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
이 것이 참나무속을 대표하는 모식종으로서 영국참나무 프랑스참나무 등으로 불린다.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
그저께 첫눈도 내렸고 아침에 서리가 내리는 추운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므로 나름대로 마무리 월동대책에 바쁘다. 노지월동이 불가능한 화분들은 진즉 실내로 들여왔고 다알리아나 칸나 같은 구근들은 캐서 마대에 담아 건조한 지하실로 옮겨 동계 휴면에 들어가게 하였다. 그리고 벽난로용 참나무 장작도 잔뜩 들여 난방준비도 마쳤다. 고래로 우리 인간들에게 겨울용 땔감을 제공하는 이 고마운 참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리가 나무 중에서 으뜸이라고 참나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나무는 생각보다는 그 종류가 매우 많다. 우리 자생종이 무려 30종이나 되고 외래종도 모두 29종이 등록되어 있다. 참나무라고 하면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및 졸참나무 그리고 갈참나무 등 도토리가 달리는 6개 종이 모두다 인 줄로만 알았는데 우리 자생종이 30개 종이나 된다니? 의아하지 않을 수 없고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장작을 때 본 사람들은 참나무가 왜 참나무인지를 확실하게 안다.
화력이 좋으면서도 오랫동안 탄다. 이론적으로는 잘 설명이 안된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정보가 아니다. 위의 참나무 기본 6종에다가 그들의 이리저리 교잡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때로는 인위적으로 생겨난 교잡종들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이유는 남부지방에 가면 가시나무로 불리는 도토리가 달리는 상록나무들이 있는데 이 것들도 참나무속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 가시나무는 우리 자생종만도 8종이나 된다. 도토리 모양도 조금 다르고 잎모양이 많이 다른 이 상록인 가시나무들을 왜 참나무에 포함할까 의문이 드는 것은 나 혼자만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국제적 많은 학자들이 이를 참나무속이 아닌 별도의 가시나무속으로 독립시키기도 한다. 바로 이들 상록 가시나무들이 오늘부터 공부할 대상이다.
참나무는 특정 수종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고 참나무속 나무들을 통칭하는 말이며 영어로는 오크(Oak)라고 한다. 학명으로는 Quercus로 표기하는데 전세계적으로 약 600종이나 분포한다. 참나무속은 참나무아속과 가시나무아속으로 크게 두 개의 아속(亞屬)으로 분리할 수 있다. 나라에 따라서는 다소 이질적인 가시나무아속을 참나무속에서 분리하여 아예 별도의 속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멕시코에 이어 무려 130여 종이 분포하는 세계 제2의 참나무 종주국 중국에서는 그렇게 한다. 중국에서는 참나무속은 역속(栎属)으로 가시나무속은 청강속(青冈属)으로 분리하여 분류한다. 일본에서는 가시나무들을 별도의 속으로 분리하지는 않지만 아속(亞屬)으로 분류하여 참나무아속은 코나라(コナラ : 졸참나무)아속으로 가시나무아속은 아카가시(アカガシ : 붉가시나무)아속으로 부른다.
떡갈나무
신갈나무
종가시나무
상록인데다가 도토리 깍정이에 층층이 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일본에서 상록 참나무 즉 가시나무들을 우리와 동일하게 가시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가시를 한자로는 견고한 재질의 나무라고 그들이 만든 한자인 樫(견)으로 표기하며 정확하게는 카시(カシ)로 읽으며 뒤에 붙을 때는 주로 가시(ガシ)로 발음한다. 일본의 가시는 참나무과의 상록성 나무들을 총칭하여 그 범위가 매우 넓다. 그렇지만 좁은 의미로서는 참나무속 상록수종들을 이르는 말이 되는데 이는 우리나라 가시나무와 매우 근접한 의미가 된다. 이래서 우리나라 가시나무의 어원이 일본에서 왔다고 볼 근거가 된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극히 제한된 제주도나 남부 지방에서만 일부 자생하는 나무이지만 일본에서는 비교적 넓게 홋카이도를 제외한 거의 전지역에 분포된 나무인데다가 7세기 경에 쓰여진 만엽집에 벌써 카시(カシ)라는 말이 등장한다고 하니 더더욱 그렇게 생각이 된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가시라는 말의 뚜렷한 어원을 자체에서 찾지 못하고 있어 오히려 우리나라에서 건너온 말이 아닌가 하는 일본 내부의 주장도 있다. 우리 국어사전에 가시는 물론 "뾰족한 바늘이나 뼈"를 말하지만 그 세번 째 뜻으로 "도토리 비슷한 모양인 가시나무의 열매"라는 뜻도 있다. 이는 가시가 순수 우리말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조선 정조때 기록에 가시를 한자로 가서목(哥舒木)으로 표기한 것이 보이고 비슷한 시기의 다산 정약용 서책에도 가사목(加斜木)으로 표기한 것이 있다. 모두 한자를 빌려 가시나무를 발음대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적어도 가시나무는 순수 우리말이거나 일본에서 들어왔더라도 최소한 일제 강점기는 아니고 그 이전 이라는 말이 된다.
그런데 일본의 가시는 참나무과 전체 또는 좁게는 참나무속의 상록수를 통칭하여 마치 영어 live oak를 연상하게 하는데 우리나라의 가시나무도 그런 뜻을 내포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영어 live oak는 겨울에도 잎이 살아있는 즉 상록의 참나무를 말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가시나무를 제외하면 상록인 참나무 자생종이 없지만 유럽에는 지중해 연안에서 자생하는 코르크를 만드는 그 유명한 코르크 참나무(cork oak)가 상록수이며 특히 멕시코 등 미주대륙에는 매우 많은 상록 참나무들이 있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일본에서 들어온 졸가시나무도 상록이지만 가시나무 종류가 아니고 실제로는 참나무 종류이다. 즉 참나무아속으로 분류된다는 말이다. 따라서 단순히 상록, 낙엽만으로는 참나무아속과 가시나무아속을 구분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수베르참나무(Quercus suber)
cork oak라고 불리는 상록 참나무인데 코르크를 채취하고 있는 모습이다.
수베르참나무(Quercus suber)
cork oak 정말 코르크 층이 엄청나게 두껍다.
호랑잎가시나무
유럽원산인 상록으로서 우리나라서 가시나무라고 이름을 달았지만 실제로는 참나무 종류이다.
호랑잎가시나무
굴참나무
우리 자생종 중에서는 가장 코르크 층이 두터운 참나무이다.
Oak barrels
유럽에서는 주로 로부르참나무로 만든다.
원목마루 오크
참나무는 다양하게 이용된다.
확실한 근거가 없으므로 어원 논쟁은 현재로서는 불필요해 보이나 그것보다는 가시나무아속을 참나무와 같이 묶여 있는 것은 이해하는 데 불편한 것 같다. 참나무아속과 분리하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든다. 그리고 우리는 참나무를 편의상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으로 분류하지만 실제로는 너도밤나무목 너도밤나무과 참나무속이다. 학명을 보면 이해가 된다.
학명분류 : Fagales(목) Fagaceae(과) Quercus(속)
중국분류 : 산모거(山毛榉)목 각두(壳斗)과 역(栎)속
일본분류 : 부나(ブナ: 橅)목 부나(ブナ: 橅)과 코나라(こなら : 小楢,枹)속
중국의 산모거(山毛榉)나 일본의 부나(ブナ: 橅)는 모두 너도밤나무를 뜻한다. 중국의 각두는 도토리를 감싸는 덧껍데기 즉 깍정이를 말하며 일본의 코나라는 졸참나무를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참나무하면 아무래도 상수리나무가 그 기본일 것 같으며 실제로 국어사전에도 참나무는 상수리나무라고 되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졸참나무가 그 기본인 것 처럼 보인다. 그리고 유럽에서는 oak하면 이 참나무속의 모식종인 로부르참나무(Quercus robur)로 인식한다. 우리 떡갈나무와 잎모양이 매우 흡사하므로 유럽 소설 등에 등장하는 oak를 떡갈나무라고 번역하여도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참나무는 우리나라에도 이미 들어와 가로수로 더러 심어져 있는 루브라참나무(Quercus rubra)를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루브라참나무(Quercus rubra)
루브라참나무(Quercus rubra)
참나무아속은 다시 아래와 같이 몇 개의 부류로 나뉘진다.
참나무아속(Subgenus Quercus)
1. Quercus - 백참나무
유럽, 아시아, 북미 원산, 짧은 암술대, 결실기간 6개월, 단맛 또는 약간 쓴맛, 도토리 안쪽에 무모, 주로 둥근 거치, 끝에 털이 없다.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로부르참나무 등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2. Mesobalanus - 헝거리참나무
유럽, 아시아 원산, 긴 암술대, 결실기간 6개월, 쓴맛, 도토리 안쪽에 무모, 백참나무계와 흡사함
떡갈나무 등
떡갈나무
3. Cerris - 터키참나무
유럽, 아시아 원산, 긴 암술대, 결실기간 18개월, 매우 쓴맛, 도토리 안쪽에 무모, 날카로운 톱니 끝에 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가시나무 등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굴참나무
졸가시나무
일본에서 들어온 외래종으로서 이름은 가시나무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참나무아속으로 분류된다.
4. Protobalanus - 캐년 가시나무, intermediate oaks
미국, 멕시코 원산, 짧은 암술대, 결실기간 18개월, 매우 쓴맛, 도토리 안쪽에 털, 날카로운 톱니 끝에 털
국내 등록종 없음
Quercus vacciniifolia
미국원산 상록 참나무
Quercus vacciniifolia
5. Lobatae - 적참나무
미주대륙 원산, 긴 암술대, 결실기간 18개월, 매우 쓴맛, 도토리 안쪽에 털, 종자가 얇은 지질의 막에 싸여 있음, 예거치, 가시털
대왕참나무, 루브라참나무 등
대왕참나무
가시나무아속(Subgenus Cyclobalanopsys)
여기에 반하여 Ring-cupped oak라고 불리는 가시나무아속(Cyclobalanopsys)은 아시아 원산 상록성 교목으로서 특이한 모습의 눈금이 있는 둥근 줄 고리가 그려진 도토리가 오밀조밀하게 많이 달리는데 중국 외에도 국제자연보호연맹 등 많은 관련기관에서 참나무속에서 분리 독립된 속으로 채택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약 150 종이 분포하며 주로 아시아 아열대 지역의 조엽수림에 모밀잣밤나무속 나무들과 함께 많이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가시나무, 붉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및 참가시나무 등 5개의 원종과 3개의 변종이 자생하고 있다.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다음부터는 개별 가시나무들은 탐구한다.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8 개가시나무 - 어울리지 않는 이름 (0) | 2016.12.03 |
---|---|
207 참가시나무, 넓은잎참가시나무 (0) | 2016.12.02 |
206 붉가시나무(북가시나무), 개붉가시나무 (2) | 2016.12.01 |
205 종가시나무, 민종가시나무 (1) | 2016.11.30 |
204 가시나무 정의 그리고 좁은 의미의 가시나무 = 소엽청강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