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차나무과

177 비쭈기나무

낙은재 2016. 10. 13. 00:07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후피향나무와 같은 차나무과에 속하는 우리 자생종 비쭈기나무를 알아본다. 이 또한 제주도와 전남의 일부 섬에서만 자라는 상록 남부수종이다. 우리 외에 일본과 대만 그리고 중국에서도 자생한다. 비쭈기나무속에는 세계적으로 20여 개 수종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비쭈기나무 외에 그 원예종 3종이 더 등록되어 있다. 새순이 나올 때 아래와 같이 아주 가늘고 긴 것이 옆으로 휘어져서 나오는 모습을 보고 삐죽이 비쭉이 하다가 우리 이름이 비쭈기나무로 정해진 것 같다는 것이 유래의 정설이다. 


비쭈기나무


우리나라에서는 좀 생소한 나무이지만 이 나무 일본에서는 매우 의미가 있고 중요한 나무이다. 일본인들이 거의 종교같이 숭상하는 신사에 참배하러 갈 때 들고 가는 것이 바로 이 나무의 가지묶음이다. 앞에서 일본인들이 절에 가서는 붓순나무 가지단을 불단에 바친다고 했는데 신사에는 비쭈기나무를 바치는 것이다. 원래는 신과 인간의 경계의 나무라는 의미에서 경목(境木 :さかき) 즉 사카키로 불렀던 것이 어원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 나무이름을 나무목(木)에다가 신(神)을 합하여 신(榊)이라는 새로운 일본식 한자를 만들어 쓰고 사카키로 읽는다. 불단에 바치는 붓순나무를 불(梻 = 木 + 佛)이란 글자를 만들어 쓰고 시키미라고 읽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비쭈기나무



등록명 : 비쭈기나무

학  명 : Cleyera japonica Thunb.

분  류 : 차나무과 비쭈기나무속 상록 관목, 소교목

신분류 : 후피향나무과 비쭈기나무속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중국, 네팔 등 아시아 

일본명 : 사카키(サカキ : 榊)

중국명 : 홍담비(红淡比)

성정체 : 양성화

수  고 : 2 ~ 10m

지  름 : 20cm

전  주 : 무모

수  피 : 회갈색, 회백색

정  아 : 대, 장추형, 1~1.5cm, 무모

가  지 : 눈지갈색, 2릉선, 소지회갈색, 원주형

잎특징 : 혁질, 장원형, 장원상타원형

잎크기 : 6~9 x 2.5~3.5cm

잎모양 : 정단점첨 혹 단점첨, 기부설형, 전연

잎색상 : 상면 심녹색, 유광택, 하면 담녹색

잎면맥 : 중맥 상면오목, 하면 융기

잎측맥 : 6~8조 (10), 양면 다소 뚜렷, 돌출, 하면 혹 불명확

잎자루 : 7~10mm

꽃차례 : 2~4송이 액생

꽃자루 : 1~2cm

포  편 : 2개, 조락

꽃받침 : 5개, 난원형, 원형, 가로세로 2.5mm, 정단원, 변연유섬모

꽃  잎 : 5개, 백색, 도란상장원형, 8mm

수  술 : 25 ~ 30매, 4~6mm

꽃  밥 : 란형, 장란형, 1.5mm, 사모, 화사무모, 약격정단소첨두

자  방 : 원구형, 무모, 2실, 배주매실 10여개

화  주 : 6mm, 정단 2 천렬

과  실 : 원구형, 성숙시 자흑색, 8~10mm

과  경 : 1.5~2cm

종  자 : 매실 수 개 또는 10여 개, 편원형, 심갈색, 광택, 2mm 지름

개화기 : 5 ~ 6월

과실기 : 10 ~ 11월 

종소명 Cleyera는 네덜란드 의사의 이름에서 왔다.


비쭈기나무

잎 겨드랑이에서 2 ~ 4 송이 꽃이 핀다.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후피향나무와는 달리 꽃밥에 털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하나인데 끝이 두 개로 갈라진다.


비쭈기나무

모두 양성화이다.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적갈색이다.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비쭈기나무 '트라이컬러'

Cleyera japonica 'Tricolor'


비쭈기나무 '포르투네이'

Cleyera japonica 'Fortun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