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묵사스레피
사스레피나무에 이어 사스레피나무속의 또 하나의 우리 자생종 우묵사스레피를 알아보자. 우리나라 등록 정명이 우묵사스레피나무가 아닌 [우묵사스레피]이다. 끝에 나무라는 두 글자를 붙이기 귀찮아서 인지 나무가 안붙은 어정쩡한 이름이다. 주로 남부지방 해안가에 자라는 나무이므로 차라리 이 나무의 이명인 섬쥐똥나무, 갯쥐똥나무나 북한 이름 갯사스레피나무가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 일단 우리이름 우묵은 잎이 뒤로 우묵하게 말려들어 갔다고 우묵사스레피라고 한다고 국생정에 명시되어 있다. 얼핏 봐서는 그럴 듯하게 들리나 깊게 생각해 보면 이 해석에는 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우리 외에 일본과 중국에서도 자생하는데 일본 이름은 하마히사카키(ハマヒサカキ : 浜姫榊)로 해변가에 주로 자생하는 사스레피나무(히사카키)라는 의미로 갯사스레피나무라고 부르는 북한 이름과 같은 맥락이다. 중국이름 또한 빈령(滨柃)으로 이 또한 갯가의 사스레피나무(柃木)라는 뜻이다. 따라서 일본이름과 북한이름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우리 이름은 우리 자생종 답게 독자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도 할 수 없는 것이 중국에서 이 나무를 이명으로 요엽령목(凹叶柃木)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오목한 잎을 가진 사스레피나무라는 뜻이다. 잎의 끝이 오목하고 앞면에 있는 주맥과 망맥이 오목하여 붙은 이름이다. 그럼 국생정에서 잎이 뒤로 말려 뒤가 우묵하다는 것과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그리고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뒤로 잎 가장자리가 말리면 뒷면이 우묵하다고 인식하지 않고 우선 눈에 보이는 앞면이 볼록하다고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따라서 우묵사스레피는 잎끝과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갔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그리고 참고로 이 나무의 학명 Eurya emarginata 자체도 끝이 오목한 잎이란 뜻이다.
우묵사스레피
우묵이란 이름은 잎이 뒤로 말려 뒷면이 우묵해서 붙었다는 어색한 해석보다는
잎의 끝과 잎의 주맥과 측맥 등이 우묵하게 들어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나무 사스레피나무와는 달리 초겨울에 꽃피고 이듬해 꽃이 필 때까지 열매가 성숙하는 흔하지 않은 특이한 나무이다. 따라서 참식나무와 마찬가지로 같은 가지에 달린 열매와 꽃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물론 당연히 암그루만 그렇다. 그러므로 꽃만 보이는 나무는 거의 수꽃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 점에서 봄에 꽃이 피고 늦가을에 열매가 성숙하는 사스레피나무와는 큰 차이점을 보이며 구분포인트 중 하나가 된다. 이 점은 국생정에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많은 식물도감에 여름에 꽃피고 가을에 열매가 익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분명 잘못된 정보이다.
우묵사스레피
잎과 열매가 동시에 보인다. 이런 모습은 사스레피나무에서는 어림없다.
우묵사스레피
그리고 우리 나라 국생정 등 일부 도감에는 이 나무의 높이는 2~3m로 겨우 1m인 사스레피나무보다 큰 나무로 오해하게끔 되어 있는데 사스레피나무 높이가 1m밖에 안되는 작은 나무는 절대로 아니라는 것은 앞 글 [178 사스레피나무]에서 밝힌 바 있다. 실제로는 우묵사스레피가 오히려 나무의 높이도 낮고 잎 사이즈도 사스레피나무보다 작은 나무이다. 그리고 꽃 냄새에 대하여는 별 언급이 없는데 이 또한 사스레피나무와 마찬가지로 강한 악취가 난다.
등록명 : 우묵사스레피
이 명 : 섬쥐똥나무, 갯쥐똥나무
학 명 : Eurya emarginata (Thunb.) Makino
분 류 :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상록 관목 자웅이주
신분류 : 후피향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등
중국명 : 빈령(滨柃), 이명 - 요엽령목(凹叶柃木)
일본명 : 하마히사카키(ハマヒサカキ : 浜姫榊)
수 고 : 2~3m (6m)
줄 기 : 눈지 원주형, 극희소2능성, 조장, 적갈색, 황갈색단유모 밀생,소지 회갈색 혹 홍갈색, 무모
정 아 : 장추형, 단유모 혹 무모
잎특징 : 후혁질, 도란형, 도란상피침형
잎크기 : 2~2 x 1.2~1.8cm
잎모양 : 끝오목, 기부설형, 변연세미거치, 치단흑색소점, 뒤로 약간 말림
잎색상 : 녹색, 심녹색, 약한 광택, 하면 황녹색, 담록색, 양면 무모
잎 맥 : 중맥 상면 오목, 하면 융기, 측맥 약5조, 섬세, 망맥 상면 오목, 하면 약간 융기
잎자루 : 2~3mm, 무모
꽃차례 : 1~2송이 엽액생
꽃자루 : 약 2mm
수 꽃 : 소포편 2, 근원형
꽃받침 : 5, 약간 두터움, 원형, 1~1.5mm, 정단원, 소첨두, 무모
꽃 잎 : 5, 백색, 장원형, 장원상도란형, 약3.5mm
꽃특징 : 아래로 피고 강한 악취
수 술 : 20매, 꽃받분격, 퇴화자방무모
암 꽃 : 소포편과 악편 수꽃과 동일
꽃 잎 : 5, 란형, 약3mm
자 방 : 원구형, 3실, 무모
암술대 : 약1mm, 정단 3렬
과 실 : 원구형, 3~5mm 지름, 성숙시 흑색
개화기 : 10~12월
결실기 : 익년 8~12월
서식지 : 해안가
종소명 emarginata는 톱니가 있는 잎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잎끝의 오목한 모습을 말한다.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수꽃
우묵사스레피 수꽃
우묵사스레피 암꽃
우묵사스레피 암꽃
우묵사스레피 암꽃
우묵사스레피 암꽃과 열매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옆에 꽃망울이 보이는 가운데 전년도 열매가 1년 동안 여물고 있다.
우묵사스레피
횡단면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뒷면 가장자리에 침점이 있다.
우묵사스레피
우묵사스레피 동아
털이 없고 붉은 색을 띠고 있다.
==========================
사스레피나무속에는 이미 탐구한 사스레피나무와 이 우묵사스레피 외에 두 개의 변종과 하나의 원예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변종 둘은 사스레피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는데다가 국생정에 조차 사진 한장 없으므로 여기서 간략한 특징만 소개하고 넘어 간다.
등록명 : 떡사스레피나무
학 명 : Eurya japonica var. aurescens Redde & E.H.Wilson
분포지 : 제주도, 전남, 경남
특 징 : 암술대가 떨어져 있고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정확하게 어떻게 떨어져 있는지 사진이 없어 모르겠다.
등록명 : 섬사스레피나무
학 명 : Eurya japonica f. integra (Nakai) T.B.Lee
분포지 : 거제도
특 징 : 잎에 거치가 없다.
등록명 : 사스레피나무 '컨페티'
학 명 : Eurya japonica Thunb. ’Confetti’
이 원예종은 미국의 Philip Normandy에 의하여 명명된 수종으로 잎사이즈는 길이 3~5 x 1.5~2cm이며 녹색 바탕에 흰색이나 연노랑색이 섞인 무늬종인데 미국의 특정 수목원에서만 공급하는 품종 같다.
'기타 과 식물 > 차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1 프랭클리니아, 최고의 희귀 정원수 [프랑클리니아 알라타마하] (0) | 2016.10.17 |
---|---|
180 수페르바 스키마, 아름다운 남부 정원수 (0) | 2016.10.17 |
178 사스레피나무 (0) | 2016.10.16 |
177 비쭈기나무 (0) | 2016.10.13 |
176 후피향나무 - 일본 3대 정원수 중 하나 (0) | 2016.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