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기타목련속 18

1049 애시넓은잎목련 - 미국 원산 넓은잎목련의 왜성 변종

애시넓은잎목련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목련이 있다. 작다는 뜻의 '애기'의 오자가 아니고 '애시'가 맞는데 이는 원래 미국 원산으로 세상에서 가장 잎이 큰 목련인 넓은잎목련 즉 Magnolia macrophylla의 아종으로 학명 Magnolia macrophylla subsp. ashei (Weath.) Spongberg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애시는 바로 아종명 ashei를 말한다. 미국 플로리다에서 자생하는 것을 Ashei라는 사람이 1925년에 최초로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이 표본을 대상으로 1926년 미국 식물학자 Charles Alfred Weatherby (1875~1949)가 독립된 종으로 학명 Magnolia ashei Weath.로 명명한다. 그러다가 미국의 수목 저술가 Stephen A..

1048 넓은잎목련 - 잎이 가장 큰 미국 원산 목련

미국과 멕시코가 원산인 목련 중에서 키가 20m나 되는 낙엽 교목이 있는데 그 잎의 길이가 최대 90cm에 달하고 너비가 30cm에 달하여 목련 수종들 중에서는 가장 크며 북아메리카 원산 모든 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다고 한다. 프랑스 식물학자 앙드레 미쇼 즉 André Michaux(1746~1802)가 이를 1789년에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산악지방에서 또는 1795년에 테네시주에서 최초로 발견하여 1800년에 유럽으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큰 잎을 가진 목련이라는 뜻으로 1803년에 학명 Magnolia macrophylla Michx.로 명명한다. 여기서 종소명인 라틴어 macrophylla는 big 또는 large라는 뜻인 macro와 leaf라는 뜻인 phylla라 합성된 단어이다. 갑자기 라틴어의 ..

1017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 - 황목련 변종의 원예종

심장황목련은 미국 원산의 키가 30m까지 자라는 대교목인 황목련 즉 Magnolia acuminata 중에서 특이하게 키가 30% 정도인 6~9m에 지나지 않으며 꽃 색상이 보다 더 노란 변종을 말한다. 그 잎모양이 하트(심장)형이라서 그렇게 변종명을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라고 붙였기에 우리나라에서도 심장형 잎을 가진 황목련이라는 뜻에서 심장황목련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하지만 모든 잎이 심장형인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 변종의 원예종으로 등록된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Miss Honeybee'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우리나라서는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라고 부르고 있다. 이는 1972년 오하이오주 페인스빌에 있는 James ..

1016 심장황목련 - 하트형 잎을 가진 황목련의 왜성 변종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에서 1790년에 처음 발견된 심장황목련은 황목련보다 키가 작고 꽃의 노란 색상이 더 진한 변종으로서 학명을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Spach) Dandy로 표기한다. 이는 원래 1839년 프랑스 식물학자 Édouard Spach (1801~1879)가 목련과 Tulipastrum americanum var. subcordatum Spach로 명명하였던 것인데 1964년 영국 식물학자 James Edgar Dandy (1903~1976)가 현재의 목련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현재 일부에서는 이를 원종인 황목련에 통합시켜서 분류하기도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학자들은 변종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이 변종 또한 잎이 나오면서 꽃이 피기 때..

1015 황목련 - 노란 꽃 목련 원예종들의 원조

일본목련 즉 일본후박이 처음부터 크림색으로 피거나 처음 백색으로 피었더라도개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노란 색조를 띤다고 북한에서는 이를 황목련(黃木蓮)이라고 부른다. 일본후박이 딱히 노란색은 아니지만 그래도 목련이나 백목련 등에 비하면 노란 색조가 강한 것은 분명하기에 북에서 그렇게 부르는 것 같다. 그런데 2011년에 국내 수목원 등에 식재되어 있는 외래 수종들을 대거 등록할 때 황목련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수종이 둘이나 있다. 하나는 심장황목련이라고 등록된 변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심장황목련 '미스 허니비'라고 등록된 원예종인 Magnolia acuminata var. subcordata 'Miss Honeybee'이다. 그래서 나중에 원종..

1002 목련과 백목련, 자목련 및 목란과 옥란 그리고 신이화 목필화 북향화의 유래

세계적인 통합 추세에 맞서 중국은 목련과를 22개 속으로 세분 원종 기준으로 약 200여 종으로 구성된 목련과의 범주에 관하여는 세계 식물학자들의 의견이 일치되는 것 같으나 목련과 내에서 속의 분류에 관하여는 매우 다양한 분류법이 난무한다. 과거 최대 17여 개의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일부를 통합하여 한때 6개 속으로 축소 분류하기도 하였지만 최근에는 유전자검사에 의하여 백합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속들은 거의 모두 목련속으로 통합시키는 것이 대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목련속(Magnolia)과 Michelia(초령목)속 그리고 망글리에티아속(Manglietia)과 백합나무속(Liriodendron) 등 4개 속으로만 분류하며 서구 대부분과 일본에서는 Michelia(초령목)속마저도 목련속(Magn..

1001 목련과 식물의 특징과 하위 목련속 등의 이합집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주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그리고 서인도제도 및 일부 남아메리카가 부원산지인 목련과(木蓮科)는 미주대륙과 아시아라는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자생하는 이른바 격리분포(disjunct distribution) 식물이다. 격리분포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목련의 경우는 현재 대륙이 형성되기도 전부터 지구상에서 자생하고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학자들은 목련은 신생대 전반기인 제삼기(6,500만 년 전~200만 년 전)부터 지구상에서 생존해온 초창기의 현화식물(顯花植物) 중 하나로 파악하고 있다. 일부 화석 자료에 의하면 목련의 역사는 9,500만년 전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그 당시는 지구상에 아직 벌이 없었기에 딱정벌레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졌으므로 목련의 심피(..

1000 식물의 분류와 지상 최초의 현화식물인 목련

생물의 분류 우주는 생물과 무생물로 구성되어 있다는데 요즘에 그 중간에 속하는 애매한 것들도 있다고 한다. 거기까지는 우리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영역이 아닌 것 같고 생물 즉 Life form 또는 organism은 동물과 식물로만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알고 보니 Animalia(동물)과 Plantae(식물) 외에도 Archaea(고세균류) Bacteria(박테리아) Chromista (유색조식물) Fungi(곰팡이류) Protozoa(원생동물) Viruses(바이러스)등 6개의 분류군으로 더 세분한다. 이들 8대 분류군들로 구성된 생물계의 최상위 등급을 영어로는 kingdom이라고 하는데 이는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도입할 당시인 1753년에 이미 사용한 용어이다. 이 킹덤을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