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무인편만병초 99

1587 만병초 '메이 데이'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메이 데이'라고 학명 Rhododendron 'May Day'로 등록된 새빨간 꽃이 피는 품종이 있는데 여기서 품종명 'May Day'는 조난신호이거나 노동절 또는 5월 축제를 뜻하는데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 품종의 개화시기가 5월 초순이므로 붙인 이름이 아닌가 한다. 이 품종은 세계적인 목련 진달래 정원으로 알려진 영국의 캐헤이스성수목원의 현 원장인 Charles H Williams의 조부인 A.M. Williams가 선종하여 1932년에 전시회에 출품하여 우수품종상인 AM을 수상하면서 알려진 품종이다. 그러다가 1968년과 1993년에 RHS로부터 최우수품종상인 AGM를 수상한 바 있는 인기 품종이지만 내한성이 영하 15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흠이다. 중국 운남과 미얀마가 원산지인 중국명 사혈두..

1585 만병초 '메리 벨'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메리 벨'은 학명 Rhododendron 'Mary Belle'로 표기하는데 이 품종은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농장을 경영하면서 진달래속 육종에 전념하였던 Joseph Benson Gable(1886 ~ 1972)이라는 사람이 현재 그 모습을 구경하기 어려운 게이블 자신이 1945년에 발표였던 Atrier그룹이라는 품종에다가 또 그 자신이 1940년 이전에 육종하였던 Dechaem그룹이라는 품종을 1948년에 교잡시켜 1962년에 그의 아내인 Mary Belle Gable의 이름을 붙여서 발표한 품종이다. 지름 90~100mm인 연어 복숭아 색상의 큰 꽃이 10~11송이씩 모여서 피며 잎도 커서 그 사이즈가 길이 140mm에 너비 65mm에 달하고 키는 12년생이 1.1m까지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1584 만병초 '마담 마송' – 프랑스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마담 마송'은 학명 Rhododendron 'Madame Masson'로 등록되어 있는데 품종명을 ‘Mademoiselle Masson’이라고도 한다. 이 품종은 프랑스 베르사이유(Versailles)에서 활동하던 벨기에 출신 Pierre Bertin(1800~1891)이라는 육종가가 미국 동부 원산의 카토바만병초와 동남부 유럽이 원산지인 유럽만병초를 교잡시켜서 개발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카토바만병초 즉 R. catawbiense와 유럽만병초 즉 R. ponticum은 기본적으로 자홍색 꽃이 피는데 그 교잡종인 이 품종이 어떻게 백색 꽃이 피는 것일까? 그 이유는 부모종 둘 다 백색 꽃이 피는 변종이 있는데 아마 이 백색 변종들끼리 교잡시킨 것으로 추측이 된다. ‘Mademoiselle Mass..

1583 만병초 '로드 로버츠' – 영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로드 로버츠'는 학명 Rhododendron 'Lord Roberts'로 표기되는데 이 품종은 영국에 살던 B. Mason이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 육종한 것을 서레이에서 Windlesham nurseries를 운영하던 Fromow & sons에서 1900년에 소개하여 세상에 알려진 품종이다. 그 정확한 부모종은 모르나 미국 동부 원산의 카토바만병초 교잡종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름 65~80mm의 암적색 꽃이 12~22송이씩 모여서 피며 키는 1.5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명 : 만병초 '로드 로버츠' 학 명 : Rhododendron 'Lord Roberts'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만병초아속 부모종 : 카토바만병초 교잡종 추정 ..

1582 만병초 '리오' – 영국 로스 차일드에서 개발한 품종

학명 Rhododendron 'Leo'로 등록된 만병초 '리오'에서 leo는 원래 그리스어로 lion 즉 사자라는 뜻으로 주로 서양에서 하늘의 별자리 황도 12궁 중 사자자리를 말하거나 남자 이름으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정확히 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모른다. 이 품종은 영국 금융 재벌인 로스차일드가문의 Lionel de Rothschild(1882-1942)가 네덜란드 보스쿱에 있던 C.B. van Nes & Sons이라는 육종회사가 개발하여 1921년에 발표한 ‘Britannia’라는 품종과 인도에서 발견된 국내 미등록종 소교목인 Rhododendron elliottii를 교잡시켜 선종하고 1948년에 발표한 품종이라고 한다. 그 당시 같은 이들 부모종으로 선종한 품종이 다수이었는지 이들을 묶어서 Le..

1581 만병초 '램피언' – 독일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램피언'은 학명 Rhododendron 'Lampion'로 표기되는데 여기서 lampion은 작은 램프를 뜻한다. 이 품종의 꽃 모양이 종이나 초롱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추정된다. 이 품종은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진달래 육종가 중 한 사람이자 Barmstedt에서 Hans Hachmann tree nursery를 운영하던 Hans Hachmann(1930~2004)이 또 다른 독일 3대 진달래 육종가 중 한 사람인 Dietrich G. Hobbie가 1965년에 소개한 ‘Bad Eilsen’이라는 품종에다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 ‘코이치로 와다’를 1968년에 교잡시켜 1985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지름 45~55mm에 길이 35~45mm인 종모양의 선명한 적색 또는 짙은..

1580 만병초 '켄 자네크' – 내한성 강한 왜성 미국 품종

학명 Rhododendron 'Ken Janeck'로 등록된 만병초 '켄 자네크'는 미국 와싱턴주 타코마의 Kenneth Janeck 부부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의 묘목에서 1964년 선종하여 자기들 이름으로 명명한 품종이다. 지름 65mm의 적자색 꽃이 13~17송이씩 모여서 피며 뒷면에 털이 많은 잎의 사이즈는 125 x 25mm로 좁고 길며 키는 80cm 정도만 자라는 왜성종이다. 꽃도 아름답고 내한성도 강하여 미국에서는 야쿠시마만병초 원예 품종 중에서는 최고라고 칭송하는 경우도 많으며 실제로 미국에서 우수 품종상을 여러 번 받은 바도 있는 인기 품종이다. 등록명 : 만병초 '켄 자네크' 학 명 : Rhododendron 'Ken Janeck'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1579 만병초 '칼링카' – 독일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칼링카'의 학명은 Rhododendron 'Kalinka'로 표기하는데 여기서 품종명 칼링카는 1860년 이반 라리오노프라는 사람이 작곡한 러시아 민요를 말하는데 댄스곡인 이 곡에 맞춰 댄서들이 춤을 출 때 입는 치마가 마치 이 꽃의 모습과 비슷한 면이 있어서 붙인 이름이 아닌가 한다. 이 품종은 독일의 유명한 진달래 육종가이자 Barmstedt에서 Hans Hachmann tree nursery를 운영하던 Hans Hachmann(1930~2004)이 그 자신이 1963년에 개발한 만병초 '모르겐로트'라는 품종과 영국 Bagshot의 Waterer가문에서 1928년에 개발한 ‘Mars’라는 품종 그리고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 ‘코이치로 와다’를 1969년에 복합 교잡시켜서 선종한 품종이라고..

1577 만병초 '재닛 블레어'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학명 Rhododendron 'Janet Blair'로 표기되는 만병초 '재닛 블레어'는 미국 오하이오주 매디슨에 있는 David G. Leach Research Station의 대표이자 특히 만병초의 육종가로 유명한 David G. Leach(1913~1998)박사가 1960년에 선종하여 명명한 품종인데 그 부모종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유명한 육종가인 Charles Owen Dexter (1862–1943)가 중국 운금만병초 즉 R. fortunei를 활용하여 육종한 Dexter hybrids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로 Dexter hybrids 중 ‘John Wister’라는 품종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품종명 ‘Janet Blair’는 1..

1575 만병초 '호라이즌 모나크' – 미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호라이즌 모나크'는 학명 Rhododendron 'Horizon Monarch'로 표기되는데 이 품종은 미국 워싱턴주의 의사이자 만병초 육종가인 E.C. (Ned) Brockenbrough박사가 같은 워싱턴주에 살던 육종가 Halfdan Lem(1886-1969)이 개발한 ‘Point Defiance’라는 품종에다가 그 자신이 1975년에 개발한 인기가 높은 ‘Nancy Evans’라는 품종을 교잡시켜 1981년에 개발한 품종이다. 지름 100mm의 연한 녹황색 큰 꽃이 15송이씩 둥글게 모여서 피며 잎의 사이즈도 커 길이 17cm에 너비 6cm이며 키는 8년생이 2m까지 자라는 다소 큰 사이즈 만병초이다. 꽃이 크고 아름다운데다가 색상도 좋아서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최상급 품종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