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진달래과 중에서 가장 많은 수종이 등록된 Ericoideae 즉 에리카아과(亞科)에 대한 탐구를 마쳤다. 에리카아과에는 진달래속 320종을 포함 모두 10속 380종의 수종이 등록되어 진달래과 전체 487종의 78%나 차지하는 가장 큰 아과이다. 이제 남은 6개 아과 중에서는 Vaccinioideae 즉 산앵도나무아과가 73종이 되어 가장 크지만 우선 Arbutoideae 즉 딸기나무아과부터 시작을 한다. 딸기나무아과는 3개의 속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심인 모식속은 Arbutus 즉 딸기나무속이다. 이 속은 지중해와 서부유럽 그리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서 전세계 모두 13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 중에 모식종인 우네도딸기나무와 멘지스딸기나무 등 원종 기준으로 두 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럼 우네도딸기나무에 대하여 파악해 본다.
국내 수목원에서 가끔 딸기보다 더 아름다운 열매가 달린 이 수종이 우네도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것을 봤을 때는 일본 원산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실제로 일본에서 더러 보이길래 정말 그렇게 믿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이 수종은 일본과는 전혀 무관한 지중해 연안 국가들과 서프랑스 그리고 아일랜드 등 서부 유럽이 원산지이다. 키가 주로 3~4.5m까지 자라는 큰 관목이지만 드물게는 10m넘게 자라는 소교목이 되기도 한다는 이 수종은 그 열매가 우리가 식용하는 딸기를 닮아서 영어로 strawberry tree라고 불린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름도 딸기나무이며 중국에서도 이 수종을 식용 딸기인 초매(草莓) 즉 Fragaria x ananassa를 많이 닮았다고 초매수(草莓树)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재배용 과일인 딸기는 초매(草莓)라고 하고 산딸기 등 나무딸기는 현구자(悬钩子)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우리 일반인들은 초본인 딸기와 산딸기나 곰딸기 복분자딸기 등 목본 딸기를 같은 식물로 인식하기 쉬우나 둘 다 장미과이기는 하지만 나무딸기들은 딸기속 즉 Fragaria가 아닌 산딸기속 즉 Rubus로 분류하여 엄연하게 다르다. 영어로도 나무딸기들은 raspberries라고 하고 풀딸기는 strawberries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풀딸기 나무딸기 구분 없이 모두 이치고(苺)라고 부르는 일본에서는 이 수종을 이치고노키(イチゴノキ, 苺の木)라고 우리의 딸기나무와 같은 맥락으로 부른다. 참고로 이 딸기나무 외에도 딸기 비슷한 모양의 열매가 달리는 나무가 있는데 그게 바로 산딸나무이다. 그런데 특이하게 산딸나무를 딸기와 관련 지어 부르는 나라는 우리 외에는 없다.
우네도딸기나무의 학명은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명명한 것인 데 여기서 속명 Arbutus는 라틴어로 이 수종을 예로부터 부르는 이름이고 종소명 unedo는 하나만 먹는다는 뜻으로 이 열매가 보기는 그럴싸하지만 맛이 없어서 하나만 먹어 보고 그만둔다는 뜻이다. 이 수종은 가을에서 겨울까지 지름 7~8mm의 항아리모양의 흰 꽃이 10~30송이가 모여서 원추화서로 풍성하게 피는데 그 열매의 성숙 기간이 무려 1년에 달하므로 이듬해 가을에 지름 0.7~2cm의 열매가 빨갛게 익어 간다. 그래서 꽃과 열매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흔하지 않은 수종인데 상록인 푸른 잎에다가 하얀 꽃 그리고 빨간 열매가 어우러져 마치 녹백적 3색으로 구성된 이탈리아 국기를 닮아 이탈리아 국화로 지정되어 있다. 대부분 지중해 연안 온난한 지역에 분포하지만 남서부 아일랜드에서도 자생하기에 Irish strawberry tree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제법 크게 자라는 이 나무가 향기 좋은 하얀 꽃이 피면서 동시에 빨간 열매가 달리는 모습은 분명 장관이겠지만 내한성이 영하 18도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에 심을 수 없다는 점이 매우 아쉽다. 원산지에서는 이 나무 잎으로 이뇨제 소독제 류마티즘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는 한편 목재로는 땔감이나 파이프 제조용으로 쓰였으며 꽃은 넥타가 풍부하여 중요한 밀월자원이 되며 염분과 불에 강하여 바닷가 방조림이나 방화림으로도 활용되는 등 역사가 긴 만큼이나 다양하게 이용되어 온 것이다.
등록명 : 우네도딸기나무
학 명 : Arbutus unedo L.
분 류 : 진달래과 딸기나무속 상록 대관목 또는 소교목
원산지 : 지중해, 서부 유럽
영어명 : strawberry tree
중국명 : 초매수(草莓树)
일본명 : 이치고노키(イチゴノキ, 苺の木)
수 고 : 3~4.5m 최대 10m 이상
잎크기 : 8~10 x 3~4cm
꽃특징 : 10~30송이 원추화서, 향기, 백색, 지름 7~8mm
열 매 : 지름 0.7~2cm, 적색
개화기 : 가을~겨울
결실기 : 이듬해 가을
용 도 : 관상용, 밀원, 약용, 식용(제리 잼), 방조림 등
내한성 : 영하 18도
==============================
우리나라에는 우네도딸기나무의 하위 품종으로 붉은딸기나무라고 학명 Arbutus unedo f. rubra로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이 품종은 꽃 색상이 붉은 점이 차이를 보인다. 다만 현재까지 품종으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고 원종에 통합되어 분류되므로 하나의 원예품종쯤으로 인식하면 될 것 같다. 여하튼 이 품종은 영국 RHS로부터 최우수 품종상인 AGM을 수상한 바도 있는 인기품종이다. 그 외 잎에 떡갈나무나 신갈나무를 닮은 우네도딸기나무 '쿠에르키폴리아' 즉 Arbutus unedo 'Quercifolia'도 등록되어 있는데 그 그림만 보고 넘어간다.
'진달래과 > 진달래과 기타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78 아르크토스타필로스 네바덴시스 – 미국 서부 원산 온대수종 (0) | 2022.01.04 |
---|---|
1677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알피나 – 고산지대 곰들쭉 (0) | 2022.01.03 |
1676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 곰들쭉으로 불리는 극한식물 (0) | 2022.01.02 |
1675 멘지스딸기나무 – 북미 서부 원산 30m 대교목 (0) | 2022.01.01 |
1329 진달래과 - 29개속 487종이 등록된 거대한 속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