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레피나무
이번에는 사스레피나무를 알아본다.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사스레피나무속에는 전세계에 70여 종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사스레피나무와 우묵사스레피 그리고 사스레피나무의 변종 3 모두 5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또한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종인데 우리나라 이름 사스레피나무는 제주도 방언 가스레기낭에서 왔다는데 가스레기가 무슨 뜻인지는 아무데도 설명이 없다. 우리 외에도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도 자생하는데 중국 이름은 영목(柃木)이고 일본 이름은 히사카키(ヒサカキ : 姫榊)로서 작은 비쭈기나무라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신사에 바치는 헌화로 비쭈기나무(사카키 : 榊) 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사스레피나무에 대하여는 기존 도감 특히 국생정 기본정보의 묘사가 실물과 일치하지 않는 몇 가지 점이 있다. 내가 파악하지 못한 오류가 더 있을 가능성이 높다. 우선 첫 번째로 원산지인 동양 3국 거의 모두 자웅이주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최근에 일본에서 웅주에서 불완전 양성화 및 온전한 양성화가 섞여 있는 것이 발견되어 연구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사스레피나무
수꽃나무에 암술이 보이는 꽃이 있다.
사스레피나무
그러나 암술머리가 닫혀 있다.
사스레피나무
자방을 열어 속을 보니 배주(밑씨)가 없다.
불완전 양성화이다.
사스레피나무
이번에는 배주가 있는 완전한 양성화이다.
사스레피나무
수꽃 사이에 양성화가 섞여 있다.
두 번째 우리나라 국생정 등 도감에는 수고가 겨우 1m 내지 3m로 표기되어 있어 나무 공부하는 사람들을 엄청 혼란스럽게 한다. 왜나햐면 실제로는 우리나라에도 엄청 큰 나무가 거제도 등 남부지방에 존재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10m까지도 자란다고 한다. 왜 이런 명백한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지 참으로 한심하다. 1m 높이의 나무라면 아래와 같은 줄기의 모습이 절대로 나올 수가 없다. 어디에 가서 검색을 해도 1m 이상의 사스레피나무는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토양이나 환경에 따라서 수고의 차이가 큰 나무인 것으로 판단은 되지만 그래도 1m라고 묘사한 우리나라 표준이라는 국생정 정보는 너무 심하다.
그림 출처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561102/15713409
사스레피나무
이걸 누가 높이 1m 나무의 줄기라고 할까? 최소한 5m 또는 그 이상의 큰 나무로 보인다.
그리고 세 번째로 꽃 색상도 중국은 백색 일본은 황백색 우리는 황록색이라고 원산지 한중일 3국 모두 비슷하게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암홍색 꽃이 피는 종이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보인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어디에도 없다. 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국생정 기재문에 분명 연한 황록색으로 꽃이 핀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바로 그 페이지의 이미지 갤러리에는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이런 색상의 꽃 사진이 있다. 이게 황록색인가? 어디 내 눈이 잘못된 것인가? 이제 사스레피나무는 암홍색 또는 자홍색 꽃도 핀다고 추가 설명을 하던가 아니면 이런 꽃이 피는 나무를 별도의 변종으로 분류해야 하는 것 아닌가? 예를들면 Eurya japonica f. rubescens로.
사스레피나무
출처 : 국생정 촬영 국립수목원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생정 설명에 사스레피나무는 4월 초에 향기가 있는 꽃을 피운다고 했는데 향기는 좋은 냄새를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나쁜 냄새에는 향기라고 하지 않는다. 이건 내 말이 아니고 국어사전이 그렇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역겨운 냄새라고 느끼고 심지어는 계분 또는 화장실 냄새같은 악취가 난다라고 표현하는 꽃을 향기나는 꽃으로 묘사한다면 분명한 오류이다. 수정을 요한다. 냄새는 그림으로 표현할 수 없어서 다음 검색으로 갈음한다.
등록명 : 사스레피나무
학 명 : Eurya japonica Thunb.
분 류 :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상록 관목, 소교목
신분류 : 후피향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중국
일본명 : 히사카키(ヒサカキ : 姫榊)
중국명 : 영목(柃木)
성정체 : 자웅이주, 양성화도 발견되었다는 설이 있음
수 고 : 1 ~ 3.5m (10m)
전 주 : 무모
수 피 : 암갈색, 검회색, 매끄럽다, 불규칙한 잔주름
가 지 : 당년지 담녹색, 무모
잎자루 : 가지에 흐르고 2개 능선
잎차례 : 어긋나기. 결가지에서는 2줄로 늘어서다.
잎크기 : 길이 3~7cm, 폭 1.5~3cm의 타원형~도피침형.
잎모양 : 끝은 둔하고 기부예설형, 가장자리 얕은 톱니. 혁질, 표면 광택
잎색상 : 뒷면은 담녹색. 양면 모두 무모
잎측맥 : 5~7조, 상면 뚜렷 오목, 하면 볼록
잎중맥 : 상면 오목, 하면 볼록
잎자루 : 길이 2~4mm, 무모
꽃차례 : 전년지 엽액에 종~항아리 모양의 꽃을 1~3개 모여핌
꽃특징 : 지름 2.5~5mm로 하향으로 피는 강한 악취
암 꽃 : 작다. 황백색 5개, 기부는 약간 접합, 수술 퇴화, 암술 1개 3렬
수 꽃 : 수술이 12~15개, 암술은 퇴화
꽃받침 : 검 보라색, 5개
꽃자루 : 2mm로 짧다
소포편 : 암수꽃 각 2개
개화기 : 3~4월
열 매 : 액과. 직경 4~5mm의 구형, 숙존화주 1~1.5mm
결실기 : 10~11월 검 보라 색으로 성숙
종 자 : 다수, 길이 약 2mm, 불규칙한 각. 표면은 적갈색에서 그물망 무늬
동 아 : 4~8mm, 무모, 엽아 협피침형, 녹색. 끝은 낮모양으로 휘어짐. 꽃눈은 둥글다.
용 도 : 꽃꽃이, 염료, 약용 생약명 - 영목
속명 Eurya는 넓은 꽃잎이라는 뜻이다.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수꽃
사스레피나무 수꽃
사스레피나무 수꽃
사스레피나무 수꽃
암술을 퇴화하고 없다.
사스레피나무 수꽃
사스레피나무 암꽃
사스레피나무 암꽃
사스레피나무 암꽃
사스레피나무 암꽃
사스레피나무 암꽃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기타 과 식물 > 차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1 프랭클리니아, 최고의 희귀 정원수 [프랑클리니아 알라타마하] (0) | 2016.10.17 |
---|---|
180 수페르바 스키마, 아름다운 남부 정원수 (0) | 2016.10.17 |
179 우묵사스레피 (0) | 2016.10.16 |
177 비쭈기나무 (0) | 2016.10.13 |
176 후피향나무 - 일본 3대 정원수 중 하나 (0) | 2016.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