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수국과 수국속/기타수국

656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유통명 - 옥수국, 등록명 - 용수국

낙은재 2019. 2. 16. 23:41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인볼루크라타수국이라고 등록되었다가 불과 몇 달 전에 용수국이라고 이름이 변경된 수국이 있다. 학명이 Hydrangea involucrata Siebold로 표기된 것으로 봐서 일본에서 다마아지사이(タマアジサイ)라고 부르고 한자로는 옥자양화(玉紫陽花)라고 쓰는 수국이 틀림없어 보인다. 다마는 그야말로 옥(玉)을 말하며 당구나 탁구 및 야구의 둥근 공을 의미한다. 이 수국의 꽃봉오리가 특이하게 지름 2~3.5cm 크기의 공 모양으로 생겼다가 터지면서 꽃이 나와서 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최근에 변경한 이 수국의 우리 이름이 왜 용수국인지는 알 수가 없다. 도대체 무슨 뜻일까? 둥근수국이나 공수국 또는 국내 유통계서 사용하는 옥수국이라면 모를까.. 다시 한번 확인해 봐야 겠다. 혹시 그 사이에 또 변경되었는지를. 당장은 따르기가 어려워 이 포스트에서는 과거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학명 Hydrangea involucrata는 일본에 두 차례에 걸쳐 무려 10년이나 체류한 독일 의사겸 식물학자인 지볼트가 1829년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involucrata는 총포(involucre)가 있다는 뜻이다. 총포(總苞)란 꽃대의 끝에서 꽃의 밑동을 싸고 있는 잎이 변한 비늘 모양의 조각을 말하며 주로 두상화서(頭狀花序)나 산형화서(繖形花序)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두상화서는 머리 모양의 꽃차례를 말하며 산형화서는 우산(繖)을 편 모양의 꽃차례를 말한다. 이 또한 이 수국의 특이한 꽃봉오리에서 온 이름이지만 일본에서는 단순하게 모양을 보고서 다마라고 하였지만 지볼트는 보다 구체적으로 그 역할까지를 내포한 총포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한 줄기에 꽃봉오리가 하나씩만 달린다. 잎에는 온통 털이고 잎이 응달에서는 크게 자란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하나의 꽃차례 전체가 둥근 총포에 싸여 있다가 터지기 시작한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총포가 터지면서 꽃차례가 서서히 펴지는 것이다.


전세계 수국 중에서 이런 타입의 수국은 다마수국이 유일하고 다마수국은 일본 혼슈 동북부 지방에서만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인데 이상하게 서양 일부에서는 일본과 대만이 원산지라고 하고 있다. 정작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이 수종이 그들의 자생 식물 리스트에 올려져 있지도 않다. 그리고 미국에서도 현재 제대로 된 정보에는 일본 혼슈만이 자생지라고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에서는 이 수국의 팻말을 아직도 대만수국이라고 붙이고 있는 것 같다. 왜 그럴까? 추적을 해보니 일본학자 하야타 분조(早田 文藏 : 1874~1934)가 대만에서 잎이 좁고 긴 수국을 발견하여 Hydrangea longifolia라고 1908년 명명하였는데 대만 식물학자 엽정휘(葉靖輝)박사가 Hydrangea involucrata var. longifolia 즉 다마아지사이의 변종으로 분류하여야 한다고 1976년 주장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런 혼란이 초래된 것으로 보이나 이 주장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에서도 이를 장엽수구(长叶绣球)라고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만 원산의 장엽수국(长叶绣球) - 미등록종

Hydrangea longifolia

일부에서 이를 다마아지사이의 변종으로 보기도 하였지만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지는 못하였다.


대만 원산의 장엽수국(长叶绣球) - 미등록종

Hydrangea longifolia


우리나라 천리포수목원에 있는 Hydrangea involucrata는 인터넷에 올려진 사진 정보에 의하면 일반 레이스캡형 수국과 비슷하게 옅은 자주색 양성화에 가장자리에 흰색의 장식화가 피는 다마아지사이 원종이거나 원예종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는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를 다시 7개의 품종과 변종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그 중에는 겹꽃이 피는 코코노에(ココノエ), 쿄쿠단카(ギョクダンカ)나 요우라쿠(ヨウラク)라는 품종도 있고 레이스캡형이 아닌 맙헤드형 꽃이 피는 테마리(テマリ)라는 품종 등도 있어 복잡하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이들 변종과 품종을 모두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영국에서는 모두 하나로 묶어 Hydrangea involucrata로 분류하고 있으나 미국에서는 원종과 흰꽃이 핀다는 품종 H. involucrata f. leucantha 하나와 이즈제도에서 발견된 H. involucrata var. idzuensis와 토가라열도에서 발견된 H. involucrata var. tokarensis 등 두 개의 변종을 인정하고 있다.  


천리포수목원에 대만수국이라고 이름이 잘못 붙어있는 다마아지사이 Hydrangea involucrata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변종이나 품종은 꽃모습이 원종과 유사하여 꽃 자체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하여 원종에 포함되어 분류되지만 겹꽃이 피는 종들은 둥글고 큰 꽃봉우리와 늦게 가을까지도 꽃이 핀다는 점때문에 우리의 관심을 끈다. 그래서 국내서 일부 업체들이 도입하여 옥수국(玉--)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 같다. 일본에서는 겹꽃 품종으로 쿄쿠단카(ギョクダンカ) 즉 옥단화(玉段花)와 요우라쿠(ヨウラク) 즉 영락(瓔珞) 그리고 코코노에(ココノエ) 즉 구중(九重)이 있는데 대개 비슷하지만 꽃잎이 옥단화가 가장 둥글고 크며 다음이 요우라쿠 그리고 코코노에가 가장 가늘지만 그 숫자는 20~30매로 가장 많다. 원래 Hydrangea involucrata는 수국 중에서 수국이나 산수국 그리고 아스페라수국 보다도 늦게 꽃이 피는 수종이므르 국내 일부에서 이를 가을수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 내한성이 강하고 신가지에서 개화하는 사계개화 수국의 등장으로 가을에 피는 수국은 부지기수로 많다.  



요우라쿠(瓔珞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겹꽃이 피는 품종 요우라쿠(瓔珞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Hydrangea involucrata f. multiplex

이 품종은 나카이박사가 1948년 이즈제도 오시마에서 발견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 품종을 구스다마노키(くす玉の木)라고도 한다.


신라 금관

이렇게 금관이나 불상에 달린 장식을 영락(瓔珞)이라고 한다.


국내서 유통되는 옥수국

사진의 품종은 꽃모양으로 봐서 일본의 교쿠단카(ギョクダンカ) 즉 옥단화(玉段花) 같다.

Hydrangea involucrata f. hortensis

이 품종은 지볼트가 그의 저서 일본식물지에도 기록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등록명 : 용수국

과거명 : 인볼루크라타수국

유통명 : 옥수국(玉水菊)

학  명 : Hydrangea involucrata Siebold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일본 혼슈

일본명 : タマアジサイ(玉紫陽花)

수  고 : 1~2m

개화기 : 8~9월

개화지 : 전년지와 신년지

내한성 : 영하 21도

전년지 외에도 신년지에서도 꽃이 피어 2차 개화를 한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정말 그렇다면 개화기간도 길고 내한성에 대한 염려도 줄어드므로 중부지방에서의 노지월동도 시도해 볼 만하다고 판단된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동시에 피는 것이 아니고 꽃봉오리가 순차적으로 핀다.

꽃이 피기전 이 상태로도 매력이 있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하나의 구형 총포안에 꽃차례 전체가 들어 있다가 펴진다.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겹꽃 품종인 Hydrangea involucrata f. multiplex의 개화 진행도


인볼루크라타수국(Hydrangea involucrata) - 일본 다마아지사이(玉紫陽花)

꽃이 진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