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산앵도나무아과

1700 블루베리 – 북미 원산 노스 하이부시 블루베리 품종의 원종

낙은재 2022. 2. 8. 10:36

블루베리
블루베리
블루베리

 

우리나라 국표식에 블루베리 ‘xxx’라고 등록된 Vaccinium corymbosum ‘xxx’라는 학명이 셋이나 된다. 그러니까 원종인 Vaccinium corymbosum은 등록되어 있지 않고 원예품종만 셋이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블루베리는 워낙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유실수로서 그동안 수많은 품종개량을 거쳐왔기에 원종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고 재배용 품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된 것이다. 거의 모든 과일나무들이 그렇다. 사과나무와 같이 유명 과실수들은 그 원종이 뭔지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블루베리는 미국과 캐나다 동부가 원산지인데 유럽인들이 진출하기 훨씬 전부터 원주민들에 의하여 조금씩 품종이 개량되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다가 1908년 미국 농무부 소속 식물학자인 Frederick Vernon Coville (1867~1937)이 연구하여 ph4.5~5.5인 산성 토양을 선호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한랭한 기후 즉 영상 7도 이하의 기온이 800시간 이상이 되는 조건이 필요하며 자가수분은 하지 않는다는 특성 등을 파악하게 된다. 그 후 미국 뉴저지주에 방대한 크랜베리 늪지 농장을 보유하고 있던 Elizabeth Coleman White (1871~1954)와 손잡고 본격적인 품종개량에 들어가 1916년에는 열매의 사이즈를 두 배로 개량하는 등 많은 성과를 얻어 이를 보급하게 된다. 이게 바로 오늘날의 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식용 과일 블루베리의 시작인 것이다. 품종 개량에는 북미 동부 원산의 Vaccinium corymbosum이 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 품종들은 내한성이 강하여 북쭉지방에 적합하므로 northern highbush blueberry라고 부른다. 그리고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인 상록인 Vaccinium darrowii라는 수종과 Vaccinium corymbosum을 교잡시켜 온난한 기후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품종들을 개발하였는데 이들을 southern highbush blueberry라고 부른다. 이들을 중국에서는 북남(北南) 고총월귤(高丛越桔) 또는 고총람매(高丛蓝莓)라고 글자 그대로 번역한다. 총(丛)은 총(叢)의 간체자로 떨기를 뜻하여 결국 영어 bush를 말한다.

 

블루베리 품종개발의 원조인 Frederick Vernon Coville(좌)와 Elizabeth Coleman White여사(우측) 

 

그럼 여기서 용어의 정의가 필요해 보인다. 우선 블루베리는 원래는 푸른 열매라는 뜻이지만 넓게는 색상과는 무관하게 산앵도나무속 수종들의 열매 또는 그 수종들을 통칭한다. 따라서 크랜베리 빌베리 훠틀베리 허클베리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열매들도 모두 블루베리라고도 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크랜베리나 빌베리 등의 어원이 영어로는 모두 블루베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빌베리의 대표격인 Vaccinium myrtillus를 우리나라에서는 유럽블루베리라고 등록하고 붉은 열매가 달리는 우리 자생종 산앵도나무를 국내외에서 코리안 블루베리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런데 식물분류학적인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산앵도나무속을 세분할 경우 Sect. Cyanococcus로 분류되는 수종들 또는 그 열매를 blueberry라고 한다는 것이 블루베리의 올바른 정의이다. 조명(組名) Cyanococcus 자체가 라틴어로 blue berry라는 뜻이다. 이는 크랜베리나 빌베리 등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이들은 모두 북미에서 자생하고 열매의 색상이 청색이나 흑색이고 껍질 속 육질의 색상이 연한 녹색이라는 점에서 빌베리 등의 자색이나 적색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보다 더 좁은 의미로 일반인들이 말하는 블루베리는 시중에서 상업적으로 유통하는 우리가 식용하는 과일 블루베리를 말하게 된다. 다시 정리를 하자면 블루베리는 산앵도나무속 Sect. Cyanococcus 즉 블루베리조로 분류되는 수종들을 말하지만 넓게는 산앵도나무속 수종들 전체를 통칭하며 더 좁게 일반인들이 말하는 블루베리는 주로 개량된 품종에서 생산되는 경제성이 있어 식용으로 유통되는 과일이나 그 과일이 열리는 품종을 말한다.   

 

블루베리의 육질은 연녹색이지만 오른쪽 그림의 우상단 세 개의 작은 열매인 빌베리의 육질은 적자색이다.
 크랜베리인 미국넌출월귤의 열매(좌)와 링곤베리인 월귤의 단면

 

그리고 또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은 블루베리도 과일이라고 불러도 되느냐는 것이다. 글쎄 지름 1cm 내외의 조그마한 열매를 선듯 과일이라고 하려니 주저되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우리말 과일에 대한 정확한 정의도 없지만 그래도 과일임이 분명해 보인다. 과육과 과즙이 있고 단맛이 나며 식용하려고 재배하는 데다가 나무에서 달리기 때문에 과일로 불릴 만한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사이즈가 좀 작기는 하지만 과일이라고 서슴없이 불리는 체리나 앵두에 비하면 크게 작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영어 fruit의 의미가 우리 과일과는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서구에서는 berry를 fleshy fruit의 하나로 인식한다. 중국에서도 일본에서도 모두 액과(液果)나 장과(漿果)라며 과실(果實)이라고 한다. 영어 fleshy나 한자 액(液)이나 장(漿) 모두 글자 자체에 과육이나 과즙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영어 fruit나 중국의 장과(浆果)나 일본의 액과(液果)는 모두 식물의 구조상 수정된 씨방이 자라서 생기는 것을 뜻하여 우리말 열매에 해당하여 과일과는 의미가 좀 다르다. 한자어와 순수 우리말이 섞인 우리말 과일(果-)에 해당하는 영어는 fruit보다는 edible fruit가 더 가깝고 이를 중국에서는 수과(水果)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과물(果物)이라고 하는 것 같다. 블루베리는 비록 사이즈가 작기는 하지만 식용하므로 어느 나라에서도 식용과일로 인정을 하므로 우리나라서도 과일이 아니라고 할 이유는 전혀 없다.

 

블루베리조 즉 Sect. Cyanococcus로 분류되는 수종들은 다시 그 키가 낮은 로우부시 블루베리와 키가 큰 하이부시 블루베리로 구분되는데 로우부시 블루베리를 재배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야생에서 그대로 자라므로 이를 와일드(wild) 블루베리라고도 한다. 그리고 농업용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개량된 하이부시 블루베리는 다시 northern highbush blueberry와 southern highbush blueberry로 즉 남북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한랭한 기후에 적합한 품종으로서 Vaccinium corymbosum의 개량종이 주류를 이루고 후자는 온난한 기후에서도 재배 가능하게 Vaccinium darrowii와 교잡하여 개발한 품종이 주류를 이룬다. Vaccinium darrowii는 내한성이 영하 29도인 Vaccinium corymbosum과는 달리 내한성이 영하 12도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 월동이 불가능한 수종이다. 하지만 내한성이 강한 북부 수종은 겨울에 최저기온이 영하 5도까지 내려가지 않는 지역에서는 제대로 결실하지 않지만 내한성이 약한 남부 수종은 최저기온이 영하로는 내려가지 않는 온난한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그리고 northern highbush blueberry도 그 수확 시기에 따라서 조숙(早熟)품종과 중숙(中熟)품종 및 만숙(晩熟)품종으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에 등록된 3종은 모두 조숙(早熟)품종에 해당된다. 그 외에도 Rabbiteye(래빗아이) blueberry라고 미국 동남부 원산의 학명 Vaccinium virgatum을 개량한 품종들도 있다. 이 품종들은 열매가 성숙하기 전에 마치 토끼눈처럼 예쁜 분홍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토끼눈(rabbit eye)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품종들도 내한성은 약하지만 내서성(耐暑性)이 강하여 미국이던 우리나라던 남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이다.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 원종의 열매는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보다 작다. 우측은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원종인 상록 Vaccinium darrowii
토끼눈같이 생겼다고 래빗아이 블루베리로 불리는 Vaccinium virgatum과 그 개량된 품종(우)

 

유실수로 품질개량된 거의 모든 블루베리의 부모종으로 활용되는 북미 동부 원산으로 키가 1.8~3.7m인 Vaccinium corymbosum L.은 식물분류학의 창시자 린네가 1753년 명명한 학명인데 여기서 종소명 corymbosum은 산방화서라는 뜻이다. 대부분이 총상화서인데 이 수종은 느슨하지만 아래로 처지는 산방화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의 경우는 이를 산방화월귤(伞房花越橘)이라고 이름을 붙인다. 일본의 경우는 블루베리는 많이 재배하기는 하지만 이름을 붙이지 못하여 하이부쉬 브루베리(ハイブッシュブルーベリー)라거나 밧키니움 코림보숨(バッキニウム コリンボスム)이라고 어렵게 발음하며 고생을 한다. 역시 중국의 작명 노하우는 탁월하다. 우리나라는 중국만큼 나이스하지도 못하고 일본과 같이 꼼꼼하지도 못하다. 즉 Vaccinium corymbosum이라는 하나의 특정 수종을 그냥 성의 없이 블루베리라고 하는 것이다. 이건 결코 아니다. 개인 메모장도 아니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이렇게 등록하면 안되는 것 아닌가? 무슨 말이냐 하면 Vaccinium corymbosum 'Duke'이라는 학명을 블루베리 ‘듀크’라는 국명을 붙이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교잡종 형식인 Vaccinium 'Duke'라는 학명이라면 블루베리 ‘듀크’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특정 수종의 원예품종 형식으로 된 전자를 그렇게 이름을 붙여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Vaccinium corymbosum의 국명이 블루베리라는 것인데 어느 나라도 그렇게 부르지는 않는다. Vaccinium corymbosum은 블루베리 중에서 노스 하이부시 블루베리로 분류되는 수종 중에서 산방화서로 꽃이 피는 하나의 야생 수종일 뿐이다. 어렵다면 그냥 북미큰키블루베리라는 이름이라도 붙여야 한다.

 

블루베리 즉 Vaccinium corymbosum은 다소 느슨하기는 하지만 아래로 처지는 산방화서의 모습을 하고 있다.

 

결국 이렇게 되어 우리나라에서 블루베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 인식하여야 한다. 1~3은 전세계 공통된 인식이고 4번은 우리나라에 국한된 이야기이다.

1. 산앵도나무속 모든 열매 또는 그 식물

2. 산앵도나무속 블루베리조로 분류되는 10여개 종과 그 열매

3. 식용으로 재배하여 상업용으로 판매하는 과일과 그 품종

4. 북미 동북부 원산 학명 Vaccinium corymbosum인 특정 수종

 

등록명 : 블루베리(미등록종)

학  명 : Vaccinium corymbosum L.

분  류 :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캐나다. 미국 북동부

영어명 : northern highbush blueberry, blue huckleberry 등

중국명 : 산방화월귤(伞房花越橘), 북고총남매(北高丛蓝莓)

일본명 : 밧키니움 코림보숨(バッキニウム コリンボスム)

수  고 : 1.8~3.7m

열  매 : 6~13mm 지름

내한성 : 영하 29도

특  징 : 노스 하이부시 블루베리 품종들의 원종 또는 부모종으로 활용

 

블루베리
블루베리는 열매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색상이 다양하게 변한다.
블루베리
블루베리 단풍
블루베리는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

 

그럼 여기서부터는 우리나라에 등록된 재배용 블부베리 품종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자. 농업용으로 재배하는 블루베리는 그 품종이 수백 종에 이르고 재배하는 나라도 미국과 캐나다가 생산량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페루와 멕시코 등 중남미와 유럽의 스페인 그리고 한중일에서도 많이 재배한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품종들이 도입되어 농업기술원 등에서 품종에 대한 정보나 재배 방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현재 아래 3종만 등록되어 있다. 나름대로 정원수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초창기에 관상용 목적으로 도입된 것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큰 의미를 둘 것은 아니라고 본다.  

 

등록명 : 블루베리 ‘듀크’

학   명 : Vaccinium corymbosum 'Duke'

수   고 : 1.5~2.1m

개화기 : 5월

열   매 : 중~대형 크기, 단맛

결실기 : 조속품종 6월 중순

내한성 : 영하 29도

특   징 : 서리 피해가 없게 꽃은 늦게 피면서도 열매는 빨리 숙성

특   기 : RHS로부터 AGM 수상

 

블루베리 ‘듀크’ - 개화는 늦고 결실은 빠른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블루베리 '스파르탄'

학   명 : Vaccinium corymbosum 'Spartan'

영어명 : Spartan' Northern Highbush Blueberry

수   고 : 2m

내한성 : 영하 29도

육종가 : 1977년 미국 농무성

특   징 : 열매가 보통대비 두 배 이상 크고 맛이 좋다.

특   기 : RHS로부터 AGM 수상

 

블루베리 '스파르탄' - 열매가 크가 맛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블루베리 '패트리엇'

학   명 : Vaccinium corymbosum 'Patriot'

수   고 : 1.2~1.8m

개화기 : 5월

결실기 : 6월 하순

특   징 : 병충해에 강함,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로 인기

내한성 : 영하 34도

 

블루베리 '패트리엇' - 과수용보다는 열매 그 자체가 아름다워 관상용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