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목련과 교잡종/자목련교잡종

1254 목련 '스펙트럼' - 자목련과 스프렝게리목련의 교잡종

낙은재 2020. 12. 28. 18:52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은 바로 앞 게시글에서 본 목련 '갤럭시'와 마찬가지로 미국 농무부 산하 국립수목원에서 내한성이 강하며 개화시기가 늦고 흑자색 꽃이 피는 자목련 '니그라'와 중국 무당산이 원산지라서 중국에서 무당옥란(武当玉兰)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서 자주목련이라고 불리는 스프렝게리목련 중 핑크색 꽃이 피는 'Diva'를 1963년에 교잡시켜 개발한 원예 품종으로서 1984년에 발표되었다. 이번에는 국립수목원의 원예사인 William F. Kosar가 선종한 것인데 그는 소녀시리즈 수잔과 베티 그리고 제인과 핑키를 개발한 사람이기도 하다. 같은 시기에 같은 부모종으로 교잡시켜 선종한 자매 품종이기에 목련 '갤럭시'와는 당연히 닮은 점이 많으나 이 '스펙트럼'의 꽃 지름이 25~30cm나 되어 더 크다고 한다. 그외 화피편이 12장인 점도 동일하고 색상도 적자색 또는 핑크색으로 비슷하기는 한데 '스펙트럼'이 화피편의 외부는 진홍색이고 내부는 유백색으로서 색상 변화의 폭 즉 스펙트럼이 더 넓다고 그렇게 품종명을 붙인 것이 아닌가 한다.

 

부모종인 자목련 '니그라'와 스프렝게리목련 '디바'

하지만 목련 '갤럭시'와 큰 차이도 없는데 품종명을 달리 붙인 이유는 화학적으로는 이 '스펙트럼'의 잎에는 hydrogen cyanide 즉 시안화 수소라는 독성물질이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 뒤늦게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처음에는 같은 품종으로 취급하다가 5년 후인 1984년에 별도의 종으로 발표한 것으로 추정된다. HCN으로 약칭되는 시안화 수소는 매실이나 살구, 복숭아 앵두 등의 열매에도 들어 있는 물질로 식물들이 종족 번식이나 성장을 위하여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물질인데 어떻게 자매종인데 목련 '갤럭시'에는 없던 물질이 목련 '스펙트럼'에는 존재하는지 궁금하다. 그리고 이런 현상을 유전학자들이 많은 미국 국립수목원이 아니면 어떻게 발견하였을까 싶다. 이 목련 '스펙트럼'도 꽃이 크고 색상이 아름답고 2012년 영국 RHS로부터 우수 정원수로 선정되어 AGM를 수상한 바 있다. 목련 '갤럭시'와 마찬가지로 이 목련 '스펙트럼'도 열매는 맺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목련 '스펙트럼'(좌)이 목련 '갤럭시'(우)보다 꽃이 더 크고 꽃잎의 안팎 색상 차이가 더 크다 

 

등록명 : 목련 '스펙트럼'

학   명 : Magnolia 'Spectrum'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중국 자목련과 스프렝게리목련의 교잡종

부모종 : 자목련 '니그라'(모)와 스프렝게리목련 '디바'(부)

육종가 : 미국 국립수목원 William F. Kosar가 1963년 교잡 1984년 발표 

수   고 : 6~7.5m 

꽃특징 : 화피편 11~12, 지름 25~30cm, 외부 진홍색 내부 유백색 연분홍

내한성 : 영하 29도 

특   기 : RHS AGM 수상 품종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 여름 2차 개화 모습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목련 '스펙트럼' - 천리포수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