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산앵도나무아과

1703 히말라야월귤 – 상록 히말라야 허클베리

낙은재 2022. 2. 9. 16:27

히말라야월귤 

 

히말라야월귤은 이름 그대로 히말라야 인근 네팔과 미얀마 인도 티벳 중국 운남 등지에서 자생하는 키가 1~3m인 상록 관목으로서 학명 Vaccinium glauco-album Hook. f. ex C. B. Clarke는 영국 귀족 출신으로서 식물지리학을 창설한 학자인 Joseph Dalton Hooker(1817~1911)경이 명명한 것이다. 진화론을 창설한 찰스 다윈의 절친이기도 한 그는 탐험가로서 1947부터 1951년까지 3년 넘게 진행된 유명한 히말라야 식물탐사 과정에서 이 수종을 발견하고 명명한 것인데 이를 나중인 1882년에 영국의 식물학자인 Charles Baron Clarke (1832~1906)가 발표한 것이다. 잎과 꽃 그리고 열매 등에 온통 백분이 있어 회백색이라는 뜻의 종소명으로 명명한 것이다. 그리고 일반 영어명도 grey-white blueberry라고 하며 일부에서는 Himalayan Huckleberry라고도 한다. 그래서 원산지 중 하나인 중국에서는 이를 분백월귤(粉白越橘)이라고 한다.

 

이 수종 또한 월귤이라는 우리 이름이 붙었지만 우리 자생종 월귤과 어떤 특별한 근연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에는 월귤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Vaccinium속을 대변할 만한 우리 이름이 없으므로 그냥 중국 이름을 따랐거나 아니면 특별한 의미 없이 월귤이라고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산앵도나무속이므로 히말라야산앵도라고 이름을 붙여야 순리적이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외래종에 월귤이나 모새나무 등으로 이름을 붙이는 것은 산앵도가 마땅치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얼른 하나의 이름을 정하여 이속 수종들의 이름을 일관성있게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등록명 : 히말라야월귤

학   명 : Vaccinium glauco-album Hook. f. ex C. B. Clarke

분   류 :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히말라야

영어명 : grey-white blueberry,  Himalayan Huckleberry

중국명 : 분백월귤(粉白越橘)

수   고 : 1~3m

잎크기 : 4~6 x 2~4cm

꽃특징 : 총상화서, 5~7송이, 항아리모양 종형, 백색, 6mm 길이

열   매 : 자홍색, 백분, 6~8mm

내한성 : 영하 18도 

 

히말라야월귤
히말라야월귤
히말라야월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