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시나무
잎이 좁고 버들잎 같이 길고 얇으며 뒷면이 백색이라서
그 특징에 따라서 학명과 중국명 및 일본명이 각기 지어졌다.
우리 자생종 가시나무 다섯 중 네 번째로 참가시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식물은 여러 개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거나 먹을 수 있다거나 하는 뭔가는 좋은 점이 있는 종에다가 참이라는 접두사를 붙이는데 왜 이 수종을 참가시나무라고 했는지는 모르겠다. 우선 이 나무를 외국에서는 뭐라하는지부터 알아보자. 혹시나 중국이나 일본에서 참(眞)이나 본(本)이란 이름이 있는지 말이다.
이 수종의 원산지는 우리와 일본 그리고 대만이다. 일본에서는 이 나무의 잎 뒷면이 백색이라고 우라지로가시(ウラジロガシ : 裏白樫)라고 부른다. 참과는 거리가 멀다. 그럼 중국에서는 뭐라고 할까. 중국에서는 대만에 자생하는 잎이 좁은 가시나무라는 의미로서 대만착엽청강(台湾窄叶青冈)이라고 부른다. 이는 우리가 쓰는 학명 Quercus salicina이나 중국에서 쓰는 학명 Cyclobalanopsis stenophylloides 모두에 잎이 좁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는 것과 상통한다. 그러면 혹시 정작 원산지인 대만에서는 참가시나무라고 하지않을까 하고서 찾아보니 거기 역시 좁다는 의미의 협엽력(狹葉櫟)으로 쓰고 있다. 따라서 참가시나무의 참은 우리 독창적이기는 하지만 그 어원을 알 길이 없다. 다만 국가표준목록에 기록된 이명 백가시나무는 일본 이름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나무 중국에서는 약용한다는 정보가 잘 보이지 않는데 우리나라서 이백저(裏白槠)라며 신장결석이나 담석에 좋다고 하는 것은 아마 일본에서 약재로 개발된 탓에 일본 이름 이백견(裏白樫)에서 영향을 받은 것 같다. 참고로 우리나라 민간에서 가시나무아속 전체를 상록이라고 모두 참가시나무인줄 알고서 모두가 결석에 효능이 있는 것처럼 설명하고 사용하는 글도 보이는데 일본에서는 가시나무(시라카시)도 민간에서 사용하지만 주로 참가시나무(우라지로가시)만이 그런 효능이 검증되어 약용한다고 한다. 혹시 그래서 우리 이름이 참가시나무가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하여튼 제대로 정확한 수종 확인도 없이 마구잡이로 민간에서 약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등록명 : 참가시나무
학 명 : Quercus salicina Blume
분 류 : 참나무과 참나무속 가시나무아속 상록 교목
이 명 : Cyclobalanopsis stenophylloides, Quercus stenophylla
분 류 : 참나무과 가시나무속 상록 교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일본, 대만
일본명 : 우라지로가시(ウラジロガシ : 裏白樫)
중국명 : 대만착엽청강(台湾窄叶青冈), 대만명 : 협엽력(狹葉櫟)
영어명 : Willow-leaf evergreen oak
성정체 : 자웅동주, 암수 딴 꽃
수 고 : 약 20m, 지름 80cm
수 피 : 회흑색 매끄럽다. 원형의 하얀 껍질 눈이 산생
가 지 : 신지 엷은 갈모밀생, 2년째 이후 탈락. 소원형피목 많음
잎차례 : 어긋나기
잎크기 : 9~15 x 2.5~4cm, 장타원피침형, 박혁질, 선단예첨, 기부광설형, 잎몸의 2/3이상 예거치
잎면털 : 표면 초기 유복모 산생, 후 탈락, 광택, 배면 초기 황갈색견모밀생, 후 탈락, 납질 분비로 분백색
잎면맥 : 뒷면 주맥 돌출
잎자루 : 길이 1~2cm
탁 엽 : 길이 1cm정도의 선형, 개엽후 탈락
웅화서 : 길이 5~7cm의 신지하부 몇 개 늘어짐, 화서축 갈색 연모
수 꽃 : 포 옆에 1~3개씩, 포는 갈색, 길이 2~3mm, 광타원형. 수술 3~6개
자화서 : 신지상부 엽액에 직립, 암꽃이 3~4개다. 암술대는 3개
열 매 : 견과. 길이 1.2~2cm의 광란형, 이듬해 가을에 성숙
각 두 : 동심원 약 7개, 단모 밀생
개화기 : 5월
결실기 : 익년 가을
겨울눈 : 긴 타원형. 아린, 백견모 밀생
용 도 : 식용, 약용, 목재용
종소명 salicina는 버들잎 같다는 뜻이며 stenophylloides는 좁은 잎이란 뜻이다.
넓은잎참가시나무
우리나라에는 이 참가시나무 외에 하위 품종으로 거치가 보다 더 예리하고 잎이 더 넓으며 뒷면 색상이 더 진하게 하얀 넓은잎참가시나무라는 것이 보길도와 대흑산도에서 자생한다며 Quercus salicina f. latifolia (Nakai) W.T.Lee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국제적으로 참가시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국립수목원의 국생정에서 조차도 사진 한장 없이 그냥 표본정보만 있어 그냥 참가시나무에 포함하여 인식하여도 큰 무리는 없겠다.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뒷면에 밀랍성분이 분비되어 분백색을 띠며 낙엽이 되어도 지속된다.
참가시나무
톱니가 예리하다.
참가시나무 신아
참가시나무 수피
참가시나무
새 가지 기부에 웅화서(수꽃) 새 가지 상부에 자화서(암꽃)
참가시나무 수꽃
참가시나무 수꽃차례
참가시나무 암꽃차례(자화서)
참가시나무 암꽃 3~4개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넓은 잎도 더러 있다.
참가시나무 납질 분비에 의한 분백색
참가시나무
납질이 분비되기 전에는 담록색이다.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어린 잎은 이런 색상도
참가시나무
거치가 날카롭다.
참가시나무
그물망
좌 종가시나무와 우 참가시나무 잎
종가시나무잎도 뒷면이 백색이지만 낙엽이 되면 사라진다.
그러나 참가시나무잎은 백색이 그냥 남는다.
좌 가시나무와 우 참가시나무 잎
일본에서는 가시나무는 백견(白樫)으로
참가시나무는 이백견(裏白樫)으로 같은 백견이지만
가시나무는 목재의 색상이 희고 참가시나무는 잎 뒷면 색상이 희다.
참가시나무 동아는 길쭉한 특징이 있다.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열매
이듬해 7월인데도 아직 이렇게 작다.
참가시나무
도토리 끝에 암술대가 남아있다.
참가시나무
각두의 높이가 일정하지는 않다. 이듬해 9월
참가시나무
바로 위 사진 후 2주만에 이렇게 급성장한다.
참가시나무
각두는 포린이 합생한 것으로 여러 개의 동심원층이 있으며 단모가 밀생한다.
참가시나무 열매 끝에 돌출된 층이 있다.
참가시나무 끝에 털이 밀생
참가시나무
모양이 약간 다른 열매도 보인다.
참가시나무
배꼽은 편평하다.
참가시나무
이런 거친 수피도 있다.
'기타 과 식물 > 참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9 가시나무 종류 구별법 (0) | 2016.12.03 |
---|---|
208 개가시나무 - 어울리지 않는 이름 (0) | 2016.12.03 |
206 붉가시나무(북가시나무), 개붉가시나무 (2) | 2016.12.01 |
205 종가시나무, 민종가시나무 (1) | 2016.11.30 |
204 가시나무 정의 그리고 좁은 의미의 가시나무 = 소엽청강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