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산앵도나무아과

1702 캘리포니아모새나무 – 북미 서부 원산 상록 허클베리

낙은재 2022. 2. 9. 12:47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 적색에서 청흑색으로 익는다.

 

캘리포니아모새나무의 학명 Vaccinium ovatum Pursh는 독일 태생 미국 식물학자인 Frederick Traugott Pursh (1774~1820)가 캐나다와 미국 서부에서 자생하는 상록인 이 수종의 잎 모양이 계란형이라고 그런 취지의 종소명을 붙여서 1814년에 명명한 것이다. 아직 미국이 동부의 조그마한 땅만 차지하고 있던 시절 가운데 루이지애나를 매입한 후 토마스 제퍼슨 대통령이 서부로 메리웨더 루이스대위와 윌리엄 클라크소위로 구성된 루이스 클라크 탐험대(Lewis and Clark Expedition)를 파견하여 1804년부터 1806년까지 지형 파악과 동식물 등을 조사하였는데 그때 캐나다 브리티시지역에서 처음 발견하였다고 한다. 키가 2.4m까지 자라는 이 수종의 지름 1cm정도의 열매는 처음 적색이다가 나중에 청흑색으로 성숙하는데 이를 생식하거나 요리에 사용하지만 이 수종은 상록인데다가 핑크색 항아리형 꽃과 열매 그리고 처음에는 적색으로 나오는 길이 4cm의 잎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우리나라 이름이 모새나무라고 되어 있지만 우리 자생종 모새나무와는 특별히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모새나무뿐만 아니라 들쭉이나 산앵도 또는 정금, 월귤 등 우리나라 어느 수종과도 근연관계는 아니다. 왜냐하면 이 수종은 남북 아메리카 대륙에서만 분포하는 Sect. Pyxothamnus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식재는 어렵다. 

 

 

등록명 : 캘리포니아모새나무

학   명 : Vaccinium ovatum Pursh

분   류 :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캐나다, 미국 서부

영어명 : evergreen huckleberry, winter huckleberry, california huckleberry

중국명 : 난엽월귤(卵叶越橘)

수   고 : 0.9~2.4m

내한성 : 영하 18도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 봄에 나오는 신엽은 적색이다.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캘리포니아모새나무 - 겨울에는 잎이 적색을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