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기타교잡목련 14

1185 비스너목련 - 함박꽃나무와 일본목련의 교잡종

학명 Magnolia x wiesneri Carr에 국명을 비스너목련이라고 등록된 목련 교잡종이 있는데 이는 바로 앞 게시글에서 본 고텐부르크목련과 마찬가지로 후박속의 일본목련 즉 Magnolia obovata와 함박꽃나무속의 우리 자생종 함박꽃나무 즉 Magnolia sieboldii와의 속간 교잡종이다. 앞 고텐부르크목련은 우리 자생종 함박꽃나무가 아닌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인 윌슨함박꽃나무 즉 Magnolia wilsonii라는 점만 다르다. 실제로 중국에서 서강천녀화(西康天女花) 또는 서강옥란(西康玉兰)이라고 부르는 윌슨함박꽃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에서 자생하는 함박꽃나무와 큰 차이가 없어서 일반인들은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니 그 교잡종인들 크게 차이 날 이..

1184 고텐부르크목련 - 일본목련과 윌슨함박꽃나무의 교잡종

고텐부르크목련이라고 학명 Magnolia x gotoburgensis Nitz.로 등록된 교잡 목련이 있는데 이는 전체 면적이 약 53만평에 달하여 유럽에서 가장 큰 식물원 중 하나인 스웨덴 예테보리에 있는 Botanical Garden of Gothenburg 즉 예테보리식물원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던 스웨덴 수목학자 Tor Gustaf Nitzelius(1914 ~1999)박사가 일본목련 즉 Magnolia obovata와 중국 원산의 윌슨함박꽃나무 즉 Magnolia wilsonii를 교잡시켜 탄생시킨 교잡종이다. 이를 Tor Nitzelius 자신이 1992년에 Magnolia x gotoburgensis Nitz.라는 학명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전이던 그 이후이던 일본목련과 윌슨함박꽃나무의..

1176 비치목련 '루브라' = 목련 '비치 루브라'

우리나라 국표식에 비치목련 '루브라'라는 국명에 학명 Magnolia x veitchii 'Rubra'로 등록된 비치목련 원예 품종 같은 형식을 갖춘 품종이 있다. 이 품종은 분명 실체는 존재하여 다른 원예 품종들의 개발을 위한 부모종으로 활용되고 있는데도 이상하게 학명 표기가 불분명하다. 영국 왕립원예학회인 RHS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Magnolia x veitchii 'Rubra'라고 표기는 하지만 거기서도 확인 안된 품종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단 세계목련학회에서는 별목련 '루브라' 즉 Magnolia stellata 'Rubra'는 인정하여도 비치목련 '루브라'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 비치목련 '루브라'는 1960년 이전에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있는 W.B. Clarke Nursery에 ..

1175 비치목련 - 비치목련 '피터 비치'와 비치목련 '이스카'

비치목련은 학명 Magnolia denudata인 중국 원산의 백목련과 학명 Magnolia campbelli인 중국과 인도 등 히말라야 인근 지역이 원산지인 캠밸목련의 교잡종으로서 학명을 Magnolia x veitchii로 표기한다. 종소명이 veitchii이므로 국명을 비치목련이라고 하는 것이다. 영어 veitch는 원래 cow 즉 암소라는 뜻에서 유래된 스코틀랜드 지역의 성씨인데 본토에서는 바이치에 가깝게 발음되지만 국내서는 일반적으로 베이치나 베치 또는 비치 등으로도 표기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표식에 veitch가 들어간 학명으로 등록된 식물이 무려 28종이나 되는데 대개 비치나 베이트키라는 국명을 붙였다. 학명에 veitchii나 veitchianum 또는 veitchiana 등으로 표기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