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노봉백산차라는 학명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Michaux.로 등록된 자생종이 또 하나 있다. 그 형식으로 봐서는 참백산차의 잎이 넓은 변종이라는데 이 또한 어디서 자생하는 어떤 수종인지에 대하여 명확하지 않다. 우선 노봉(鷺峯)이 정확하게 어디인지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나라 식물 조사를 위하여 일본에서 온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 일본 약용식물학자인 이시도야 츠토무(石戸谷 勉, 1884~1958)와 함께 평안북도 강계군과 함경남도 장진군의 경계에 위치하는 높은 산인 노봉(鷺峯)을 탐사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조선노봉식물조사서(朝鮮鷺峯植物調査書)라는 이름의 46쪽짜리 보고서가 남아 있으며 우리 하은 정태현선생께서 함께 동행하였다는데도 그 노봉의 위치를 잘 모른다는 게 답답하다. 조사보고서 서문에 나카이가 노봉은 낭림산맥의 최고봉으로서 평안북도 강계군(현 자강도 용림군)과 함경남도 장진군의 경계에 있는 산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해발 2,260m인 와갈봉(臥碣峰)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태현선생도 노봉은 2,210m라며 정상 부근인 2,050m 이상은 준고산초목대로서 평원이 있었다고 언급한 적이 있는데 낭림산맥에서 2,200m가 넘는 봉우리는 와갈봉과 맹부산(猛扶山, 2,214m) 둘뿐이며 그 중 최고봉인 와갈봉에는 넓은 평원이 있다고 한다.
그 노봉에서 발견한 백산차를 일본학자 나카이가 학명을 Ledum palustre var. groenlandicum (Retz.) Nakai로 표기하였지만 제대로 발표된 학명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국내서는 정태현(1882~1971)선생이 1942년 조선삼림식물도설에서 산백산차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1949년 박만규(1906~1977)선생은 우리나라식물명감에서 천도백산차라고 제시한다. 여기서 천도(千島)란 바로 쿠릴열도를 부르는 일본식 이름이다. 그러니까 나카이의 학명이나 박만규선생의 국명으로 봐서는 일본의 천도기철쭉(千島磯躑躅)과 동일한 종이라는 것이므로 결국 함경백산차와 유사종이 된다. 그러다가 나중인 1966년에 이창복(1919~2003)박사가 한국수목도감에서 학명을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Michaux.라고 표기하여 함경백산차와는 다른 학명으로 표기하고 국명도 노봉백산차로 제시한 것을 현재 정명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 같다.
학명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Michaux는 원래 오스트리아 식물학자인 Nikolaus Joseph von Jacquin(1727~1817)이 1788년에 Ledum latifolium Jacq.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프랑스 식물학자이자 탐험가인 André Michaux(1746~1802)가 참백산차의 변종으로 편입시켜 재명명한 것이다. 그래서 정확하게는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Jacq.) Michx.이라고 학명 표기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이 변종은 Ledum groenlandicum Oeder의 유사종으로 분류되어 결국 함경백산차와 같은 종이 되어 버렸다. 그러다가 최근에 백산차속이 진달래속 백산차아절로 편입되면서 1990년 미국 식물학자들에 의하여 Rhododendron groenlandicum (Oeder) Kron & Judd이라는 새로운 학명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결국 노봉백산차는 일제 강점기에 나카이에 의하여 함경도 노봉에서 발견된 수종으로서 참백산차나 백산차와는 뭔가 다른 종이라고 판단하였지만 이 수종을 동정한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학명들은 거의 모두 북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하는 래브라도 티라고 불리는 함경백산차의 유사학명들이다. 따라서 노봉백산차는 함경백산차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말해도 무방해 보인다.
그런데 노봉백산차의 유사학명 중에 스웨덴 자연학자인 Georg (Göran) Wahlenberg(1780~1851)가 1812년에 참백산차의 변종으로 명명한 Ledum palustre var. dilatatum Wahlenb.라는 학명이 있다. 이 학명은 나중에 함경백산차가 아닌 참백산차의 유사학명으로 분류되어 이명처리 되고 있다. 그러니까 함경도 노봉에서 발견된 백산차는 대다수가 함경백산차의 유사종이라고 동정하였지만 일부 학자는 참백산차의 유사종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여기에다가 일부 학자들은 노봉백산차는 백산차를 잘못 동정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되면 결국 노봉백산차는 함경백산차로 통합되던가 아니면 참백산차 또는 백산차로 통합되어야 마땅한 처지가 된 것이다. 이런 저런 설이 난무하는 이유는 현재 실물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물이 있다면야 이거든 저거든 아니면 새로운 종이던 어떤 결말이 분명하게 날 것인데 말이다.
등록명 : 노봉백산차
이 명 : 산백산차, 천도백산차
신학명 : Rhododendron groenlandicum (Oeder) Kron & Judd
구학명 : Ledum palustre var. latifolium Michaux
신분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백산차아절 상록 관목
구분류 : 진달래과 백산차속 상록 관목
원산지 : 그린란드, 캐나다, 미국, 러시아
영어명 : bog Labrador tea, Muskeg tea, Swamp tea
일본명 : 천도기철쭉(千島磯躑躅)
특 기 : 함경백산차나 참백산차 또는 백산차에 통합되어야 할 수종
'진달래과 > 에리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53 로이셀레우리아 프로쿰벤스 – 칼미아속으로 편입된 포복성 한대 수종 (0) | 2021.12.11 |
---|---|
1652 백산차 – 백두산에서 나는 고대 제천의식에 사용한 유독성 차 (0) | 2021.12.09 |
1650 함경백산차 – 국내 자생여부가 의문시 되는 Labrador tea (0) | 2021.12.06 |
1649 좁은백산차 – 참백산차의 포복성 왜성 아종 (0) | 2021.12.04 |
1648 참백산차 – 왕백산차와 좀백산차를 통합한 극한 지방 진달래 일종 (0) | 202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