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일본에서 사라사도단이라고 부르는 등대꽃과 그 변종인 베니사라사도단이라고 부르는 팔리빈등대꽃나무 그리고 일본에서 베니도단으로 불리는 숙은등대꽃나무를 탐구했다. 이들 셋은 모두 일본이 원산지인데 이번에는 중국 안휘 절강 강서 복건 호북 호남 광서 사천 귀주 운남성 등 진령(秦岭) 이남 거의 전지역 해발 900~3,600m의 산악지역에서 자생하는 중국등대꽃나무에 대하여 알아보자. 중국의 등대꽃속 수종들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므로 중국인들에 일찍부터 널리 알려져 지방마다 각각 나름대로의 이름이 있지만 사천성 아미(峨眉)지역에서 부르는 이름 등롱수(灯笼树)를 중국 정명으로 삼는다. 그 외에도 운남지방에서는 구종(钩钟) 또는 구종화(钩钟花)라고 부르는데 구(钩)는 갈고리를 뜻하므로 이 수종의 꽃이 아닌 열매가 갈고리가 있는 종모양이라고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아래로 처진 열매자루에서 열매가 위로 향하게 꼬부라진 모습을 하기에 갈고리에 달린 종으로 본 것이다. 앞에서 꽃이 적루에 매달린 종과 같다고 적종화(吊鐘花)라고 부르던 모식종이나 이 수종의 정명인 등롱수는 꽃의 모양을 비유한 이름인데 반하여 이 구종(钩钟)은 열매의 모양에서 비롯된 이름이라는 것이 흥미롭다.
그 외에도 운남성 소수민족인 나시족 즉 납서족(納西族)이 부르던 이름 식리소락(息利素落)도 있고 여지목(荔枝木) 여아홍(女儿红) 정용(贞榕) 등의 별명도 있는데 여아홍은 향기와 맛 매우 뛰어난 호박색(주황색) 전통명주를 말하는데 아마 너무 진하지도 옅지도 않은 아름다운 꽃 색상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지목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한 여지 즉 리치의 목재를 일반적으로 말하는데 꽃 색상이 여지색을 닮았다는 것인지 왜 그렇게 부르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용(榕)은 흔히 고무나무라고 말하는 Ficus속을 말하는데 정용(貞榕)은 뭐를 뜻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여하튼 중국 정명인 등롱(灯笼)은 번체자로는 燈籠(등롱)이라고 쓰는데 이는 등의 한 종류로 대오리나 쇠로 살을 만들고 겉에 종이나 헝겊을 덮어 씌워 그 속에 촛불을 켜는 등을 의미하며 손에 들고다니거나 어디에 매달기 위한 조명기구인 것이다. 아름다운 등을 밝히는 유명한 민속 행사가 한중 양국에 있는데 우리나라는 부처님오신날에 등불을 밝히는 연등회(燃燈會)가 있다면 중국에는 정월대보름날 건물 등에 매다는 원소절(元宵節)이 있는데 이를 모두 등롱절(燈籠節)이라고도 한다.
이 수종의 학명 Enkianthus chinensis Franch.는 1895년 프랑스 식물학자인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이 명명한 것이다. 초창기인데다가 중국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등대꽃속 수종이므로 중국이라는 종소명을 붙였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의 꽃이 특이하게 생겼는 데다가 색상이 곱고 수형이 아름다워 정원수로는 최상급 관상수라고 언급한다. 하지만 그 꽃이 조금 더 크기는 하지만 색상이나 모양이 일본 원산 사라사도단 즉 등대꽃과 너무 비슷한 데다가 원래 다소 온난한 중국 진령 이남에서만 분포하여 일본의 홋카이도까지 분포하는 등대꽃보다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적합하지 않아서 그런지 우리의 관심을 끌지를 못하는 것 같다. 그래서 주변에서 보기 힘드며 우리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그다지 널리 보급되지는 못한 것 같다. 등대꽃과 구분점은 잎이 좀 더 넓고 꽃이 더 크고 무엇보다도 잎이나 화서축 화경 등에 털이 없다는 점이다.
등록명 : 중국등대꽃나무
학 명 : Enkianthus chinensis Franch.
분 류 : 진달래과 등대꽃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중국 남방
중국명 : 등롱수(灯笼树) 구종화(钩钟花) 등록적종화(灯笼吊钟花)
영어명 : Chinese enkianthus
수 고 : 3~6m, 최대 10m
잎특징 : 3~5 x 2~2.5cm, 양면 무모
꽃차례 : 산형화서형상의 총상화서, 길이 2.5~4cm, 무모
꽃부리 : 활종형, 살색, 홍색, 길이 지름 1cm
수 술 : 10개, 화약 2렬 1.5mm, 돌기 1mm
꽃받침 : 5렬 삼각형, 2.5mm
열 매 : 삭과, 난원형, 지름 6~8mm, 5실, 실배열개
개화기 : 5월
결실기 : 6~10월
내한성 : 영하 18도
'진달래과 > 진달래과 기타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48 단풍철쭉 – 단풍이 아름다운 백화 정원수 (0) | 2022.03.12 |
---|---|
1747 굽은등대꽃나무 – 히말라야등대꽃나무 (0) | 2022.03.10 |
1745 숙은등대꽃나무 – 꽃차례가 처지는 아름다운 수종 (0) | 2022.03.09 |
1744 팔리빈등대꽃나무 – 등대꽃의 홍화 변종 (0) | 2022.03.08 |
1743 등대꽃 - 일본식 이름이므로 방울철쭉으로 변경되어야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