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교잡 무인편만병초 99

1630 만병초 버지니아 리처즈 – 미국서 개발된 품종

우리나라 국표식에 만병초 버지니아 리처즈 그룹이라고 학명 Rhododendron Virginia Richards Group으로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이 품종은 그룹을 뺀 그냥 만병초 ‘버지니아 리처즈’라고 불리는 품종인 것으로 보인다. 이 품종은 세계적인 진달래 육종의 중심지 중 하나인 미국 동북부 와싱턴주에 살던 유명한 만병초 육종가인 William E. Whitney(1894~1973)가 1950년대에 교잡하였으나 무려 15년 동안의 검증과 테스트를 거쳐서 일반에 소개하였으며 협회 등록은 나중에 Whitney nursery를 인수한 Mrs. Anne Sather에 의하여 육종가의 사후인 1975년에 이루어 진다. 아마추어 애호가에서 시작하였다가 1950~60년대 세계 최고 수준의 만병초 육종가로 발돋..

1629 만병초 '빈티지 로즈'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빈티지 로즈' 즉 Rhododendron 'Vintage Rose'는 영국 서레이(Surrey)의 Bagshot에 있던 Waterer nursery에서 야쿠시마만병초에다가 연노랑 꽃이 피는 'Jalisco Eclipse'라는 품종과 새빨간 꽃이 피는 Fusilier Group이라는 영국 로스 차일드정원에서 개발한 두 품종을 1958년에 교잡시켜셔 1968년에 선종하여 명명하고 1975년에 소개한 품종이다. 이 품종의 꽃이 백색 바탕에 진한 적자색을 띠고 있어 마치 오래된 장미 품종 즉 빈티지 로즈의 색상을 닮았기 때문에 그런 품종명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빈티지는 원래 포도의 수확시기를 뜻하는 말인데 오래된 포도주가 품질이 좋기 때문에 형용사로 쓰일 경우에는 '오래된 좋은 고풍스러운'이라는 뜻으..

1628 만병초 '베르누스' – 미국서 개발된 내한성 품종

만병초 '베르누스'는 우리나라에 Rhododendron 'Vernus'라고 등록되어 있으며 서양에서도 흔히 그렇게 표기하지만 올바른 이름은 Rhododendron 'Vernum'이라고 한다. 라틴어로 봄을 뜻하는 이 단어는 앞 글자 Rhododendron에 맞추어 중성인 Vernum으로 써야 옳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국명도 만병초 ‘베르넘’이 된다. 이 품종은 미국 오하이오주의 사우스 유클리드에 살던 Anthony M. Shammarello(1903~1982)라는 육종가가 앞 1381번 게시글에서 다룬 미국 원산 카토바만병초의 적색 꽃이 피는 교잡종과 앞 1552번 게시글에서 다룬 1830년경에 스코틀랜드에서 개발된 만병초 '커닝햄스 화이트' 즉 Rhododendron 'Cunningham's Whi..

1627 만병초 '유니크'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유니크' 즉 Rhododendron 'Unique'는 영국 서리(Surrey)의 워킹에 있던 Goldsworth Old nursery를 운영하던 Walter Charles Slocock(1854~1926)이라는 사람이 개발한 교잡종이다. 육종가 Slocock은 처음에는 인근 냅힐(Knap Hill)에 있는 진달래 육종으로 유명한 Waterer집안에서 육종일을 배운 다음 워킹(Working)에 와서 독립하였다고 한다. 기록에는 1934년 이전에 교잡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최소한 그가 죽기 전인 1926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품종은 중국 인도 등 히말라야 주변국에서 자생하는 열매가 활처럼 휘어지는 중국명 만과두견(弯果杜鹃) 즉 Rhododendron campylocarpum과 다른 ..

1626 만병초 트레저 그룹 – 영국에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트레저 그룹 즉 Rhododendron Treasure Group은 영국 햄프셔에 있는 엠블리 파크를 운영하던 원예가인 Joseph John Crosfield(1866~1940)가 중국 운남과 티벳 미얀마 등지가 원산지인 포복성 관목인 Rhododendron forrestii Repens Group 즉 중국명 자배두견(紫背杜鹃)에다가 앞 1399번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는 중국 남방 원산으로서 중국명이 원엽두견(圆叶杜鹃)인 윌리엄스만병초 즉 Rhododendron williamsianum을 교잡시켜서 개발하여 1937년에 소개한 품종이다. Embley Park는 과거에 그 유명한 성인으로까지 추앙 받는 간호사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20~1910)의 저택이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자배두견은 잎 뒷면..

1624 만병초 '티아나' – 미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티아나' 즉 Rhododendron 'Tiana'는 미국 뉴욕주 East Norwich라는 조그마한 마을에 Murcott Gardens라는 수천 평의 만병초 정원을 조성하고 있는 Richard Murcott라는 육종가가 앞 1609번 게시글에서 다룬 만병초 ‘사포’라는 품종에다가 영국 로스 차일드 가문이 엑스베리 가든에서 온 야쿠시마만병초를 교잡시켜서 개발한 품종이다. 만병초 '사포' 즉 Rhododendron 'Sappho'는 아잘레아 육종으로 유명한 영국 윌트셔의 Knap Hill이라는 지역에서 Anthony Waterer Sr.(1822~1896)와 그의 아들 Anthony Waterer Jr.(1850~1924)가 운영하던 Knap Hill Nurseries에서 육종한 키가 4m까지 자라..

1623 만병초 '더 오너러블 장 마리 드 몬태규' – 인기 높은 네덜란드 품종

만병초 '더 오너러블 장 마리 드 몬태규' 즉 Rhododendron 'The Honourable Jean Marie de Montague'는 네덜란드 보스쿱에 있던 C.B. van Ness & Sons라는 업체에서 1901년경에 개발하였지만 한동안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1930년대에 와서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비교 대상이 거의 없는 순수한 새빨간 꽃 색상으로 한동안 적색 꽃이 피는 품종 중에서는 단연 최고의 품종으로 인정받아 왔으며 지금 현재도 인기가 높다. 하지만 보다 상세한 육종가 개인 정보도 없고 유난하게 긴 이름의 유래 등에 대하여는 아무런 정보도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몬태규가문의 장 마리라는 이름을 가진 여성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붙인 것으로 추정되는 긴 이름 'The Honourable Je..

1621 만병초 '테디 베어’ – 미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테디 베어' 즉 Rhododendron 'Teddy Bear'는 미국 와싱턴주의 올림피아에 있는 무려 17만여 평 규모의 세계 최대급 진달래 재배농장을 가진 Briggs nursery에서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이 원산지로서 키가 1~4m까지 자라며 분홍색을 띤 백색 꽃이 피는 중국명 수홍두견(锈红杜鹃) 즉 Rhododendron bureavii에다가 일본 원산의 야쿠시마만병초를 교잡시킨 묘목 중에서 발견하여 1980년에 선종 재배 명명하고 1991년에 학회에 등록한 품종이다. 하지만 정확하게 누가 교잡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중국에서 수홍(锈红)이란 철이 녹슨 것과 같은 적갈색을 말하는데 이 수종에는 가지와 꽃차례 등 여기저기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리..

1620 만병초 '타우루스' – 미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타우루스' 즉 Rhododendron 'Taurus'는 미국 와싱턴주 우드랜드에서 Mossman nursery를 운영하던 F.D. Mossman이라는 사람이 네덜란드에서 개발된 부탄만병초의 교잡종인 만병초 '더 오너러블 장 마리 드 몬태규'라는 품종에다가 중국 사천 운남성이 원산지인 중국명 망자두견(芒刺杜鹃) 즉 Rhododendron strigillosum을 1962년에 교잡시켜서 1970년에 발표한 품종이다. 국내 미등록종인 키가 최대 10m까지도 자라는 중국 망자두견은 식물 거의 전체에 강모(刚毛) 즉 뻣뻣한 털이 있기에 까끄라기와 가시라는 뜻의 망자(芒刺)라는 중국명이 붙었으며 학명 또한 비슷한 맥락에서 명명된 수종이다. 별자리 중 하나인 황소자리라는 뜻의 품종명이 붙은 ‘타우루스’는 4..

1619 만병초 '수잔' – 영국서 개발된 품종

만병초 '수잔' 즉 Rhododendron 'Susan'은 적어도 1933년 이전에 영국 콘월에 있는 세계적인 목련 및 진달래 수목원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의 유명한 캐헤이스성 수목원을 조성한 John Charles Williams (1861~1939)가 히말라야 원산의 종화만병초 즉 Rhododendron campanulatum과 중국 중남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운금만병초 즉 Rhododendron fortune을 교잡시켜서 개발한 품종이라고 한다. 종화만병초는 종모양의 꽃이 핀다고 중국명이 종화두견(钟花杜鹃)인데 앞 1386번 게시글에서 다룬 바 있고 운금만병초는 키가 최대 12m까지도 자라는 키가 매우 큰 만병초로서 중국명이 운금두견(云锦杜鹃)이며 중국 중남부 무려 13개 성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