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조팝나무 외에도 또 하나의 일본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조팝나무가 있는데 이번에는 japonica가 아닌 nipponica를 종소명으로 쓰고 있다. 우리가 국호를 대한민국이라고 하지만 해외에서는 Korea라고 하듯이 일본도 해외에서는 Japan이라고 부르지만 자기들은 닛폰(Nippon, 日本)이라고 하는데 이 학명을 명명할 당시 이미 100여년 전에 학명 Spiraea japonica로 명명된 일본조팝나무가 있었기에 러시아 식물학자인 Karl Maximovich(1827~1891)가 중복을 피하여 Spiraea nipponica Maxim이라고 1886년 명명한 것이다. 일본조팝나무는 실제로 일본 외에도 중국에서도 자생하지만 이 수종은 일본 혼슈 근기(近畿) 이북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이다. 근기(近畿)는 우리말 경기(京畿)와 같은 의미로 수도권이라는 뜻인데 여기서 일본의 수도는 도쿄가 아니고 옛날의 교토나 오사카를 말한다. 이 수종의 원종은 국내 미등록 상태이지만 그 원예품종인 Spiraea nipponica 'Snowmound'가 2011년부터 등록되어 있는데 이를 우리는 일본바위조팝나무 '스노우마운드'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원종이 주로 고산지역의 사문암이나 석회암지대에서 자생하므로 일본에서 바위조팝나무라는 의미에서 이와시모츠케(イワシモツケ) 즉 암하야(岩下野)라고 하기 때문이다.






국내 등록된 원예품종 '스노우마운드'는 원래는 일본바위조팝나무 원종의 원예품종이 아니라 변종인 도사시모츠케(トサシモツケ) 즉 토좌하야(土佐下野)의 원예품종이므로 정확하게 하면 학명을 Spiraea nipponica var. tosaensis ‘Snowmound’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변종인 도사조팝나무는 잎이 도피침형 또는 협도피침형으로 길이 1.5~5cm에 너비는 3~7mm로 매우 좁은 것이 특징으로서 일본 시코쿠(四國) 고치현(高知県) 산지의 계곡가 암석지대에 자생하며 키는 1.5m정도 자란다고 한다. 이 도사조팝나무는 원래 일본 식물학자인 야타베료우키치(やたべりょうきち, 矢田部良吉, 1851~1899)가 독립된 종으로 1892년 Spiraea tosaensis Yatabe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일본의 대표적인 식물학자인 마키노 토미타로(牧野 富太郎, 1862~1957)가 일본바위조팝나무의 변종으로 편입한 학명 Spiraea nipponica var. tosaensis (Yatabe) Makino를 1906년 발표하였는데 오늘날까지 이 학명이 사용되고 있다. 도사(土佐, tosa)는 윈산지인 일본 시코쿠의 고치현(高知県)에 있던 옛 왕국의 이름이다. 이 변종은 원종과는 달리 잎이 좁고 길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게 말과 같이 그렇게 쉽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원종의 잎은 대부분 원형이거나 둥근 난형 또는 도란형이지만 일부는 잎이 아주 길쭉하여 일본에서 전에는 아예 장엽바위조팝이라는 뜻으로 나가바 이와시모츠케(ナガバイワシモツケ, 長葉岩下野)로 부르는 변이종도 원종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이 장엽변종을 당초에는 Spiraea nipponica f. oblanceolata라고 학명표기 하다가 이제는 원종에 통합되고 도사조팝나무만 변종 신분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둘의 구분이 어렵다는 말이다.


일본조팝나무는 조팝나무속을 세분류할 때 꽃자루가 길고 산형 또는 산방화서이라고 장산화서조(section)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갈래조팝나무계(series)로 다시 재분류 된다. 이 series로 분류되는 수종으로 국내에는 잎이 크게 갈라지는 갈래조팝나무와 산조팝나무가 있고 털이 많은 당조팝나무와 아구장나무가 있다. 그리고 털이 없지만 길쭉하고 거치가 있는 공조팝나무가 있었다. 이 일본바위조팝나무는 잎이 두텁고 털이 없으며 끝이 둥글고 거의 끝부분을 제외하며 거치가 없다. 그리고 원종은 대부분 둥근 모습을 하고 있어 다른 종들과 쉽게 구분되지만 도사변종은 길쭉하여 갈기조팝나무와 비슷한 면모를 보인다. 하지만 갈기조팝나무는 복산방화서이므로 꽃차례가 달라서 구분이 된다. 여하튼 'Snowmound'라는 원예품종은 일본에서 붙인 이름은 아니고 아마 서양에서 일본바위조팝나무의 변종인 이 도사조팝나무를 가져다가 이런 이름을 붙여서 유통시킨 것이 아닌가 한다. 뿌리에서 나온 1m 남짓한 높이의 여러 줄기에 꽃이 다닥다닥 붙어서 풍성하게 하얗게 핀 꽃의 모습이 마치 눈더미 같기에 snow mound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일본바위조팝나무의 변종인 도사조팝나무 그 자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등록명 : 일본바위조팝나무 '스노우마운드'
학 명 : Spiraea nipponica 'Snowmound'
이 명 : Spiraea nipponica var. tosaensis ‘Snowmound’
이 명 : Spiraea nipponica var. tosaensis (Yatabe) Makino
분 류 : 장미과 조팝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일본 시코쿠
일본명 : 도사시모츠케(トサシモツケ) – 도사하야(土佐下野)
수 고 : 1.5m
줄 기 : 다분지 약지 담갈색 고지 흑갈색 능각 무모
잎특징 : 협도피침형, 두터움, 앙면 무모, 끝부분 제외 전연, 이면 백분색
잎자루 : 1.5~9mm
꽃차례 : 산방화서
꽃받침 : 통상 무모 악편 1mm 난상삼각형
꽃특징 : 백색 6mm 지름
수 술 : 20개 꽃잎과 같은 길이
자 방 : 5개 모 무모
열 매 : 골돌과 3~4mm 악편 직립 숙존 무모
개화기 : 5~6월
내한성 : 영하 34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조팝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42 반호우트조팝나무 '핑크 아이스'와 ‘골드 파운틴’ (2) | 2024.10.17 |
---|---|
2041 반호우트조팝나무 – 서양에서 인기 최고 조팝나무 (4) | 2024.10.17 |
2039 공조팝나무와 겹공조팝나무 – 세계적으로 인기 최고 조팝나무 (4) | 2024.10.13 |
2038 당조팝나무와 아구장나무 다른 듯 같은 듯 (4) | 2024.10.10 |
2037 산조팝나무 – 갈래조팝나무와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16)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