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무인편만병초 99

1530 만병초 '배시풀' – 영국에서 육종된 품종

만병초 '배시풀'의 학명은 Rhododendron 'Bashful'로 표기된다. 여기서 품종명 bashful은 수줍음을 많이 탄다는 뜻인데 부모종인 ‘Doncaster’가 강렬한 주홍색 꽃이 피는데 반하여 꽃 색상이 매우 연한 핑크색이기에 그렇게 붙인 이름이 아닌가 한다. 이 품종은 이른바 Knap Hill 교잡종으로 불리는 낙엽성 철쭉 원예품종들을 많이 개발한 영국의 Knap Hill의 Waterer 가문의 또 다른 농장인 Bagshot 너셔리에서 1970년에 야쿠시마만병초와 ‘Doncaster’라는 품종을 교잡시켜 개발한 것이라고 한다. 부모종인 ‘Doncaster’ 또한 1896년 이전에 Knap Hill의 Waterer가문에서 육종한 품종이다. ‘돈캐스터’는 히말라야 인근 중국 인도 등이 원산지인..

1529 만병초 '바름슈테트' – 독일서 육종된 내한성 품종

학명 Rhododendron 'Barmstedt'로 표기하는 만병초 '바름슈테트'는 독일 바름슈테트(Barmstedt)에서 수목 농장을 하던 독일의 대표적인 진달래 육종가인 Hans Hachmann(1930~2004)이 1968년에 육종한 품종이다. 따라서 품종명 바름슈테트는 그 지역명에서 온 것이다. 하크만 그 자신이 1959년에 육종한 'Sammetglut'라는 품종과 일본에서 온 야쿠시마만병초 ‘고이치로 와다’를 교잡시켜 개발한 것이라고 한다. 키는 2m까지 자라고 지름 50mm의 짙은 적자색 꽃이 18~22송이씩 모여서 피며 잎의 크기는 길이 10~13cm에 너비 3.5~5cm이라고 한다. 등록명 : 만병초 '바름슈테트' 학 명 : Rhododendron 'Barmstedt' 분 류 : 진달래과 ..

1528 만병초 '바베트' – 독일에서 육종된 내한성 품종

학명 Rhododendron 'Babette'로 등록된 만병초 '바베트'는 독일 Westerstede에 있는 독일에서 가장 큰 진달래 정원 중 하나인 the Rhododendronpark D. G. Hobbie를 설립한 Dietrich Gerhard Hobbie (1899~1985)가 1952년에 육종한 품종으로서 한참 후인 1987년에 와서야 독일의 Hans Hachmann(1930~2004)에 의하여 여성의 이름으로 추정되는 품종명 'Babette'가 붙어서 세상에 알려진 품종이다. 육종가인 호비는 집안 소유 소나무 숲에 일본에서 도입된 야쿠시마만병초와 홍황철쭉을 심다가 만병초에 심취하여 육종까지 하면서 독일 최고 수준의 만병초 정원을 조성한 사람이고 이를 소개한 하크만은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진달래..

1527 만병초 '안톤 판 벨리' – 네덜란드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안톤 판 벨리'의 학명은 Rhododendron 'Antoon Van Welie'인데 여기서 품종명 '안톤 판 벨리'는 네덜란드 사람의 이름으로 보인다. 이 품종이 1947년 이전에 네덜란드 보스쿱에 있던 L. J. Endtz라는 원예사가 육종한 품종이기 때문이다. 아마 그 당시 네덜란드에서 초상화로 유명한 화가 Antoon Van Welie(1866~1956)의 이름에서 온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여하튼 이 품종은 1892년 이전에 영국 Knap Hill의 아버지 Waterer이 개발한 만병초 ‘핑크 펄’에서 파생된 변이 품종이라고 한다. 영국 냅힐(Knap Hill)의 워터러는 아들과 함께 네덜란드를 거쳐서 영국으로 건너온 벨기에 겐트(Ghent)지방에서 유래된 낙엽성 철쭉의 교잡종을 확..

1526 만병초 '안나 로즈 휘트니' – 미국 휘트니가 개발한 품종

학명 Rhododendron 'Anna Rose Whitney'로 등록된 만병초 '안나 로즈 휘트니'는 미국 동북부 와싱턴주에 살던 유명한 만병초 육종가인 William E. Whitney(1894~1973)가 중국 원산의 주홍대두견(朱红大杜鹃) 즉 Rhododendron griersonianum에다가 영국에서 온 ‘Countess of Derby’라는 원예 품종을 교잡시켜 육종하여 1954년에 소개한 무인편 만병초의 원예품종이다. 아마추어 애호가에서 시작하였다가 1950~60년대 세계 최고 수준의 만병초 육종가로 발돋움한 휘트니는 수많은 품종을 남겼는데 그가 조성한 미국 와싱턴주 브리논의 후드 운하 주변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만병초 정원 겸 농장인 Whitney garden and nurser..

1525 만병초 '안나 에이치 홀' – 데이비드 리치가 개발한 내한성 품종

Rhododendron 'Anna H. Hall'이라는 학명에 국명을 만병초 '안나 에이치 홀'로 하여 등록된 이 품종은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미국 최대 수목원 중 하나인 홀덴수목원 부설 연구기관인 David G. Leach Research Station의 대표이자 미국 원예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세계적인 만병초 육종가 David G. Leach(1913~1998)박사가 1952년 카토바만병초 백화 변종과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를 교잡시켜 개발한 지름 55mm의 연한 핑크색을 띠는 백색 꽃이 14~15송이씩 모여서 피는 무인편 상록 만병초 품종이다. 어릴 때는 털로 덮여 있는 잎의 길이는 12cm이고 10년생 나무의 키는 60cm에 불과한 왜성종이라서 작은 정원에도 매우 적합한 사이즈로 보인다. ..

1524 만병초 '알로하' – 미국서 육종된 내한성 강한 품종

학명 Rhododendron 'Aloha'로 표기하는 만병초 '알로하'의 품종명 Aloha는 하와이에서 만나거나 헤어질 때 건내는 친근한 인사말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하와이 언어에서 알로하는 사랑과 애정 연민 자비 동정심 측은지심 친절 품위 등 온갖 좋은 의미를 두루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 이 품종은 의사출신으로 진달래에 푹 빠져 미국 진달래협회의 회장까지 역임한 바도 있는 Carl Harold Phetteplace (1894~1982)박사가 1973년 불칸(Vulcan)이라는 영국 Knap Hill의 Waterer가 육종한 품종에다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를 교잡시켜 탄생시킨 교잡종이다. 그 종자를 일리노이대학의 경제학교수이던 또 다른 진달래 애호가인 Donald W. Paden(1913~2003)..

1523 만병초 '알붐 엘레간스' – 영국서 육종된 내한성 강한 품종

학명 Rhododendron 'Album Elegans'에 국명 만병초 '알붐 엘레간스'로 등록된 이 품종은 1847년 이전에 영국 윌트셔의 Knap Hill에서 Knap Hill Nurseries를 운영하던 Anthony Waterer Sr.(1822~1896)가 미국 원산의 카초바만병초(게시글 1381번 참조)에서 파생된 품종이라고 한다. 카토바만병초는 원래 진한 라벤더 핑크색이지만 이 품종은 핑크색이 옅어서 거의 백색에 가까우므로 화이트라는 뜻의 Album이라는 품종명이 붙었으며 키는 2m까지 자란다고 한다. Knap Hill Nurseries의 Waterer 집안은 벨기에 Ghent지방에서 건너온 유럽원산과 미국 동부 원산의 낙엽성 철쭉들의 교잡종에다가 미국 서부에서 새로이 도입된 수종을 추가 교..

1522 만병초 ‘알라딘’ – 중국 원산 만병초를 영국에서 교잡한 품종

학명 Rhododendron 'Aladdin'으로 등록된 만병초 ‘알라딘’은 영국의 햄프셔에 있는 엠블리 파크를 운영하던 원예가인 Joseph John Crosfield(1866~1940)가 1930년에 중국 원산의 이엽두견(耳叶杜鹃) 즉 Rhododendron auriculatum과 주홍대두견(朱红大杜鹃) 즉 Rhododendron griersonianum을 교잡시켜 육종한 무인편 만병초의 원예품종이다. Embley Park는 그 유명한 성인으로까지 추앙 받는 간호사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20~1910)의 저택이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지름 115mm의 밝은 주홍색 꽃이 최대 14송이나 모여서 피며 타원형인 잎의 길이 175mm이며 잎 뒷면에 갈색 털이 있으며 10년생이 1.8m까지 자라는 큰 관목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