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산앵도나무아과

1705 가울테리아 쿠네아타 – 중국 원산 사천백주(四川白珠)

낙은재 2022. 2. 11. 15:58

가울테리아 쿠네아타

 

 가울테리아 쿠네아타는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 그리고 서장성에서 자생하는 상록관목인데 이를 1908 20세기 최고의 식물 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1876~1930)이 사천성 문천(汶川)에서 발견하고 표본을 채취하여 하버드대학  Alfred Rehder (1863~1949)교수와 함께 히말라야 인근에서 서식하는 중국명 녹제초엽백주(鹿蹄草叶白珠) 즉 Gaultheria pyroloides의 변종으로 Gaultheria pyroloides var. cuneata라는 학명을 1913년 부여하였으나 영국 식물학자 William Jackson Bean (1863–1947)에 의하여 1919년 독립된 종으로 승격된 현재의 학명 Gaultheria cuneata (Rehder & E.H.Wilson) Bean으로 재명명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cuneata는 쐐기형이라는 뜻인데 아마 잎의 기부의 모습을 말하는 것 같다. 키가 15~20cm에 불과하고 흰색 항아리형 꽃이 피고 가을에 남색에서 백색으로 익는 열매가 달리는 이 수종을 중국에서는 사천성에서 발견되었다고 사천백주(四川白珠)라고 한다. 이 수종의 내한성은 그 지리적 분포를 봤을 때는 영하 18도이라고 하는 자료가 정확할 것 같은데 일부 자료에서는 더 강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추가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등록명 : 가울테리아 쿠네아타

  : Gaultheria cuneata (Rehder & E.H.Wilson) Bean

  : 진달래과 가울테리아속 상록 관목

원산지 : 중국 사천성 운남성 티벳

중국명 : 사천백주(四川白珠)

  : 15~20cm

잎특징 : 혁질 장란형, 천거치, 거치 끝 흑색 선체

잎크기 : 1.2~2.8 x 6~10mm

잎색상 : 표면 녹색, 배면 회록색, 소생선체, 양면무모

잎면맥 : 표면 오목 이면 볼록

잎자루 : 1~1.5mm, 근무모

꽃차례 : 총상화서 정생 액생, 서축 2.5~4cm, 미유모

꽃자루 : 유모, 중간에 소포편 2

꽃특징 : 백색 항아리형 6mm길이 구부 5천렬 반절, 하수, 화악5

꽃수술 : 10, 화사 유모, 기부팽대, 화약 2, 매실 2돌기

  : 견상유모

암술대 : 꽃부리와 등장, 무모

  : 장과상 삭과 구형, 지름 5mm, 남색으로 성숙 후 백변

개화기 : 6~8

결실기 : 8~10

내한성 : 영하 18

 

가울테리아 쿠네아타
가울테리아 쿠네아타
가울테리아 쿠네아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