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진달래속/영산홍아속

1351 무도철쭉(기리시마)의 원예품종들

낙은재 2021. 2. 27. 19:21

무도철쭉 즉 기리시마의 일본에서 개발된 원예품종들을 구경하고 간다. 이들 중 일부는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다시 다룰 예정이다. 이와 같이 기리시마는 결코 자색이 아니므로 이들 중 일부를 자산홍이라고는 할 수 있어도 전체를 자산홍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일본에는 구루메쯔쯔지(クルメツツジ)라고 구류미철쭉(久留米躑躅)이라는 부르는 품종들이 있는데 이는 규슈 후쿠오카 주변 구루메 지역의 무사들이 개발한 품종들로서 이들을 기리시마 즉 무도철쭉에 포함하거나 같은 종으로 인식은 하지만 어차피 원예품종들이므로 주로 에도에서 개발된 기리시마와는 별도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아래 품종들은 히노데기리시마까지는 에도에서 개발된 품종이고 그 이후는 구루메에서 개발된 품종이다.

 

혼기리시마(ほんきりしま) = 본무도(本霧島)철쭉
베니기리시마(ベニキリシマ) = 홍무도(紅霧島)철쭉
무라사키기리시마(むらさききりしま) = 자무도(紫霧島)철쭉
야에기리시마(やえきりしま) = 팔중무도(八重霧島)철쭉
아즈마니시키(あずまにしき) = 동금(東錦)철쭉
시로기리시마(しろきりしま) = 백무도(白霧島)철쭉
 사쿠라기리시마(さくらきりしま) = 벚꽃무도철쭉
미노기리시마(みのきりしま) = 사무도(蓑霧島)철쭉
히노데기리시마(ひのできりしま) = 일출무도(日の出霧島)철쭉
고금란(古金蘭) = 고킨란(こきんらん)
기린(麒麟) = 키린(きりん)
신보의우중(新鴇の羽重) = 싱토키노하가사네(しんときのはがさね)
말적화(末摘花) = 스에쯔무바나(すえつむばな)
옥수상(玉手箱) = 타마테바코(たまてばこ)
등호(藤戸) = 후지토(ふじと)
길야산(吉野山) = 요시노야마(よしのやま)
어대의영(御代の栄) = 미요노사카에(みよのさか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