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목서(금목서, 은목서) 와 계화 종류들 중국의 금계(금목서) 풀푸레나무목(Oaeles) 물푸레나무과(Oleaceae) 목서속(Osmanthus) 상록활엽관목이며 전설속 달나라에 있다는 바로 그 나무, 매화 모란 등과 함께 중국 10대 명화로 꼽히어 십리표향(十里飄香)이란 별명이 붙어있는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즉 계화(桂花)에 대하여 알아본다. ..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6.01.04
17 구골나무 구골목서와 박달목서 그리고 호랑가시나무 유일한 우리 자생종 박달목서 열 일곱 번째로 아주 골치아픈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 표준인 국생정 자료가 부실하여 그 누구도 헷갈리지 않을 수 없는 물푸레나무과 목서속(Osmanthus) 나무들에 대하여 알아 본다. 얼핏 보면 호랑가시나무와 비슷하여 영어로는 가짜 호랑가시나무 (False Holly)..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016.01.04
14 나한백(구름측백나무)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불확실하여 정원에 심은 것은 아니지만 매우 사랑스러운 침엽수 나한백(羅漢柏) 측백나무과 나한백속 상록침엽 교목 학 명 : Thujopsis dolabrata (L.f.) Siebold & Zucc. 원산지 : 일본, 중국 일본명 : 아스나로(アスナロ,翌檜), 아스히(アスヒ,明日檜), 히바(ヒバ,檜葉), 히..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5.12.29
12 털설구화 '와타나베' (유통명 : 사계덜꿩나무) 사계덜꿩나무 이번에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흔하지 않은 미등록종 산분꽃나무속 나무 하나를 더 알아본다. 얼핏보면 라나스 덜꿩나무라고 흔히들 부르는 털설구화 '라나스' 같은데 나무나 꽃의 사이즈가 작은 왜성이며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계속피고 열매가 달리지 않는 나무이다. 그래..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5.12.26
11 상록덜꿩나무(우단아왜나무) 상록덜꿩나무 잎이 덜꿩에 비하여 두껍고 부드럽다 우리나라서는 결코 흔치않는 나무 상록 우단아왜나무를 알아본다. 잎 모양과 질감이 좋고 봄에 꽃을 가을에 열매를 겨울에 푸른 잎을 볼 수 있어 매우 매력적이지만 아직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볼 수 없고 식물원 등지에서나 볼 수 있.. 인동과/산분꽃나무속 2015.12.26
7 칠자화(미코니오이데스 헵타코디움) 七子花 중국 희귀보호수종 칠자화(七子花) 등록명 : 미코니오이데스 헵타코디움 학 명 : Heptacodium miconioides Rehder 분 류 : 산토끼꽃목 인동과 헵타코디움속(Heptacodium) 원산지 : 중국 고유종 중국명 : 칠자화 (七子花) 개화기 : 7 ~ 9월 결실기 : 10 ~ 11월 높 이 : 4 ~ 8m 방향성 : 꽃향이 강하여 이를 자스민.. 인동과/인동과 2015.12.23
6 팥꽃나무 우리 자생식물인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팥꽃나무! 학명은 Daphne genkwa Siebold & Zucc. 이다. 전국에서 노지월동이 가능한 키 1m 정도까지 자라는 팥꽃나무, 정원수로 추천할만한 관목인데 특이하게 전남에서 황해, 평남까지 주로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아마..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5.12.23
5 위실나무(콜크위트지아) - Linnaea amabilis 산토끼꽃목 인동과 린네풀(Linnaea)속 위실나무 Linnaea amabilis Graebn. 과거 콜크위치아(Kolkwitzia)속이었으나 최근 이 콜크위치아속이 개병꽃나무속과 댕강나무속, 애기병꽃속 등과 함께 린네풀속으로 통합되는 바람에 린네 이명법에 의하여 이 나무의 학명도 Kolkwitzia amabilis Graebn.에서 자동으.. 인동과/인동과 2015.12.23
3 이테아(즈이나) 우리나라에 즈이나라고 알려진 이테아(Itea)를 세번째로 알아본다. 우리나라에는 없고 일본과 중국 그리고 아메리카가 고향이지만 주로 일본에서 들어오다가 보니까 즈이나라고 알려진 것 같다. 우선 키가 크게 자라지 않고 꽃이 특이하고 단풍도 붉게 오래 지속되는 이 나무, 정원수로서..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2015.12.22
2 포테르길라(실꽃풍년화?) 우리 자생종은 아니지만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정원수!!! 포테르길라(Fothergilla) 장미목 조록나무과 포테르길라속 모두 미국 동남부가 고향으로서 미 전역에 재배가 가능하므로 당연히 우리나라 전역 노지월동 가능하다. 잎이 예쁘고 꽃도 특이하고 무엇보다도 단풍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조록나무과/조록나무과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