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덕나무
예덕나무
오동나무와 벽오동 그리고 개오동과 유동 외에도 오동으로 불리는 나무들은 많다. 그 중 하나가 중국에서 야오동으로 불리면 우리나라 학의학계에서도 생약명을 야오동이라고 하는 예덕나무를 알아보자. 내한성이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보기 어렵지만 충청도에만 가봐도 해안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나무이다. 그 이름이 예덕이라서 마치 한자 예덕(禮德)을 임의로 연상하게 되어 많은 사람들이 예(禮)와 덕(德)을 갖춘 나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건 잘못된 설명이다. 예덕나무의 이명을 살펴보면 시닥나무 비닥나무 예닥나무 등 거의 모두 덕이 아닌 닥나무로 되어 있어 한자어 덕(德)과는 무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덕나무는 전라남도 지방의 방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왜 예덕이 되었는지 그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경남지방의 방언도 예덕과 비슷한 예닥나무이었다는 점을 봐서는 중국의 이름 야오동(野梧桐)의 별명 야동(野桐)의 중국 발음이 예통(yetong)인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즉 예통이 예덕과 예닥 등으로 와전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나무가 중국에서 도입된 종이 아니고 우리 자생종이라서 과연 중국 이름을 따라서 불렀을까 하는 의문이 안가는 것은 아니지만 하여튼 한의학에서는 이 나무의 수피와 뿌리 및 잎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약재명을 지금도 야오동(野梧桐)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자생종이라고 하더라도 중국 이름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는 말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예덕나무는 당초 1782년 대극과 크로톤속으로 아들 린네에 의하여 Croton japonicus로 발표되었다가 나중에 Müller Argoviensis에 의하여 1865년 대극과 예덕나무속(Mallotus)으로 분류되는데 예덕나무속명 Mallotus는 털이 있다는 뜻으로 이 나무의 잎과 새순 그리고 열매에 털이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14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자생종으로 예덕나무 단 한 종만 분포하고 외래종으로 예덕나무의 무늬 변종인 무늬예덕나무가 하나 더 등록되어 있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두 종을 제외하면 모두가 아시아가 원산지인데 중국은 약 40종이 자생을 하며 일본은 예덕나무 외에 두 서너 종이 남쪽 도서지방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이름은 줄기나 잎이 오동나무를 많이 닮아 야오동(野梧桐)이라고 하며 이 이름이 그대로 우리나라 한약재의 생약명이 되었다. 일본 이름은 아까메가시와(アカメガシワ : 赤芽槲, 赤芽柏)인데 이는 새순이 붉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즉 새순이 붉은 가시와(柏·檞)인데 가시와는 떡갈나무를 말한다. 이 나무의 잎으로도 떡갈나무와 마찬가지로 당고나 스시 등 음식을 싸서 먹었던 일본 풍습에 기인한다. 여기서 영어 이름 Food wrapper plant 즉 '음식 포장하는 나무'도 유래한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묘사한 사람이 일본에서 표본을 채취하였기 때문에 일본 이름으로 학명이 붙었으며 일반 영어 이름도 일본 풍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 중국 입장에서는 기분이 좋지는 않지만 지금 와서 뭘 어쩌겠는가?
예덕나무
새순이 붉게 나와 점차 녹색으로 변한다.
새순의 붉은 색은 붉은 털 때문인데 나중에 붉은 털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더 이상 계속적으로 숫자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녹색인 잎의 면적이 넓게 성장하면서 붉은 색이 점차 엷어져 황갈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예덕나무
드물게 얕게 갈라진 잎이 있는데 특히 어린 잎에서 많이 보인다.
이 나무의 높이에 대하여 국생정을 비롯 우리 도감들을 보면 천편일률적으로 모두 10m라고 되어 있다. 아마 일본 도감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내가 본 우리나라 예덕나무는 절대 10m까지 자랄 것 같지는 않은 나무였다. 그런데 왜 10m라고 모두들 설명하고 있을까? 오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만 수고가 2~6m라고 묘사하고 있어 우리나라 실상에 부합하는 것 같다. 그런데 이 나무의 수고는 환경에 따라서 변이가 매우 심한 것 같다. 원산지 중 하나인 중국에서는 2~4m인 관목 또는 소교목이라고 하고 있으나 또 다른 원산지인 일본에서는 5~10m이며 15m의 교목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서양의 도감에서는 대체적으로 중국의 묘사와 일치를 한다. 원래 예덕나무속 나무들이 관목에서 소교목 그리고 교목까지 수고가 다양하기는 하다. 예를들면 일본에서도 자생하는 중국명 백추(白楸 : Mallotus paniculatus)의 경우 수고가 15m에 달하는 교목이다.
예덕나무
일본에서 30년생을 벌목한 모습이다. 일본 도감의 설명과 같이 결코 소교목 수준은 아닌 매우 큰 나무로 보인다.
예덕나무
결코 관목 같지는 않다.
예덕나무
우리나라에 있는 나무로서 예덕나무 팻말을 달고 있었다고 어느 분이 올리신 나무인데 그렇다면 결코 작은 나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잎 뒷면이 흰 백추(白楸 : Mallotus paniculatus) 등 원래 수고가 높은 다른 종이 아닌지는 모르겠다.
이 나무 약용에 대하여는 중국약식도감(中国药植图鉴)에서 조정소화공능(调整消化功能), 치위궤양(治胃溃疡), 십이지장궤양(十二指肠溃疡)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중국에서보다는 일본에서 약용으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일본에서는 수피 달인 물로 초기의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그리고 위산과다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마른 잎을 목욕물에 넣으면 땀띠에 효과가 있고 열매의 부드러운 침으로 구충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차로 만들어 건강용 다이어트식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예덕나무차
일본에서 다이어트용 건강식품으로 팔린다.
예덕나무
우리나라 옥션에서 판매하고 있는 예덕나무이다. 위장에 좋다고 한다. 심지어는 웬만한 위암도 고친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등록명 : 예덕나무
이 명 : 꽤잎나무, 비닥나무, 시닥나무, 예닥나무
학 명 : Mallotus japonicus (L.f.) Müll.Arg.
이 명 : Croton japonicus
분 류 : 대극과 예덕나무속 낙엽 소교목 또는 관목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등
중국명 : 야오동(野梧桐)
일본명 : 아까메가시와(アカメガシワ : 赤芽槲, 赤芽柏)
영어명 : food wrapper plant
수 고 : 2~6m
수 피 : 갈색, 눈지 종릉, 지와 엽병 및 화서축에 밀피갈색성상모
잎특징 : 호생, 희소지상부 근대생, 지질, 형상다변, 난형, 난원형, 난상삼각형, 신형혹횡장원형
잎크기 : 5~17 x 3~11cm
잎모양 : 희천3렬, 정단급첨, 철첨(凸尖)혹급점첨, 기부원형, 설형, 희심형
잎거치 : 변전연, 불분열혹상부매측구1렬편혹조치(粗齿)
잎면모 : 상하면 성상모, 하면소산등홍색선점
잎면맥 : 기출맥3조, 측맥5~7대, 근엽병구흑색원형선체2과
잎자루 : 5~17mm
꽃차례 : 자웅이주, 화서총상혹하부상구3~5분지, 8~20cm
포 편 : 찬형(钻形), 3~4mm
웅화서 : 웅화재매포편내3~5타, 화뢰구형, 정단급첨, 화경3~5mm, 화악열편3~4, 난형, 장3mm, 외면밀피성상모와 선점, 웅예25~75, 약격초관
자화서 : 8~15cm, 개전, 포편피침형, 장4mm, 자화재매포현내1타, 화경1mm, 밀피성상모, 화악렬편4~5, 피침형, 장2.5~3mm, 정단금첨, 외면밀피성상융모
자 방 : 근구형, 3릉상, 화주3~4, 중부이하합생, 주두장약4mm, 구우(疣)상돌기와 밀피성상모
열 매 : 삭과근편구형, 둔3릉형, 직경8~10mm, 밀피유성상모의 연자및 홍색 선점
종 자 : 근구형, 직경약5mm, 갈색혹암갈색, 구추문
개화기 : 4~6월
과 기 : 7~8월
내한성 : 영하 12도
용 도 : 어린잎 식용, 공업용유지원료, 목재질 경연, 소기구용재,
약 용 : 수피와 뿌리 및 잎 - 청열해독(清热解毒), 수렴지혈(收敛止血)
중국에서는 변종으로 잎 뒷면 황갈색성상융모가 밀생하는 융모야동(绒毛野桐)을 분리하고 기록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융모야동(绒毛野桐)을 지혈에 효과가 좋다고 지혈목(止血木)이라고도 부른다.
예덕나무
변산반도에서 야생하는 모습
토지개발이나 화재 등으로 개활지가 생겨나면 가장 먼저 와서 자라는 나무 중 하나가 예덕나무이다.
예덕나무
예덕나무
개미가 매우 좋아하는 나무이다.
예덕나무
예덕나무
암그루
예덕나무
수그루
예덕나무
예덕나무
예덕나무 수꽃
예덕나무
예덕나무 암꽃
예덕나무 암꽃
예덕나무 암꽃
예덕나무 열매
예덕나무 열매
예덕나무 열매
예덕나무 열매
예덕나무 열매
예덕나무 수피
특히 수피가 위장에 좋다고 한다.
예덕나무 수피
예덕나무 수피
예덕나무 동아
예덕나무 동아
예덕나무 선점
예덕나무 선점
예덕나무
단풍은 아름답지 않다.
예덕나무
중국 야오동(野梧桐)은 잎 전면에 털이 없다고 한다. 앞뒷면 모두 성상모가 있다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예덕나무와는 약간 다르다.
예덕나무
잎 뒷면 성상모
===============================
등록명 : 무늬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Variegatus'
'기타 과 식물 > 대극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9 중국 목유동(木油桐) =광동유동(広東油桐), Vernicia montana, 아열대원산 또 하나의 유동 (0) | 2017.10.05 |
---|---|
388 일본유동 - Vernicia cordata (0) | 2017.10.03 |
387 유동(油桐) - 열매에서 공업용 기름을 얻는 나무 (0) | 2017.10.03 |
199 조도만두나무 - 우리나라 고유의 세계적인 희귀보호종 (0) | 2016.11.21 |
137 사람주나무 (0) | 2016.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