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Morden Centennial
파크랜드 시리즈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야생장미에서 전통장미로 전통장미가 다시 중국 등 동양에서 온 사계장미들을 만나 교잡으로 만들어진 것이 현대장미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서양 전통장미가 가진 강한 향기를 많이 잃어버렸는데 이를 되살려낸 것이 영국장미라는 것까지 앞에서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 영국장미는 내한성이 다소 약하여 캐나다등 북부지방에서는 노지에서 재배할 수가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럴 줄 미리 알기라도 한 듯 영국장미를 개발한 데이비드 오스틴과 비슷한 시기인 1940년 대에 캐나다정부 농무성 주도로 매니토바주의 모르덴과 동부의 오타와에 있는 연구센터에서 캐나다와 같은 혹한 기후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장미 품종을 연구 개발하게 된다.
초창기 정부주도 기구는 나중에 폐지되어 민간으로 넘어갔지만 그 때부터 개발된 영하 35도까지도 견디는 내한성이 매우 강한 품종들을 우리는 Canadian Hardy roses 또는 그냥 Hardy roses라고 부른다. 이 캐나디안 하디 장미는 두 개의 시리즈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주로 캐나다 원산 야생 장미인 Rosa arkansana를 기반으로 모르덴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파크랜드(Parkland)시리즈이고 또 하나는 1961년 이후 오타와 연구센터에서 해당화(Rosa rugosa) 또는 해당화와 돌가시나무의 교잡에서 태어난 Rosa Kordesii를 기반으로 개발한 익스플로러(Explorer)시리즈이다. 개발 품종의 명칭을 추운 겨울 역경을 이겨내고 살아남은 초창기 캐나다 탐험가들의 이름으로 주로 지었기에 익스플로러(탐험가)시리즈라고 불린다.
캐나다 원산 야생 장미인 Rosa arkansana
캐나다에서 야생하는 종이므로 당연히 내한성이 높다.
해당화와 돌가시나무의 교잡에서 태어난 Rosa Kordesii
영하 40도까지 거뜬하게 견디는 해당화와 교잡종이므로 내한성이 강하다.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신품종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J. P. Connell
익스플로러 시리즈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신품종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캐나디안 하디 장미(Canadian Hardy roses)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Landscape roses or Ground Cover roses)
20세기에 들어 대규모 주거단지나 상업시설 또는 공공시설이 등장하면서 이런 대규모 시설에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조경을 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장미도 당연히 그 조경수 리스트에서 빠질 수 없는 수종이 되어 더 이상 애호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게 된 것이다. 그 결과 하이브리드 티장미나 플로리분다장미 같은 정통적인 현대장미들의 인기는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손이 많이 가고 병충해에 약하여 여러 번 약재를 살포해야만 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병충해에 강하면서 잘 자라지 않아 손이 덜가는 즉 관리하기 쉬운 품종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대두된 것이다. 그래서 소위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로 불리는 품종의 개발에 독일의 Werner Noak, 프랑스의 Meidiland Roses, 네덜란드의 Boot & Co. 및 미국의 Willam Raldler 등 세계적인 육종 업체들이 너도나도 뛰어들었던 것이다. 이들 조경장미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느리게 성장함, 주로 60cm 이하
* 연속적인 개화
* 병충해에 강함
* 접목이 아닌 실생주
* 전정 필요성이 적음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Landscape roses or Ground Cover roses)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Landscape roses or Ground Cover roses)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Landscape roses or Ground Cover roses)
조경장미 또는 지피장미(Landscape roses or Ground Cover roses)
파티오(Patio)장미
1970년 대 이후 많은 장미 육종가들은 소규모 정원이나 테라스 또는 화분에 심기에 적합한 높이 1m이하의 컴팩트 장미의 개발에 열을 올린다. 그 특성에 따라 큰 미니장미로 또는 작은 플로리분다장미로 불리다가 결국 파티오장미라는 독립된 그룹으로 분류되는데 북미에서는 이 그룹을 Minifloras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드닝 관련 책자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영국의 David Gerald Hessayon은 파티오장미라는 용어가 1996년부터 등장하였다고 한다. 일부 장미 카타로그에는 오랜 세월 꾸준하게 인기를 지속하고 있는 초창기 현대장미인 폴리안사장미도 파티오장미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영국이나 네덜란드에서는 제한된 공간에 적합한 머리부터 발끝까지 나무 전체에 꽃이 피는 자그마한 파티오 덩굴장미도 개발하였다.
파티오는 일반적으로 주거건물에 인접하여 식사나 놀이하기에 적합한 실외 공간을 말하며 주로 돌 등이 깔려 있는 곳을 말한다. 그러고 보니 비슷한 용어가 참으로 많다. 포치(porch), 테라스, 베란다, 발코니, 데크 등.. 그리고 나라마다 뜻하는 의미도 약간씩 다른 것 같다. 특히 우리나라 건축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의미가 영어권에서 뜻하는 의미와는 많이 다른 것 같다. 여하튼 파티오는 아래와 같은 공간을 말한다.
아름다운 파티오
아름다운 파티오
아름다운 파티오
파티오(Patio)장미
파티오(Patio)장미
파티오(Patio)장미
파티오(Patio)장미
파티오(Patio)장미
'장미과 장미아과 > 장미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0 국산장미 품종들 - 햇살, 필립, 아이스윙, 핑크뷰티, 피치벨리, 핑크하트, 연지곤지 등 (0) | 2017.08.06 |
---|---|
359 장미 품종개량에 많이 사용된 원종들 - 찔레꽃, 돌가시나무, 해당화, 월계화, 프랑스장미, 백장미, 사향장미, 백엽장미, 다마스케나장미 등 (0) | 2017.08.05 |
357 영국장미 = 데이비드 오스틴 장미 (0) | 2017.08.02 |
356 덩굴성장미와 관목장미 - 현대장미의 분류 (0) | 2017.07.31 |
355 대화장미(大花蔷薇 : Grandiflora)와 미니장미(Miniature) - 서양 현대장미들 (0) | 2017.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