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무인편만병초 99

1603 만병초 '프린스 카미유 드 로한' – 벨기에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프린스 카미유 드 로한' 즉 Rhododendron 'Prince Camille De Rohan'는 벨기에 겐트지방의 Waelbrouck이라는 사람이 적어도 1854년 이전에 재배하던 품종인데 여기서 품종명은 Camille Joseph Idesbald Philippe de Rohan (1800~1892)이라는 긴 이름을 가진 흔히 Duke of Montbazon으로 불리는 벨기에 태생의 로한(Rohan)가문의 정치가이자 예술품 수집가 및 아마추어 원예가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로앙가문으로 불리는 이 집안이 바로 나중의 프랑스 왕가인 브루타뉴가문이기에 왕자라는 호칭을 붙인 것이다. 이 품종은 앞 1382번 게시글에서 다룬 키가 최대 10m까지도 자라는 북미 동부원산의 미국만병초 즉 R..

1602 만병초 '프레지던트 루스벨트' – 노란잎 무늬종

만병초 '프레지던트 루스벨트' 즉 Rhododendron 'President Roosevelt'는 1901~1909까지 미국 제26대 대통령을 지낸 Theodore Roosevelt의 이름에서 온 것이라고는 하는데 누가 언제 육종하였는지에 대하여는 모른다. 다만 1930년 네덜란드 보스쿱의 C. Mesman의 리스트에 올려져 있는 것으로 봐서 그 이전에 개발된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 품종의 부모종은 1857년 이전에 개발된 오래된 품종인 ‘Limbatum’이라는 품종에서 나타난 돌연변이 노랑무늬잎 변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운데가 백색을 띠고 있는 진한 적색 꽃이 17~24송이씩 모여서 피며 키는 10년생이 1.2m까지 자란다고 하지만 내한성이 영하 18도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 재..

1599 만병초 '핑크 펄'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핑크 펄' 즉 Rhododendron 'Pink Pearl'은 영국 서레이(Surrey)의 Bagshot에 있던 Waterer nursery에서 적어도 1892년 이전에 육종한 오래된 품종이다. 이 품종은 서레이 Haslemere의 Valewood에 살던 19세기 가장 활동적인 아마추어 육종가인 James H. Mangles(1832~1884)가 히말라야 원산의 Rhododendron griffithianum과 미국 동부 원산의 카토바만병초를 교잡시켜서 육종한 'George Hardy'라는 품종에다가 런던의 Lee of Hammersmith 너서리의 정원사인 Broughton이라는 육종가가 개발한 중국 원산의 수형두견(树形杜鹃) 즉 Rhododendron arboreum의 교잡종인 키가 12m까..

1597 만병초 '퍼시 와이즈만' – 영국서 개발된 인기 품종

Rhododendron 'Percy Wiseman' 즉 만병초 '퍼시 와이즈만'은 영국 서레이(Surrey)의 Bagshot에 있던 Waterer nursery에서 저절로 교잡이 되어 탄생한 것을 발견하여 1969년에 학회에 등록한 품종인데 품종명 Percy Wiseman은 그 Waterer nursery의 육종책임자로서 일본에서 도입된 야쿠시마만병초를 활용한 원예품종 개발의 길을 연 육종가로 유명한 사람이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만병초 '닥'이 바로 그가 개발한 품종 중 하나이다. 이 '퍼시 와이즈만'은 1940년에 웨일즈 콘위에 있는 보드난트정원의 Aberconway남작 2세가 중국의 양색두견(两色杜鹃) 즉 R. dichroanthum과 주홍대두견(朱红大杜鹃) 즉 R. griersonianum을 교잡시..

1594 만병초 '오디 라이트' – 미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오디 라이트' 즉 Rhododendron 'Odee Wright'는 미국 오리건주 캔비(Canby)에서 Wright's Nursery를 운영하던 Arthur Wright(1907~1975)라는 육종가가 1957에 선종하여 1964년에 등록한 황색꽃이 피는 만병초 품종이다. 영국 로스 차일드가문에서 1941년에 육종한 ‘Idealist’라는 품종과 네덜란드에서 1957년에 육종된 ‘Mrs Betty Robertson’이라는 품종을 교잡시켜서 개발한 것이다. 지름 115mm의 연한 노란색 큰 꽃이 최대 15송이까지 모여서 피며 잎의 사이즈는 길이 90mm이고 너비 40mm이고 높이는 10년생이 1m까지 자라는 이 품종은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우수품종상을 받은 바도 있는 나름대로 인기 품종..

1592 만병초 '노요 치프' – 미국서 선종된 품종

만병초 '노요 치프' 즉 Rhododendron 'Noyo Chief'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해안가 조그마한 지역인 포트 브래그(Fort Bragg)의 육종가인 의사 Paul Bowman에 의하여 선종되어 1965년에 등록된 품종이다. 이 품종은 인도 원산의 Rhododendron arboreum subsp. Nilagiricum의 교잡종이라고 하는데 Bowman이 직접 교잡한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을 거쳐서 1945년 영국 Reuthe에서 도입된 묘목에서 발견된 변이종으로 추정이 된다. 여기서 품종명 Noyo Chief의 Noyo는 포드 브래그의 지명이다. 지름 65mm의 장미 적색 꽃이 16송이씩 모여서 피며 밑에 털이 있는 타원형인 잎의 사이즈는 길이 175mm에 너비 55mm로 크고 길며 10년생이..

1591 만병초 '낸시 에번스' – 미국 워싱턴주에서 개발된 인기 품종

만병초 '낸시 에번스' 즉 Rhododendron 'Nancy Evans'는 미국 와싱턴주의 의사이자 만병초 육종가인 E.C. (Ned) Brockenbrough박사가 같은 워싱턴주에 살던 육종가 Karl I. Sifferman (1886~1930)가 1953년에 육종한 황색 꽃이 피는 교잡종인 ‘Hotei’에다가 또 다른 워싱턴주의 육종가 Halfdan Lem(1886-1969)이 1956년에 육종한 핑크색 ‘Lem’s Cameo’라는 품종을 1970년에 교잡시켜 선종한 후 1983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부모종 둘 다 우수 품종상을 수상한 바 있는 인기 품종으로 좋은 혈통을 이어받은 이 교잡종 또한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최우수품종상인 AGM를 수상한 바도 있는 인기 품종이다. 이와 같이 미국..

1590 만병초 '모닝 매직' – 영국서 개발된 왜성종

Rhododendron 'Morning Magic' 즉 만병초 '모닝 매직'은 영국 서레이(Surrey)에서 Hydon Nurseries를 운영하던 Arthur Fifield George라는 육종가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에다가 그 자신이 중국의 주홍대두견(朱红大杜鹃)과 유럽만병초를 교잡시켜 개발한 ‘Springbok’라는 품종을 재교잡시켜 1971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당초에는 품종명이 ‘Hydon Magic’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으며 'Springbok’ 품종은 현재로서는 그 실물을 확인하기 어렵다. 지름 50~65mm의 연한 핑크색을 띤 백색 꽃이 16송이씩 모여서 피며 잎의 사이즈는 90 x 35mm이고 키는 50~90cm까지만 자라는 왜성종인 이 품종은 나름대로 인기가 높아 영국 RHS로부..

1589 만병초 '모르겐로트' – 독일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모르겐로트' 즉 Rhododendron 'Morgenrot'의 품종명 모르겐로트는 독일어로 아침놀이나 서광(曙光)을 뜻한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의 통치자가 되자마자 3일만에 발표한 나치 독일의 최초 영화로서 세계 제1차대전 때 활약한 독일 잠수함을 다룬 영화 제목으로도 유명하지만 그 영화이름이 1978년에 발표한 이 품종의 이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아마 가운데가 옅은 이 품종의 꽃 색상에서 서광을 느꼈기에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영어로는 Dawn으로 번역되는 Morgenrot로 품종명이 붙은 것은 이 품종을 독일 3대 진달래 육종가 중 한 사람이자 Barmstedt에서 Hans Hachmann tree nursery를 운영하던 Hans Hachmann(1930~2..

1588 만병초 '문스톤'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문스톤'은 학명 Rhododendron 'Moonstone'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품종명 moonstone는 아르마니아 호주 인도 미국 등지에서 생산되는 달빛을 띠는 준보석 광물을 말한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인 장석의 일종인 이 준보석을 월장석(月長石)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아예 월광석(月光石)이라고도 한다. 명명 사유를 밝히지는 않은 것 같지만 적색이던 꽃망울이 피면서 아이보리 크림색 또는 핑크색으로 변하는 이 꽃의 색상을 월장석과 비슷한 색상이라고 판단하고 그렇게 붙인 것으로 추측이 된다. 꽃은 3~5송이씩 모여서 피며 타원형인 잎의 사이즈는 65x 45mm이며 키가 1.2m까지 자라는 것이 특징인 이 품종은 오늘날 목련과 진달래 컬렉션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