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정말 특이한 새로운 외래종 나무를 접하게 되면 "세상은 넓고 나무는 많다."라고 고 김우중회장의 말씀에 빗대어 말하곤 하였는데 이번에는 세상 밖이 아니라 우리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나무인데도 이제까지 전혀 들어본 바가 없는 나무라서 호기심을 자극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소 당황스럽다. 직접 수백 종류의 나무들을 재배하면서 목본탐구 블로그를 시작한지도 어언 8년이 되었건만 아직도 공부가 턱없이 부족함을 절감하게 된다. 우리나라 평안남도 맹산군과 인근 덕천군과 영원군에서 발견된 빈추나무는 중국 동북지방인 흑룡강성과 길림성 그리고 요녕성 등 한랭한 지역에 분포하며 줄기에 가시가 있는 키가 2m 이하인 낙엽 관목이다. 그리고 우리 국생정 도감에는 남한의 충북과 경기 이북 지역에도 분포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 소백산 외에도 남쪽 경남과 전남에 걸친 지리산에서 채집된 표본도 보인다. 그리고 1911년 평남 덕천과 영원에서 채집된 표본이 존재하는 것으로 봐서는 최소한 일제강점기 초기에 국내서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1937년 발간된 조선식물향명집에도 평안남도의 방언이라며 빈추나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그 정확한 어원을 모른다고 한다. 다만 이 수종의 중국 이름이 동북편핵목(东北扁核木)이라는 것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도 있을 것 같다. 한의학에서 유인(蕤仁)이라는 약재명으로 청열해독(清热解毒) 및 활혈(活血) 등의 약으로 쓰는 이 수종의 핵과가 약간 납작하기 때문에 편핵목(扁核木)속이라고 불리는 4개의 수종 중에서 동북지방에 분포하기에 동북편핵목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납작하다는 뜻의 한자 편(扁)의 중국 발음 [biǎn]이 거의 빈으로 들리기 때문에 우리 이름이 빈으로 되었으며 자두를 뜻하는 평안도 방언 추리와 결합되어 빈추가 된 것이 아닌가 하고 풀이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식물 중 추가 들어간 이름은 목본으로는 대추가 있고 초본으로는 배추, 상추, 부추와 고추 비비추 등 매우 많은데 이들의 어원이 동일하지는 않고 다양하다. 우선 대추는 중국어 大棗(대조)에서 변한 것이며 배추와 상추 그리고 부추의 추는 백채(白菜) 생채(生菜) 구채(韭菜) 등 모두 채(菜)에서 변한 말이며 고추의 추는 고초(苦椒)에서 변한 것이고 비비추의 추는 나물을 뜻하는 순수 우리말 취(나물)에서 변한 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참고로 빈추나무의 열매의 한약재명 유핵(蕤核) 또는 유인(蕤仁)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자서(字書)인 이아(尔雅)에서 기화실유유하수(其花实蕤蕤下垂) 즉 “그 꽃과 열매가 아래로 처진다.”라고 묘사한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빈추나무의 학명 Prinsepia sinensis (Oliv.) Oliv. ex Bean는 1909년 영국 식물학자인 Oliver Daniel (1830~1911)이 그가 1886년 다른 속으로 명명하였던 것을 속을 변경하여 1909년에 재명명한 것이다. 속명 Prinsepia는 영국의 인도 전문 학자이자 인도에서 성공한 유력 가문의 일원인 James Prinsep(1799~1840)의 이름에서 온 것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에서 발견하였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1835년 영국 식물학자인 John Forbes Royle (1798~1858)이 빈추나무속 즉 Prinsepia속을 신설할 당시 표본으로 삼은 모식종인 Prinsepia utilis Royle 즉 중국명 편핵목(扁核木)을 인도 북부 히말라야에서 채집하였기 때문이다. 빈추나무속은 전세계 4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 자생종 빈추나무와 중국 운남성과 사천성 등에서도 자생하는 모식종인 편핵목(扁核木) 외에도 중국 섬서성과 감숙성에서 자생하는 한약재인 유핵(蕤核) 그리고 대만에서 발견된 덩굴성 대만편핵목(台湾扁核木)이 있다. 따라서 빈추나무속 4종 중 중국에서 동북편핵목(东北扁核木)이라고 하는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빈추나무의 학명이 Prinsepia sinensis로 되어 있다고 이 종만 중국에 분포하는 것이 아니고 빈추나무속 4종 모두가 중국에 분포한다는 것이다.
등록명 : 빈추나무
학 명 : Prinsepia sinensis (Oliv.) Oliv. ex Bean
분 류 : 장미과 빈추나무속 낙엽 소관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동북지방
중국명 : 동북편핵목(东北扁核木)
생약명 : 동북유핵(东北蕤核)
일본명 : カラサイカチモドキ(唐皁莢擬)
수 고 : 2m
줄 기 : 다분지, 회록색 자갈색, 무모, 수피 편상박락
가 지 : 홍갈색, 무모, 능조, 직립 혹 만곡 가시, 가시 6~10mm
동 아 : 소, 난원형 선단급첨, 자홍색, 외면모
잎특징 : 호생, 난상피침형,
잎크기 : 3~6.5 x 0.6~2cm
잎모양 : 선단급첨 기부 근원형 관설형, 전연 희소거치
잎색상 : 심록색, 측맥하함, 하면 담록색, 맥 돌기, 양면 무모, 소수첩모
잎자루 : 5~10mm, 무모
탁 엽 : 소, 막질, 피침형, 선단급첨, 전연 내면모, 탁락
화 서 : 1~4송이, 족생 엽액
화 경 : 1~1.8cm, 무모
꽃크기 : 지름 1.5cm
꽃받침 : 종상, 악편 단삼각상란형, 전연, 외면 무모, 변연첩모
꽃부리 : 황색, 도란형, 선단원둔, 기부 단조, 착생 악통구부내면 및 화반 변연
수 술 : 10, 화사단, 이륜착생 화반상변연처
암 술 : 심피 1, 무모, 화주측생, 주두두상
열 매 : 핵과 근ㄱ두형 장원형, 지름 1~1.5cm, 홍자색 자갈색, 광활무모, 악편 숙존
과 핵 : 견경, 난구형, 미편, 지름 8~10mm, 추문
개화기 : 3~4월
결실기 : 8월
내한성 : 영하 34도
용 도 : 식용, 약용, 관상용
'장미과 아몬드아과 > 가침박달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74 단화빈추나무 – 한약재 유핵(蕤核) (0) | 2023.07.27 |
---|---|
1873 오임레리아 케라시포르미스 - 인디언자두 (0) | 2023.07.18 |
1871 큰꽃가침박달 '더 브라이드' (2) | 2023.07.14 |
1870 가침박달 – 가장 아름다운 자생 꽃나무 중 하나 (2) | 2023.07.13 |
1869 코롤코위가침박달 – 진주가침박달에 통합 (1)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