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함박꽃나무속

1005 화서함박꽃나무 - 중국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

낙은재 2020. 8. 10. 10:00

화서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 탁엽흔이 잎자루 전체를 감싸고 꽃이 펴지지 않고 공모양을 유지하므로 종소명 globosa가 붙었다.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 그리고 티베트가 원산인 중국명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가 우리나라에 화서함박꽃나무로 등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목란속으로 분류할 때는 모엽옥란(毛叶玉兰)이라고 하다가 최근 천녀화속(天女花属)으로 독립시켜 분류하면서 이름을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라고 한다. 앞에서도 여러 번 언급한 바 있지만 옥란(玉兰)과 천녀화(天女花) 즉 함박꽃나무의 차이점은 잎이 난 다음 꽃이 피냐 아니면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피느냐이다. 옥란은 우리 자생종 목련이나 중국에서 오래 전에 도입된 백목련과 자목련으로 대표되는데 이른 봄에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을 한꺼번에 활짝 피우며 꽃송이가 위로 그리고 북쪽을 향하는 것이 특징이라면 함박꽃나무들은 늦봄부터 초여름까지 잎이 난 다음 꽃의 일부가 순차적으로 계속 피고지는 것이며 꽃송이도 옆으로 또는 아래로 약간 처지는 특징이 있어 확연하게 구분이 된다. 중국명 모엽(毛叶)은 어린 잎은 온통 홍갈색 장모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이름을 과거 글로보사목련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화서함박꽃나무라고 변경한 것인데 목련과는 이질감이 있는 함박꽃나무 종류임을 나타내고 싶었으며 앞의 화서는 아마 이 수종이 중국 화서지구(华西地区)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붙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 화서지구란 양자강 상류인 넓은 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의 지역 구분 - 좁게는 장강(양자강) 상류지역인 사천성 일대를 화서지역이라고 한다.

 

이 화서함박꽃나무는 원래 티베트와 인접한 인도의 시킴지역에서 발견되어 영국학자 조지프 돌턴 후커와 토마스 톰슨에 의하여 1855년 목련속으로 Magnolia globosa Hook. f. & Thomson라고 명명되어 여태 원산지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거의 모두가 따르고 있다. 종소명 globosa는 꽃모양이 공모양이라서 붙인 이름이다. 그러다가 2008년 중국 학자들에 의하여 신설된 함박꽃나무속으로 편입되어 Oyama globosa (Hook. f. & Thomson) N.H. Xia & C.Y. Wu로 명명된 것을 현재 중국에서는 사용하고 있다. 이 화서함박꽃나무가 다른 함박꽃나무와 다른 점은 어린 잎이나 줄기 등에 홍갈색 장유모로 덮여 있으며 잎이 큰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막질이라는 점이다. 그 외에 탁엽흔은 잎자루 거의 끝까지 감싸고 있으며 포편탈락흔인 꽃마디는 약 6mm로서 10mm가 넘는 중국함박꽃나무보다는 짧고 1~3mm에 불과한 함박꽃나무보다는 긴 중간 형태를 보인다. 꽃은 옆으로 뻗거나 약간 아래로 처져 완전하게 처지는 중국함박꽃나무와는 다르지만 함박꽃나무와는 비슷하다.

 

등록명 : 화서함박꽃나무

학   명 : Magnolia globosa Hook. f. & Thomson

신학명 : Oyama globosa (Hook. f. & Thomson) N.H. Xia & C.Y. Wu

분   류 : 목련속 낙엽 소교목

신분류 : 함박꽃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중국 인도 미얀마 등

중국명 : 모엽천녀화(毛叶天女花), 모엽옥란(毛叶玉兰)

수   고 : 10m

잎크기 : 10~24 x 5~14cm

잎특맥 : 8~12조

탁엽흔 : 잎자루 전체

포편흔 : 약 6mm

화피편 : 9~12

방   향 : 유

수술색 : 심홍색

개화기 : 5~7월

결실기 : 8~9월

내한성 : 영하 17도

 

화서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화서함박꽃나무 - 꽃이 심하게 처지지는 않는다.
화서함박꽃나무 - 잎이 막질이므로 광채가 난다.
화서함박꽃나무 - 꽃자루의 포편흔이 크지는 않다.
화서함박꽃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