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복사나무 중에 핑크색 매우 가는 꽃잎 여러장이 겹쳐서 마치 국화꽃과 같은 모습으로 꽃이 피는 꽃나무가 있다. 이 꽃을 처음 보는 사람들은 복사나무의 일종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우나 그 꽃 색상이 연한 핑크색 즉 도색(桃色)인 데다가 그 잎이 약간 짧기는 하지만 모습이 영락없이 복사나무를 닮았기에 국화를 닮은 꽃이 피는 복사나무라는 뜻의 국화도(菊花桃)라는 이름이 수긍이 간다. 꽃 모습을 보고나면 어렵지 않은 이름인데 이상하게 이 이름이 헷갈리는지 국내 일부에서 국도화(菊桃花)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더러 보인다. 그리고 충남과 경계선상에 있는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에 위치하는 국화도(菊花島)라는 섬이 있어 국화도보다는 국도화가 더 적합한 이름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수종이 이미 시중에 많이 보급되어 민가 정원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지만 아직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지 않았기에 국명이 없으므로 어느 이름이 옳다 그르다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 이 꽃복사나무는 어디서 개발된 것인지 탐구해 보자.


이 수종의 꽃에는 여러 개의 수술과 하나의 암술이 존재하지만 제대로 결실하지 못하여 열매가 거의 달리지 않거나 달리더라도 작아서 식용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관상용 꽃복사나무의 일종이다. 원래는 중국에서 청나라시절에 존재하였던 품종으로서 에도시절에 일본으로 건너가 거기서 꽃복사나무 즉 화도(花桃)의 한 품종으로 발전해 온 품종으로서 일본에서는 키쿠모모(キクモモ) 즉 국도(菊桃)라고 부르며 꽃 모습이 과거 일본 역사상 중요한 씨족간 전쟁인 겐페이전쟁(源平合戦, 1180~1185) 당시 승리한 원씨(源氏) 가문에서 사용한 구루마(車) 문장인 원씨차(源氏車)를 닮았다고 국도(菊桃)를 원씨차(源氏車)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고 보니 홍백 혼합색 꽃이 피는 원평도(源平桃)라는 것이 있고 또 가지가 처지는 원평지수도(源平枝垂桃)라는 품종도 있어 이래저래 꽃복사나무 품종명에는 원평합전(源平合戦)과 관련된 이름이 많은 것 같다. 한편 원산지 중국에서는 청나라 이후 실전(失傳)되어 그 존재가 자취를 감추었다가 1980년대 중반에 일본으로부터 역수입하여 여기저기 많이 심은 인기 수종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이를 국화도(菊花桃)라고 부르는데 청나라 당시부터 부르던 이름인지 아니면 일본 이름 국도(菊桃)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니까 원조인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국화도(菊花桃)라고 부르고 원예품종으로 발전시킨 일본에서는 이를 국도(菊桃)라고 부르는 이 품종을 우리가 국화도라고 부르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리고 국화도를 줄여서 국도라고 불러도 문제될 것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국도화(菊桃花)라고 부른다는 것은 꽃을 한정하여 부르는 것 같아서 그냥 국도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한다. 워낙 국도화라고 이름을 붙여서 올린 글들이 많아서 실제로 우리나라 화훼유통계에서도 그런 이름으로 부르는지 파악해 보니 다행히도 모두 국화도라고 표기하여 묘목을 판매하고 있지 국도화라고 이름을 붙여서 판매하는 곳은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국화도로 통일하여 부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 품종의 학명 표기는 중국에서는 국화도(菊花桃)의 중국 발음 그대로 Prunus persica 'Juhuatao'(Amygdalus persica 'Juhuatao')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국도(菊桃)의 일본 발음 그대로 Prunus persica 'Kikumomo'라고 하지만 중일 양국 일부와 서양에서는 주로 그 꽃모양이 별과같이 생겼다고 Prunus persica cv. Stellata로 표기한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국화도를 기본으로 하여 수형이 좁게 직립으로 자라는 마이히텐(舞飛天)이라는 품종도 있으며 1882년 일본 타이키종묘사에서 개발한 꽃 색상이 붉게 진하며 약간 늦게 피는 품종인 쿄우마이코(京舞妓)라는 품종이 현재 일본에서 널리 보급되는 것 같다. 쿄우마이코(京舞妓)는 일본에서 홍국도(紅菊桃)라고도 불린다.




품종명 : 국화도(菊花桃)
학 명 : Prunus persica cv. Stellata
이 명 : Prunus persica 'Kikumomo'
이 명 : Prunus persica 'Juhuatao'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중국에서 발견되어 일본으로 건너가 개량된 원예품종
중국명 : 국화도(菊花桃)
일본명 : 국도(菊桃)
수 고 : 3~8m
꽃특징 : 분홍색, 홍색 가는 겹꽃, 수술, 암술, 지름 3~4cm
열 매 : 주로 결실하지 않거나 작아서 식용 불가
개화기 : 4월
내한성 :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













'장미과 벗나무속 > 자두아속복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77 직립백도(조수백) 직립홍도(조수홍) 직립분홍도(조수도, 조수희) (0) | 2022.06.01 |
---|---|
1776 산복사나무 = 바래복사 ≠ 개복숭아 (0) | 2022.05.28 |
1775 수성도(壽星桃) 남경도(南京桃) 복사나무 '보난자' 등 왜성품종 (0) | 2022.05.22 |
1774 처진백도, 복사나무 '펜둘라' 등 아름다운 처진복사나무 (0) | 2022.05.20 |
1773 만첩홍도 - 붉은 겹꽃이 피는 꽃복사나무 품종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