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갈매나무라고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서 자생하는 관목이 있다. 참이란 거짓이 아닌 진짜를 뜻하며 품질이나 품위가 썩 좋은 것을 나타내는 순수 우리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갈매나무 9종 중에서 왜 이 수종을 특별히 참갈매나무라고 하는지에 대하여는 설명하는 사람이 없다. 갈매나무속 대표적인 수종도 아니고 갈매나무보다 특별하게 뛰어난 용도나 특징이 있는 수종도 아닌데 말이다. 여하튼 참갈매나무는 학명을 현재 Rhamnus ussuriensis J.J.Vassil.로 표기하여 등록되어 있다. 이는 1940년 러시아 학자 Vassiljev, Ja. Ja.가 명명한 것으로 종소명 ussuriensis는 표본을 우수리강 유역에서 발견하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우수리강은 극동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위쪽 지역에서부터 북쪽으로 중소 국경 사이를 흘러 하바로프스크 인근에서 합쳐지는 아무르강의 지류로서 총길이 897km의 매우 긴 강이다. 이 강을 중국에서는 오소리강(烏蘇里江)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 안거골수(安居骨水)라고 하였으나 이후 왕조마다 다른 이름으로 부르다가 현재는 한자로 乌苏里라고 쓰고 우수리(Wūsūlǐ, ussuri)라고 발음한다. 그래서 영어 이름이 Ussuri river인 것이다. 우수리는 원래 그 지역 만주족들이 부르던 이름으로 그들이 세운 청나라 때부터 중국 공식 명칭이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만주어 우수리의 원 뜻은 천왕(天王)이라는 설도 있지만 대부분 하유(下游)라고 풀이한다. 하강(下江)과 비슷한 의미인 하유(下游)는 송화강(松花江)과 더불어 흑룡강(黑龍江)의 양대 지류로서 송화강보다 작고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로 흑룡강은 길이가 4,444km로 세계에서 8번째로 긴 강이며 송화강도 그 길이가 1,927km나 되어 우리나라 최장 압록강의 790km나 남한 최장 낙동강의 507km와는 비교가 안되게 긴 강들이다.

바로 이 우수리강 유역에서 러시아 학자에 의하여 발견되어 1940년 신종으로 발표된 이 수종이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한다는 것이 이미 그 이전에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그게 바로 미국의 수목학자인 John George Jack(1861~1949)이 1905년 우리나라 서울에서 발견한 바 있고 영국 태생 전설적인 식물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1876~1930)은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함경도에서 발견한 표본을 남겼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아직 신종 학명이 발표되기도 전이라서 학명을 갈매나무의 일본 변종으로 1904년 일본의 대표적인 식물학자인 마키노 토미타로(牧野 富太郎, 1862~1957)가 명명한 Rhamnus davurica var. nipponica Makino로 분류하였다. 이 수종을 일본에서 흑장미라는 의미인 쿠로츠바라(黒つ薔薇)라고 부르며 갈매나무는 조선흑장미(朝鮮黒つ薔薇)라고 부른다. 바로 여기서 참갈매나무라는 우리 이름이 유래된 것이다. 학명상으로는 갈매나무가 원종이고 일본 갈매나무는 변종인데도 일본에서 일본 변종을 흑장미라 하고 갈매나무는 일본에서는 자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선흑장미라고 한다고 일본 변종이 진짜라는 의미에서 참갈매나무라고 부른 것이다. 이 명칭은 분명 일제강점기 시대의 잘못된 잔재(殘滓)로서 시급히 청산해야 할 이름이지만 80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수정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참으로 기가 막힌다. 하기야 우리나라 식물에 뭐 이런 이름이 어디 한둘인가? 이걸 두고서 덮어놓고 일본인들의 만행이라고 책임을 전가하여 비난만 해서는 해결이 안 된다. 국명은 우리가 정한 것이지 일본인들이 정한 것이 아니다. 이 이름은 광복 전인 1943년 정태현선생의 조선삼림식물도설에서 처음 붙인 이름인데 광복 한참 후인 1980년에 발간된 이창복선생의 대한식물도감에서도 그대로 인정하고 넘어가 오늘날 우리는 이 수종이 왜 참갈매나무라고 불리는지 영문도 모르는 채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나중에 우리나라서 발견된 종이 갈매나무의 일본 변종과 동일한 것이 아니라 우수리강 유역에서 발견된 종과 같다고 판명되어 학명 Rhamnus ussuriensis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게 되고 보니 일본에는 이 종이 존재하지도 않아서 아무런 연관이 없는데도 우리나라에서만 일본에 자생하는 갈매나무 일본 변종에서 유래된 이름을 여태 사용하는 이상한 상황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그동안 누구 하나 이런 문제를 제기한 사람이 없었는지 여태껏 그냥 넘어 왔던 것이다. 그러다가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학명 대통합 바람이 불자 2014년 우리나라 서울대 장진성교수 등이 나서서 이 종은 서양에서 중국 갈매나무 즉 Chinese Buckthorn로 불리는 동록(凍綠) 즉 Rhamnus utilis Decne.와 동일종이라고 이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이후 2019년 중국 내몽고대학 Zhao Y-Z(조일지, 赵一之)와 Zhao L-Q(조리청, 赵利清)교수 등이 나서서 중국 동록(凍綠)이 아니라 갈매나무 즉 Rhamnus davurica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2021년에 서울대 장진성교수 등이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중국 동록(凍綠)의 원변종인 Rhamnus utilis var. utilis.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따라서 현재 국제적으로 논란 중에 있는데 우리나라와 중국은 아직 별도의 종으로 그대로 분류하고 있지만 서양 일부에서는 이미 중국의 동록(凍綠) 즉 Rhamnus utilis에 통합시켜서 그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다가 우리나라 국립수목원에서 2022년 펴낸 한반도수목지에서는 안동대 정규영 정선교수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참갈매나무는 중국 동록이나 갈매나무와는 분명 다른 점이 존재하므로 별도의 종으로 분류함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따라서 국내서는 당분간 별도의 종 신분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언제까지 세계적인 학명 대통합 바람을 버텨낼는지 모르겠다.






참갈매나무는 잎이 상대적으로 좁은 타원형 또는 좁은 모난 원형이며 잎자루가 길고 잎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액에만 단모가 조금 있다는 점에서 동록(凍綠)과 차이를 보인다. 동록의 잎은 지질이며 타원형 모난 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앞면은 털이 없거나 중맥에 유모가 드물게 있고 뒷면은 건조 시 항상 황색으로 변하며 잎맥 주위와 맥액에 금황색 유모가 나며 잎자루가 짧다는 특징을 보여서 참갈매나무와 구분된다. 그리고 갈매나무와도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갈매나무는 잎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상대적으로 넓고 가시는 가지의 분기점에 생기며 통상 소지 끝에는 가시가 아닌 동아가 생성되며 종자의 색상이 황갈색을 띠고 깊은 홈이 있다. 반면에 참갈매나무는 잎이 좁고 길며 정아가 대부분 가시로 변하고 종자의 색상이 흑갈색이며 홈이 얕다는 점에서 갈매나무와 다르다. 그리고 중국 갈매나무 즉 동록(凍綠)의 학명은 프랑스 식물학자인 Joseph Decaisne(1807~1882)가 중국 상하이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1857년 명명한 Rhamnus utilis Decne.인데 여기서 종소명 uilis는 영어로 useful 즉 대우 유용한 식물이라는 뜻이다. 이는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약으로 또는 윤활유로 활용하는 데다가 짙은 녹색 즉 갈매색 염료를 추출하는 대표적인 수종이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중국명 동록(凍綠)은 잎이나 열매를 냉동시킨 다음 저온에서 추출하는 냉염법(冷染法)으로 짙은 녹색 염료를 얻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수종은 중국에서만 자생하기 때문에 서양에서 Chinese Buckthorn이라고 부른다.






등록명 : 참갈매나무
등록명 : Rhamnus ussuriensis J.J.Vassil.
분 류 :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자생종, 중국 북동부, 극동러시아, 몽고
중국명 : 오소리서리(乌苏里鼠李) 노괄안(老鸹眼)
일본명 : クロツバラ(黒つ薔薇)
영어명 : Ussuri buckthorn
수 고 : 5m
특 징 : 전주 무모 근무모
줄 기 : 소지회갈색 무광택 대생 근대생
가 시 : 가지 끝
동 아 : 액아와 정아 난형 인편 수개 인편변연무모 근무모 3~4mm
엽 편 : 지질 대생 근대생 단지단 족생
잎모양 : 협타원형 협구(矩)원형 희피침상타원형 타원형 정단예첨 단점첨 기부설형 원형 초편사
잎크기 : 3~10.5 x 1.5~3.5cm
잎거치 : 둔혹원치상 거치 치단 자홍색 선체
잎면모 : 양면 무모 하면맥액 소유모
잎면맥 : 측맥 매변 4~5(6) 양면 돌기 망맥 명현
잎자루 : 1~2.5cm
탁 엽 : 피침형 조락
꽃차례 : 단성 자웅이주
꽃특징 : 4기수 화판
꽃자루 : 6~10mm
자 화 : 최대 20송이 족생 장지하부 엽액 단지 정단 악편 난상피침형 악통비 3~4배 수술 퇴화
암 술 : 2천렬 근반렬
열 매 : 핵과 구형 도란상 구형 지름 5~6mm 흑색 2분핵 기부 악통 숙존
과 경 : 6~10mm
종 자 : 난원형 흑갈색 배측기부 단구 상부 구봉(沟缝) 통상 불개열 불리가 어려운 박막질 내과피
개화기 : 4~6월
결실기 : 6~10월
내한성 : 영하 40도




=================
명 칭 : 중국갈매나무(미등록종)
학 명 : Rhamnus utilis Decne.
영어명 : Chinese Buckthorn
중국명 : 동록(凍綠)
일본명 : シーボルトノキ(지볼트나무)








'기타 과 식물 > 갈매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 산갈매나무(O) = 신갈매나무 (X), 금강산 원산 (0) | 2025.03.20 |
---|---|
2102 털갈매나무 - Korean buckthorn (2) | 2025.03.19 |
2100 돌갈매나무 - 작은잎갈매나무 (1) | 2025.03.13 |
2099 염색갈매나무 – 지중해 원산 포복성 (2) | 2025.03.12 |
2098 아마갈매나무 – 유럽갈매나무 European buckthorn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