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임레리아 케라시포르미스라는 매우 어려운 이름으로 등록된 장미과 아몬드아과 가침박달족으로 분류되는 키가 2~5m인 관목이 있다. 미국과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지방에서 자생하는데 학명 cerasiformis (Torr. & A.Gray) J.W.Landon는 1975년 미국 식물학자인 John Waddell Landon(1949~ )이 1840년 미국 식물학자인 John Torrey (1796~1873)와 Asa Gray (1810~1888)가 명명하였던 학명 Nuttallia cerasiformis Torr. & A. Gray를 속을 달리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이 한종으로 구성된 Oemleria속의 속명은 이 수종을 가장 먼저 채집한 독일 약사이자 자연학자인 Augustus Gottlieb Oemler (1774-1852)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종소명 cerasiformis는 그 열매가 체리를 닮았기에 붙인 이름이다. 오랜지색에서 적자색으로 익어가는 길이 1.3cm의 열매가 체리를 닮았기 때문이다. 현지에서는 작은 자두를 닮았다고 Indian Plum 즉 인디언자두라고 불리기도 하며 그 외에도 곰이 좋아하는 열매라고 Osoberry 또는 미국 북서부 오리건주에서 나는 자두라고 Oregon Plum으로 불리는 등 다양한 별명이 있다. 우리 이름도 그냥 인디언자두라고 붙였으면 쉽게 기억도 되고 그 특성이나 원산지도 저절로 파악될 것 같은데 오임레리아 케라시포르미스라니 아쉽다.
이 수종은 원산지에서 다른 나무에서 잎이 나오기도 전인 이른 봄 2월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우며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기에 나름대로 관상가치도 있으나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 월동하기에는 내한성이 다소 약한 것이 아쉬운 점이다.
등록명 : 오임레리아 케라시포르미스
학 명 : Oemleria cerasiformis (Torr. & A.Gray) J.W.Landon
분 류 : 장미과 가침박달족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서부
영어명 : Indian Plum, Osoberry, Oregon Plum 등
수 고 : 2~5m
잎길이 : 5~13cm
성정체 : 자웅이주
수 술 : 15개
암 술 : 5개
꽃향기 : 상큼한 오이 같은 향기
개화기 : 2~4월
결실기 : 6월 하순
내한성 : 영하 23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가침박달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74 단화빈추나무 – 한약재 유핵(蕤核) (0) | 2023.07.27 |
---|---|
1873 빈추나무 - 세계적 희귀종인 우리 자생종 (8) | 2023.07.25 |
1871 큰꽃가침박달 '더 브라이드' (2) | 2023.07.14 |
1870 가침박달 – 가장 아름다운 자생 꽃나무 중 하나 (2) | 2023.07.13 |
1869 코롤코위가침박달 – 진주가침박달에 통합 (1)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