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시(詩)/漢詩(한시)

桃花源记(도화원기) - 陶渊明(도연명), 무릉도원(武陵桃源)

낙은재 2025. 4. 13. 07:19

 

 

 

 

중국에서 도화 즉 복사꽃은 봄(春天)과 애정(爱情) 미인(美颜) 그리고 이상세계(理想世界)를 상징하고 있다. 따라서 전설적 인물들인 서왕모(西王母)나 손오공(孫悟空) 또는 동방삭(東方朔) 등과 얽힌 열매인 복숭아나 가지의 주술적인 기능 따위와는 별개로 복사꽃 그 자체 만으로도 중국의 유명 시인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유사이래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노래하였는데 먼저 주(周, 1046~256 BC)때 쓰여진 詩經(시경)에서부터 桃夭(도요)라는 복숭아와 관련된 3장(章)으로 이루어진 시가 등장한다.

 

詩經(시경) - 桃夭(도요)

 

桃之夭夭(도지요요) 灼灼其華(작작기화)

之子于歸(지자우귀) 宜其室家(의기실가)

 

어린 복숭아 나무에 예쁜 꽃 피었구나

이 아가씨 결혼하면 그 집안 복되리라.

 

2장과 3장은 두 번째 구 예쁘다는 뜻의 灼灼其華(작작기화)만 有蕡其實(유분기실)과 其葉蓁蓁(기엽진진)으로 교체 되어 ‘과일이 풍성하구나’와 ‘잎이 무성하구나’로 변하여 시집가서 자식을 많이 낳고 집안 사람들과 화목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 구가 宜其家室(의기가실)과 宜其家人(의기가인)으로 각각 바뀌지만 뜻은 대동소이하다. 이 시는 어느 대갓집 규수의 시집가는 날 부른 노래인데 이 시 이후로 도화는 아름답고 품성을 갖춘 처녀의 상징이 된 것이다.  

 

그로부터 수백 년 후 동진말에서 육조 송시대의 유명한 전원 시인 정절선생(靖节先生) 도연명(陶渊明, 365~427)의 도화원시(桃花源詩)의 서문인 도화원기(桃花源記)의 서두 부분만 소개한다. 한 어부가 우연히 이상세계(理想世界)를 발견하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여기서 그 유명한 무릉도원(武陵桃源)이라는 말이 생겼다. 그리고 도화가 미인의 상징에다가 유토피아 즉 이상세계의 상징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상세계(理想世界)를 중국에서는 원전 그대로 주로 도화원(桃花源)이라고 그러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도원경(桃源境)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주로 도원향(桃源郷)이라고 약간씩 다르게 부른다는 것이 흥미롭다.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무릉도원(武陵桃源)을 본 후 당대 유명화가 안견에게 내용을 설명하여 3일만에 완성된 그림의 이름이 바로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이지만 중국이라면 아마 몽유도화원도라고 했을 것이다. 그리고 별천지를 뜻하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은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쓰는 말이지만 중국에서는 뜻밖에도 잘 통하지 않는 말이다.

 

안평대군의 꿈을 안견이 그린 몽유도원도

 

 

 

桃花源记(도화원기) 陶渊明(도연명)

 

晋太元中(진태원중) 武陵人捕鱼为业(무릉인포어위업)。

缘溪行(연계행) 忘路之远近(망로지원근)。

忽逢桃花林(홀봉도화림) 夹岸数百步(협안수백보) 中无杂树(중무잡목)。

芳草鲜美(방초선미) 落英缤纷(낙엽빈분)。

 

진 태원 무릉에 고기를 잡아 업으로 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시내를 따라 가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갑자기 좁은 양 둑 수백 보에 잡목 하나 없는 도화림이 나타났다.

향기롭고 예쁜 풀들이 싱싱하였고 꽃잎이 흩날리고 있었다.

 

 

 

 

 

참고로 중국의 현재 인구 14억 명뿐만 아니라 누구나 이상세계를 꿈꾸게 된다. 그래서 현대 중국인들은 과연 도연명이 말한 무릉도원이 과연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오늘날까지도 찾고 있으나 답이 있을 턱이 없다. 그래도 그 중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은 지역이 다음과 같다고 하니 기회가 되면 둘러보고 싶은 사람들이 많을 듯하다. 

 

1. 湖北竹山桃花源(호북 죽산도화원)

2. 湖南常德桃花源(호남 상덕도화원)

3. 河南灵宝桃塬(하남 영보도원)