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버드나무과

371 중국황철 - 중국명 : 청양(青杨)

낙은재 2017. 8. 25. 20:54

중국황철


우리나라에 등록된 사시나무속 청양(황철나무)절에는 중국황철이라는 외래종이 하나 있다. 이름 그대로 중국이 원산지인데 이를 중국에서는 청양(青杨)이라고 부르며 중국 북방지역에서는 흔하게 보이는 수종이라고 한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이 중국황철이 청양절의 대표수종이랄 수 있다. 이 나무의 학명 Populus cathayana의 종소명 cathayana는 'Cathay에서 온'이라는 뜻인데 Cathay는 China의 고어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이름도 중국황철이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일반 영어명도 Chinese poplar일 거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리나라 평안북도 운산에서 물황철나무를 발견하여 종기재한 그 하버드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뒤늦은 1931년에 처음으로 서양에 소개되어 그런지 이 나무는 해외에는 그다지 많이 보급되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영어 이름이 특별히 없다. 그리고 영어명 Chinese poplar는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당버들 즉 중국명 소엽양(小叶杨)을 지칭하므로 둘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일본에서는 이 중국황철을 긴잎황철(사시나무)이라는 뜻으로 나가바도로라고 불러 우리나라 이명 좁은잎사시나무와 일맥상통한다.


등록명 : 중국황철

이  명 : 좁은잎사시나무

학  명 : Populus cathayana Rehder 

분  류 :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중국 북부와 서부지역

중국명 : 청양(青杨)

일본명 : ナガバドロ(長葉泥)

수  고 : 30m

수  관 : 활란형

수  피 : 초광활, 회록색, 노시암회색, 구렬

가  지 : 원주형, 각릉, 유시감람록색, 후변등황색, 황색, 무모

맹  아 : 원추형, 무모, 자갈색혹황갈색, 다점질

단지엽 : 

란형, 타원상란형, 타원형혹협란형, 5~10 x 3.5~7cm, 중간이하 최대너비, 선단점첨혹돌점첨, 기부원형, 희근심형혹활설형, 변연구선원거치, 상면량록색, 하면심록색, 맥양면융기. 특히 하면이 뚜렷, 측맥 5~7조, 무모, 엽병원주형, 2~7cm, 무모

장지엽(맹지엽) :

교대, 난상장원형, 10~20길이, 기부상미심형,   엽병원주형, 1~3cm, 무모

웅화서 : 5~6cm, 수술 30~35, 포편조렬

자화서 : 4~5cm, 주두2~4렬

열  매 : 과서장 10~15(20)cm, 삭과란원형, 6~9mm, 3~4판렬, 희2판렬

개화기 : 3~5월

결실기 : 5~7월

자생지 : 해발 800 ~ 3,000m 계곡, 하안과 음파산록

특  성 : 양지와 습윤혹건조한랭기후

용  도 : 목재 무늬곧음, 결구세, 질경유, 가공용이, 가구, 상자, 건축재, 사방록화용 수종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수피의 녹색이 뚜렷하다. 청양이라고 불릴만하다.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수피가 매끈한 것이 마치 벽오동 같다.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상하면 잎맥이 모두 돌출한다.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열매가 4개로 갈라진 모습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중국황철(중국명 : 青杨)

청양절 수종들이 대부분 비슷하지만 단지엽과 장지엽이 다르고 암수가 잎모양이 다르다.

위는 수그루 잎이고 아래는 암그루 잎인데 최근 외부 스트레스나 영양결핍시 암수의 잎이 달리 대응하는 것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