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인가목 생열귀나무 해당화 흰인가목 둥근인가목 등 토종 직립 장미 5종 구분 포인트 바다를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장미 해당화 이번에는 그동안 탐구한 우리나라 토종 야생 장미들의 비교 구분 포인트를 알아보자.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우리는 서양에서 들어온 개량종 장미만을 주로 장미라고 부르며 우리 토종 장미들은 아예 장미라고 인식조차 하지않고 있었지만 서양..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4
329 둥근인가목 - 우리 토종 장미 둥근인가목 꽃색상이나 잎의 크기면에서는 흰인가목과 비슷하나 가시나 열매의 모양이 많이 다르다. 둥근인가목 열매가 거의 구형이다. 잎의 크기가 인가목이나 생열귀나무에 비하면 매우 작다. 이제 직립 토종 야생 장미의 마지막으로 둥근인가목을 알아보자. 열매가 둥근데다가 꽃의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3
328 흰인가목 - 우리나라 야생 장미 흰인가목 가장자리에 분홍색 빛을 띠고 있기도 한다. 흰인가목 흰인가목 묵은 가지에는 가시가 많다. 흰인가목 열매가 길쭉하고 잎이 작으며 소엽수가 많은 것이 특징 또 하나의 우리나라 토종 장미인 흰인가목에 대하여 알아보자. 그 이름만 들어 봤을 때는 인가목인데 흰꽃이 피는 것..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3
327 생열귀나무 - 우리나라 토종 장미 생열귀나무 주로 강원이북에서 자생하는데 2015년 한라산 정상부근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생열귀나무 입자모양의 샘점이 잎 뒷면과 잎자루, 열매자루, 꽃받침 등 곳곳에 있다. 그 이름이 생소한 또 하나의 토종 야생 장미를 알아보자.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장미는 모두 8..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5.01
325 해당화(海棠花) - 우리 토종 장미 해당화 해당화 우리나라 국생정에는 진한 분홍색 꽃이 핀다고 되어 있으나 흰색도 해외서는 해당화로 본다. 이제 우리 토종 장미 중 하나인 해당화를 알아보자. 거듭 해당화를 토종 장미라고 반복 강조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서 아무도 이 해당화를 장미라고 불러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22
324 해당화(海棠花)의 어원, 중국 해당(海棠)과 우리 아가위, 아가위나무 수사해당(垂絲海棠) = 할리아나꽃사과 중국 해당4품 중에 하나 해당화(海棠花)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토종 장미이다. 중국 해당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사과나무속 꽃사과나무들에 붙이는 이름인 해당화로 부르는 우리 토종 장미나무가 있다. 한자로 海棠花(해당..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21
323 장미의 정의, 우리 자생종 장미의 종류 및 분류 해당화 우리가 이 토종 장미를 해당화라고 하는 것은 주로 해변가에서 많이 자라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Beach Rose라고 하며 일본에서도 하마나스(浜梨)라고 같은 맥락으로 부른다. 이제 전세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친숙하게 알고 있을 법한 장미를 탐구하러 간다. 너무나도 .. 장미과 장미아과/장미속 2017.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