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콩아과

980 히말라야낭아초 -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정원수

낙은재 2020. 6. 8. 21:27

히말라야낭아초 - 소엽이 매우 많은 것이 특징
히말라야낭아초 - 가뭄에 강하고 내한성도 강하면서 꽃과 수형이 아름다워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

땅비싸리속은 전세계 약 7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7종이 등록되어 있다.  그 중 6종은 우리 자생종이고 나머지 한 종이 외래종이다. 유일하게 외래 재배종으로 등록된 하나가 바로 히말라야낭아초인데 자세히는 몰라도 이 종이 세계적으로 원예용 식물로서 인기가 높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히말라야낭아초의 학명은 Indigofera heterantha인데 1830년대 초에 덴마크 식물학자 Nathaniel Wallich(1786~1854)가 명명하였던 것을 독일 식물학자인 Dietrich Brandis(1824~1907)가 1874년에 출판하여 발표한 것이다. 그래서 Indigofera heterantha Wall. ex Brandis로 표기하지만 일부에서는 그냥 브랜디스가 명명한 것으로 Indigofera heterantha Brandis로 표기하며 우리나라도 그렇게 등록하고 있다. 여하튼 여기서 종소명 heterantha는 꽃이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핀다는 뜻이다.

 

중국과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등 히말라야 인근 국가에서 자생하는데 중국에서는 이를 이화목람(异花木蓝)이라고 하는데 이는 종소명과 맥을 같이하여 다양한 꽃이 피는 땅비싸리라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이름이 느닷없이 히말라야낭아초라고 등록하고 있다. 이게 뭔 소리인지? 그냥 히말라야땅비싸리라고 하면 될 것을 쓸데없이 잔재주(?)를 부리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그렇게 낭아초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면 속명을 먼저 낭아초속으로 바꿔야 하는 것이 아닌가? 땅비싸리속의 외래종에다가 아무런 근거도 없이 뜬금없는 낭아초를 붙이다니 정말 황당하다. 낭아초라는 말의 본고장 중국에서도 이를 히말라야낭아초라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우리 자생종인 낭아초도 엄연한 관목인데도 풀(草)이라고 하여 마뜩잖은 터인데 한술 더 뜨다니! 그래서 그런지 북한에서는 낭아초를 낭아땅비싸리라고 하지 않던가? 그런데도 아무런 명분도 없이 엉뚱한데다가 또 낭아초를 붙이다니 정말 안타깝다. 다시 말하지만 중국에서도 낭아초라는 이름은 그 어떤 식물의 정명이 아니다. 그냥 우리 낭아초와 짚신나물의 여러 별명 중에 하나일 뿐이라는 사실이다.

 

등록명 : 히말라야낭아초

과거명 : 헤테란타낭아초

학   명 : Indigofera heterantha Wall. ex Brandis

이   명 : Indigofera heterantha Brandis

분   류 : 콩과 땅비싸리속 관목

원산지 : 인도 중국 네팔 등 히말라야 인근 국가

중국명 : 이화목람(异花木蓝)

영어명 : Himalayan indigo

수   고 : 30~100cm

줄   기 : 밤갈색, 원주형, 원형피공 명현, 평첩모, 유지 릉, 회백색 반전개 정자모

엽   서 : 우상복엽 7cm

엽   병 : 5mm, 엽축 홈, 평첩 혹 근평첩정자목

탁   엽 : 선형, 3mm, 선단반곡, 갈색모, 조락

소   엽 : 6~15대, 대생, 타원형, 도란형 혹 도피침형, 5~8 x 4~4.5mm, 선단원둔혹절평, 소첨두, 기부활설형혹 근원형, 상면록색, 하면분록색, 양면백색평첩정자모, 중맥상면평, 하면융기, 측맥불명현

소엽병 : 1mm

소탁엽 : 강모상, 소엽병 등장 혹 초장

화   서 : 총상화서 2.5~3cm

총화경 : 무, 화서축모밀생

포   편 : 미소, 조락

화   경 : 1.5~2mm, 모

화   악 : 종상, 2.5~3mm, 외면 거친 정자모, 악통1.5mm, 악치피침형, 하악치 악통 등장

화   관 : 자색 혹 담자색

기   판 : 타원형, 7.5~9.5mm x 4~4.5mm, 외면 유모

익   판 : 7.5mm, 연모

용골판 : 기판가 등장, 선단과 변연 모, 틈새 1mm

화   약 : 난구형, 정단 소돌기, 기부 소량 염모

자   방 : 모, 배주 10개

협   과 : 밤갈색, 원주형, 1~2cm, 조기 짧은 정자모, 후 탈락 무모, 종자 6~10개, 육과피 자홍색 반점

과   경 : 2mm, 모, 하만

종   자 : 장원형, 2.5mm

화   기 : 4~7월

과   기 : 7~10월

용   도 : 관상용

특   기 : 영국 RHS의 우수품종(AGM)으로 피선정

내한성 : 영하 28도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히말라야낭아초

그 외 땅비싸리속에는 큰꽃땅비싸리(I. grandiflora B.H.Choi)라고 꽃차례가 잎보다 두 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열편이 좁다는 종과 민땅비싸리(I. koreana Ohwi)라고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다는 종이 더 등록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 완전하게 인정을 받지는 못한 학명들이라서 탐구를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