 스코틀랜드 식물 채집가 Robert Fortune(1812~1880)이 중국 상해의 Poushan이라는 화원에서 1850년 처음 발견한 것이다. 그는 이 품종이 일본의 호접무(胡蝶の舞)인 줄을 모르고 다른 학자에 의하여 하나의 독립된 종이나 영산홍의 변종 등으로 명명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일본의 ‘Kocho-no-mai’라는 품종임이 밝혀져 이제는 ‘Amoenum’이라는 원예품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서 Amoenum은 영어로 Delightful 즉 매력적이라는 뜻이다. 이 아모이눔 품종은 20~23mm 길이의 적자색 꽃이 겹으로 2~3송이 모여서 피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런데 이 이모이눔 품종 중에서 꽃 색상이 밝은 carmine red인 또 다른 변이종이 발견된 것을 특별히 Rhododendron 'Amoenum Coccineum'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Coccineum은 Scarlet 즉 진홍색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품종 ‘아모이눔’은 적자색이고 품종 ‘아모이눔 코키네움’은 밝은 카민레드 색상인데 뚜렷한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게다가 원래의 색상으로도 되돌아가기도 한다고 하니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나 싶다. 그래서 이 품종을 그냥 아모이눔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보인다.
그런데 아모이눔이나 아모이눔 코키네움 모두 관모양의 꽃 속에 마치 또 다른 관모양의 꽃이 피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어 이런 모습의 꽃을 hose-in-hose형 꽃이라고 한다. 진달래의 겹꽃들 중에서 이런 모습이 많은데 이런 유형의 대표적인 꽃이 앵초 즉 프리물러이다.
등록명 : 아잘레아 '아모이눔 코키네움'
학 명 : Rhododendron 'Amoenum Coccineum'
유사종 : Rhododendron 'Amoenum'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아잘레아, 영산홍아속
원산지 : 일본 무도철쭉의 원예종인 구루메쯔쯔지의 일종
일본명 : クルメツツジ '胡蝶の舞'
수 고 : 1.5m
꽃특징 : hose-in-hose형 겹꽃
내한성 : 영하 18도
'진달래과 진달래속 > 교잡 아잘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46 아잘레아 ‘블라우스 핑크’ - 일본 구루메철쭉 중 한 품종 (0) | 2021.06.30 |
---|---|
1445 아잘레아 '아프로디테' - Glenn Dale Hybrids (0) | 2021.06.24 |
1443 아잘레아 '베니기리시마' = 영산홍(사츠키) '홍모란' (0) | 2021.06.21 |
1441 아잘레아 ‘마더스 데이’ - 벨기에에서 육종된 무도철쭉 품종 (0) | 2021.06.21 |
1440 아잘레아 ‘히노마요’ - 일본 황실에서 서양으로 건너간 인기 품종 (0) | 202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