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들쭉나무라고 등록된 학명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는 미국 내과의사이자 식물학자인 Jacob Bigelow (1787~1879)가 뉴햄프셔주 고산지대에서 발견하여 처음에는 Vaccinium gaultherioides Bigelow라는 독립된 원종으로 1816년 명명하였다가 아니다 싶어 들쭉나무의 변종인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로 1824년 재명명하였다고 한다. 그렇다면 하나만 인정되어야 할 것 같은데 이 산앵도나무속 즉 Vaccinium속이 제대로 정리가 안되어서 그런지 이들 둘 다 인정하는 학자도 있고 둘 다 둘쭉나무에 통합하여 그 이명으로 처리하는 경우도 있어 헷갈리게 한다. 게다가 우리나라 국생정 도감에서는 산들쭉나무가 한라산과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고 기록은 하고 있으면서도 사진은 커녕 표본도 하나 없다. 그러므로 실제로 이 수종이 국내 존재하는지도 의문인데 강원도 양구에 있는 국립 DMZ자생식물원에 가면 산들쭉나무 팻말을 달고 있는 수종이 있기는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산들쭉나무는 들쭉나무와 같은데 다만 열매가 지름 6~7mm로서 원형인 점이 특징이라고 한다. 그러면서도 들쭉나무의 열매는 같은 사이즈 지름에 구형 또는 타원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단지 열매의 모양이 조금 다르다고 변종으로 인정이 된다는 말인가? 게다가 그 모양이라는 것이 원형과 구형이라는데 그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르다는 것인지 정말 이해불가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어디엔가는 이 수종이 발견되었기에 우리 자생종이라고 하겠지만 누가 언제 어디서 발견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수종을 발견하고 학명을 부여한 미국에서는 물론 홋카이도와 혼슈 중부 이북지방에서 자생하는 이웃 일본에서는 뭔가 들쭉나무와 다른 점이 있기에 변종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우선 일본에서는 이 수종을 코바노쿠로마메노키(コバノクロマメノキ)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소엽흑두목(小葉の黒豆の木)이라고 쓴다. 그리고 별명으로 히메쿠로마메노키(ヒメクロマメノキ) 즉 희흑두목(姫黒豆の木)이라고도 한다. 들쭉나무의 일본 변종을 쿠로마메노키(黒豆の木)라고 하는 일본에서는 그 이름만 들어봐도 당장 잎이 작은 왜성종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산들쭉나무는 키가 10~30cm에 불과하여 최대 1m까지 자라는 들쭉나무에 비하여 키가 작다. 그리고 잎의 길이도 1cm에 불과하여 최대 2.6cm에 달하는 들쭉나무에 비하여 작고 꽃도 작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전년지에서 꽃자루가 나오는 이 산들쭉나무가 신년지에서 꽃자루가 나오는 들쭉나무 일본 변종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하는데 우리 자생종 들쭉나무는 산들쭉나무와 마찬가지로 전년지에서 꽃자루가 나오기 때문에 차이점이 될 수는 없다.
그럼 산들쭉나무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북아메리카는 어떨까? 미국 동북부에서 처음 발견된 이 수종은 높은 산악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그런 뜻의 변종명 alpinum이 붙은 것이다. 그렇지만 주 서식지가 높은 산악지대이기 때문에 변종으로 분류된 것은 당연히 아니고 뭔가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왜성으로 자라는 데다가 잎의 사이즈가 작다. 그리고 길이 최대 10mm인 상대적으로 길고 가는 들쭉나무의 꽃자루에 비하여 산들쭉나무는 꽃자루가 거의 없다시피 하거나 있더라도 최대 3.5mm에 불과하여 짧다는 것이 다르다. 게다가 결정적인 것은 바로 수술의 꽃밥이라고 한다. 들쭉나무의 꽃밥은 특이하게 뿔나팔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두 개의 가는 관이 있는데 가는 관이 뿔나팔보다 긴 들쭉나무에 비하여 산들쭉나무는 거의 비슷하다는 점이 차이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꽃의 내부를 확대하여 촬영하지 않으면 이런 모습을 포착할 수 없기에 대비할 만한 사진을 구하기는 어렵다. 여하튼 하나 분명한 것은 미국이나 일본이나 모두 열매의 모양으로 들쭉나무와 구분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등록명 : 산들쭉나무
학 명 :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
분 류 :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낙엽 소관목
원산지 : 자생종, 북미, 일본, 사할린
일본명 : コバノクロマメノキ(小葉の黒豆の木), ヒメクロマメノキ(姫黒豆の木)
수 고 : 10~30cm
잎길이 : 10mm
꽃자루 : 0.1~3.5mm
꽃색상 : 백색, 담홍색, 항아리형
열 매 : 7~10mm 지름 구형 흑자색
개화기 : 6~8월
내한성 : 영하 45도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90 모새나무 – 남부수종인 자생 빌베리 (0) | 2022.01.22 |
---|---|
1689 캄챠카월귤 – 극동아시아 원산 지하 포복성 관목 (0) | 2022.01.20 |
1688 유럽블루베리 – 대표적인 빌베리(bilberry) (0) | 2022.01.19 |
1686 들쭉나무 – 들쭉술로 유명한 산앵도나무속의 모식종 (0) | 2022.01.17 |
1685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아과 산앵도나무(Vaccinium)속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